식물

[현진오의 꽃따라 산따라] (5) 강원도 정선·영월·평창군 동강

바보처럼1 2008. 4. 14. 19:45

[현진오의 꽃따라 산따라] (5) 강원도 정선·영월·평창군 동강

동강은 댐을 지을지 말지 문제로 논란에 휩싸였던 강이다.1990년대 중반 댐 건설 계획이 알려진 이후부터 2000년 환경의 날에 백지화 발표가 있기까지 찬반 양측의 논쟁이 뜨겁게 달아올랐다. 지금은 정선군 광하교부터 영월군 거운교까지의 동강유역을 생태·경관보전지역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동강은 정선읍을 지난 조양강이 정선군 가수리에서 동남천을 만나면서 시작되어, 영월읍내에서 서강을 만나 남한강이 될 때까지 이어지는 50여㎞의 물길이다. 급하게 구불거리는 협곡으로 유명하며 뼝대라고 부르는 석회암 벼랑이 곳곳에 발달해 있다.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백룡동굴을 비롯하여 70여 개의 동굴이 발견되기도 했다.

동강댐 건설에 대한 논란이 사회문제가 되자 정부는 국무총리실 산하에 민관합동조사단을 설치하고 댐 건설에 대한 최종안을 마련하도록 했다. 조사단에는 댐 안전, 환경, 홍수, 물 수급, 문화 등 5개 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여했고,10여 개월에 걸친 조사와 토론 끝에 건설을 하지 않는 쪽으로 의견을 모았다. 건설포기 결론을 내릴 때까지는 댐 안전 분야 등에서 찬반양론이 치열한 공방을 벌였지만 결국 결론을 내리지 못했고, 환경 분야에서 내린 결론이 조사단의 최종안으로 받아들여졌다.

●자생 생물종이 동강댐 백지화의 주인공

민관합동조사단이 동강댐 백지화 결론을 내린 근본적인 이유는 동강에 살고 있는 생물종들의 가치를 높이 평가했기 때문이었다. 텃새화된 비오리, 다묵장어, 어름치, 수달, 하늘다람쥐, 검독수리, 파파리반딧불이, 북방반딧불이 등의 동물과 비술나무 군락, 꼬리진달래 군락, 동강할미꽃, 연잎꿩의다리, 흰대극, 층층둥굴레, 산토끼꽃, 마키노국화, 좁은잎덩굴용담, 향나무 등의 식물이 동강댐 백지화의 주인공이 되었다.

향나무는 동강에 자생하는 사실 자체가 의미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남북한을 통틀어 울릉도에만 자생할 뿐 한반도 내륙에서는 자생지가 발견된 적이 없는 나무가 동강에서 처음으로 확인되었던 것이다. 이곳의 향나무는 가수리에서 진탄나루에 이르는 동강의 핵심지역 벼랑에 500여 그루가 분포하고 있다.

●돌단풍·산민들레 등 950여 종류 생육

동강에 생육하는 950여 종류의 식물 가운데 동강을 대표할 만한 것은 누가 뭐래도 동강할미꽃((1))이다. 석회암벽에 뿌리를 박고 사는 이 봄꽃은 꽃부터가 예사롭지 않다. 다른 할미꽃 종류들과는 달리 분홍빛 꽃이 하늘을 향해 피고, 꽃잎처럼 보이는 꽃받침 속에 감추어져 있는 암술은 숫자가 적다.3월 중순부터 꽃봉오리를 내밀기 시작해서 4월 초순이면 피므로 꽃이 피는 시기도 빠르다. 동강댐 찬반양론이 일었던 당시에는 다른 할미꽃들과 다르다는 것은 어렴풋이 알려졌지만 공식적으로 새로운 종으로 보고되지 않은 식물이었지만 지금은 세계적으로 우리나라에만 사는 특산식물로 자리를 잡았다.

이즈음 동강에서는 동강할미꽃을 시작으로 돌단풍((2)), 산민들레, 제비꽃((3)) 같은 봄꽃들이 꽃을 피운다. 동강 절벽에 무리 지어 자라는 떨기나무 회양목((4))도 봄볕이 들자마자 꽃을 피운다. 이맘때 잎도 없이 화려하지 않은 꽃을 피우는 비술나무는 놓치기 십상이다. 북부지방에서는 두만강이나 압록강 변에 흔하게 자라는 큰키나무지만 남한에서는 그리 흔하지가 않다. 나래소 일대에서는 군락을 이루어 자라는 비술나무를 볼 수 있다.

●층층둥굴레는 키가 1m 이상 자라

초여름에 꽃을 피우는 층층둥굴레((5))도 동강과 인연이 깊다. 동강 식물을 조사하던 학자들은 강변 모래땅에서 1m 이상 높게 자란 이 둥굴레를 보고 모두들 깜짝 놀랐다.

이처럼 키가 큰 둥굴레 종류를 본 적이 없었기 때문이었다. 춘천 등 강원도 일부 지역에서 발견된 적이 있었지만 세상에 널리 알려지지 않은 북방계 둥굴레 종류로서, 몇몇 책에서는 다른 종으로 잘못 소개하고 있을 정도였다.

동강에서 큰 군락이 확인되면서 학자들이 관심이 높아졌고, 동강의 유명한 식물 가운데 하나가 되었다. 단양, 제천 등지에서 ‘황정’이라 부르며 한약재로 재배하는 갈고리층층둥굴레는 꽃대가 길게 발달하고 잎 끝이 둥그렇게 말리므로 이 종과 구분된다.

동강의 가을식물로는 마키노국화((6)), 좁은잎덩굴용담 등이 눈길을 끈다. 세계적으로 일본에만 자라는 것으로 알려져 온 마키노국화는 동강의 여러 곳에서 발견되었다. 북방계식물로서 남한에서는 자생지가 많이 알려지지 않은 희귀식물 좁은잎덩굴용담도 동강의 귀중한 가을꽃이다. 생물종 다양성을 보전하기 위해 댐 짓기를 포기했던 동강이 오래도록 본래의 모습을 유지하기를 바라는 마음이 간절하다. 동강할미꽃과 층층둥굴레가 변함없이 동강 생태계의 한 부분을 차지하여 살 수 있도록 하는 배려가 필요하다.

동북아식물연구소장

기사일자 : 2008-03-29    26 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