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존심이 몹시 상했다. 영어 회화 책을 사서 암기를 시작했다. 보름 만에 한 권을 모두 외우자,‘존슨 대위’ 아니라 ‘맥아더 장군’이 온다 해도 상대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 생겼다.
친구를 통해 존슨 대위와 다시 만날 약속을 했다. 운동경기로 치자면 ‘리턴 매치(Return Match)’를 신청한 셈이다. 존슨 대위에게 ‘취미와 고향, 한국에 온 지 얼마나 되었느냐?’고 물어 보면서 대화 주도권을 잡았다. 어깨가 한참 으쓱해 있는데, 이게 웬일인가? 존슨 대위가 나와 대화를 할 만하다고 생각했는지, 예정에 없는 질문들을 쏟아내기 시작했다. 조금 전까지는 외운 범위 내에서 하는 말이라 대충 알아들을 수가 있었지만, 예상치 못한 말들은 통 알아들을 수가 없었다. 그래서 이번엔 듣기 공부를 해야겠다고 생각하고, 집에 돌아와 본격적으로 영어 듣기 연습에 착수했다.
매일 악전고투를 하며 실력이 늘지 않던 어느 날 “내가 영어 문장을 해석하는 속도 자체에 근본적인 문제가 있구나.”라는 생각이 들었다.AFKN 방송에서 아나운서가 말하는 속도는 평균 1분에 160단어 정도였지만, 내 독해속도는 1분에 80단어를 못 넘어 갔다. 독해 속도가 느리니, 말하는 내용을 이해하는 청취능력까지 뒤처질 수밖에 없었다. 나의 독해 패턴을 분석해 속독속해를 방해하는 네 가지 나쁜 습관을 찾아냈다.
첫째, 문장을 읽어 나가는 중에 자꾸 앞에 읽었던 부분으로 되돌아가 읽는 습관이 있다. 둘째, 수동태나 관계대명사 같은 특정한 문법구조를 만날 때마다 이리저리 따져 보느라고 시간을 끄는 버릇이 있다. 셋째, 문장을 읽어 내려가면서 한번에 이해하는 것이 아니고, 끝까지 다 읽고 난 다음에야 그것을 다시 우리말로 번역해 이해한다. 넷째, 잘 모르는 단어를 만나면 속도가 느려진다.
나중에 알고 보니 전부 다 학교과정에서 생겨난 ‘고약한 영어교육’의 후유증이었다. 그래서 이것들에다 ‘되돌이 습관’,‘따지기 습관’,‘번역 습관’,‘어휘력 부족’ 등의 이름을 붙여 놓고, 요놈들을 때려잡기 위한 본격적인 연구에 착수했다.
이렇게 연구와 연습을 계속한 결과, 영자 신문 독해속도가 분당 300단어 이상까지 돌파하게 되었고, 그토록 애를 먹이던 AFKN 청취도 우리말 뉴스 듣듯이 편안히 들을 수 있게 되었다.
어떻게 이렇게 직청직해, 속독속해를 할 수 있는지 궁금한가? 다음 주부터는 내가 득도한 ‘스피드 독해와 청취’의 원리를 설명해 드리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