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고싶은 곳

[Let’s Go] 休~ 시티투어로 여행을 떠나요

바보처럼1 2008. 4. 20. 13:53

[Let’s Go] 休~ 시티투어로 여행을 떠나요

국내 여행 추세가 단체 관광보다는 개별 여행쪽으로 기울면서 전국의 시티투어(City Tour) 버스를 이용한 관광이 개별여행객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한정된 시간에 저렴한 비용으로 주요 관광지를 돌아볼 수 있어 알뜰 여행에 제격이다. 특히 열차 등 대중교통을 이용했을 경우 더 없이 효율적이다. 한국관광공사 자료(2007년 현재)에 따르면 2000년 말 서울시가 시티투어버스를 처음 도입한 이래 전국 36개 지방자치단체와 여행사에서 127개의 시티투어버스 코스를 개발해 운영 중이다. 예전엔 도시를 한 바퀴 돌아보는 ‘도심 순환형’이 주류를 이뤘지만, 요즘은 이용객의 편의에 따라 중간에서 자유롭게 타고 내릴 수 있는 ‘셔틀형’도 늘고 있다. 다만 일부 지역의 경우 운행 스케줄 등에 변동이 있는 경우가 있어 미리 확인하고 출발하는 것이 좋다.

(1) 명승지만 쏙쏙

전국의 시티투어버스 프로그램은 서울 등 일부 광역시 등을 제외하면 아직 활성화되지는 않은 상황이다. 하지만, 이용객들은 대체로 만족해 하는 것으로 보인다. 관광공사가 2007년 조사한 바에 따르면 이용고객 중 ‘친지나 동료들에게 시티투어 상품을 추천할 의사가 있는가.’라는 질문에 ‘매우 그렇다.’라는 답변이 37.5%에 달하는 등 전체적으로 84% 정도가 긍정적인 답변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용은 식대와 간식, 기념품, 체험비 등을 포함해 1인당 평균 2만 2888원을 지출했다.1만∼2만원 사이가 39%에 달할 만큼 적은 비용으로 알찬 관광을 할 수 있는 것. 먹거리는 각자 자유롭게 식사하는 방식이 대부분이다. 시티투어버스 회사에서 지적한 식당을 이용하는 경우는 25%정도 된다.

(2) 철도와 연계해 편리성 도모

‘KTX 덕에 시티투어 버스가 생겼다.’고 할 만큼 많은 시티투어 버스들이 KTX 등 철도 운행 시간과 맞물려 있다. 이승원 우리테마투어 대표는 “부산, 경주 등 일부 지역을 제외하면 관광객들의 이용실적은 아직 저조한 편”이라며 “KTX 역이 있는 지자체마다 시티투어버스를 운영하고 있는 만큼, 이를 잘 활용하면 알찬 여행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KTX뿐 아니라 일반 열차 운행시간에 맞춘 시티투어도 인기를 끌고 있다. 강원도 삼척시의 경우 작년 7월부터 삼척∼강릉 구간을 운행하기 시작한 바다열차가 정착 단계에 접어들면서 연계한 시티투어버스를 이용하는 관광객 숫자 또한 점차 늘고 있다.

(3) 축제·문화 연계상품도 속속

KTX가 닿는 역까지 관광객들을 ‘모시러’ 가는 투어버스도 등장했다. 전남 담양군은 올해 ‘관광담양 웰빙 및 건강미인 만들기 체험 투어’를 시작하면서 관광객들의 편의를 위해 광주역까지 투어버스를 운행하고 있다. 매주 토요일 진행되는 버스투어는 소쇄원, 가사문학관, 죽녹원, 메타세쿼이아 가로수길 등 전국적으로 이름난 관광 기반시설과 담양의 상징인 대나무를 융합시켜 다양한 문화 체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매주 3개의 테마별 코스로 구성을 달리하는 것도 특징이다.

버스 이용 관광객을 위한 투어버스도 등장했다. 경기도 안성시는 매주 토요일 오전 10시 안성시외버스터미널 앞에서 출발하는 안성문화관광 투어버스를 운행한다. 남사당바우덕이 풍물단이 인기를 얻으면서 남사당 토요상설공연장을 찾는 관람객들이 증가함에 따라 안성의 또 다른 문화유적지를 둘러 볼 기회를 주기 위해 마련됐다. 목적지는 모두 남사당풍물공연장이지만 관광객들이 기호에 맞게 선택할 수 있도록 경유지를 달리한 3개의 코스로 나눠 운행한다. 문화관광해설사도 동승한다.

(4) 다양한 할인혜택

일부 지자체는 기차여행객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할인 프로그램을 준비해 두고 있다. 부산 시티투어의 경우 KTX 승객에게 요금의 20%를 할인해 준다. 충남 예산시 버스투어도 예산역에서 기차표를 사는 승객에게 할인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충북 충주시는 매우 특별한 경우.5∼11월 운영되는 충북 충주 문화유적 투어버스를 무료로 운행하고 있다. 단체 30인 이상의 요청이 있을 때는 버스를 통째 대여해 주기도 한다.

손원천기자 angler@seoul.co.kr

기사일자 : 2008-04-17    20 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