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학

“영어로 말할 기회 일부러라도 만드세요”

바보처럼1 2008. 5. 14. 17:15

“영어로 말할 기회 일부러라도 만드세요”

‘잉글리시 달인’ 문여정 아시아나항공 대리

“계약을 그냥 유지하는 게 어때요?” “미안하지만 환율이 올라 한국의 시장상황이 많이 변했어요. 우리 항공사에서 준비한 설명을 한번 들어보시죠.” 지난해 말 호주의 한 항공사 회의실. 코드셰어링(code sharing·제휴를 맺은 항공사가 좌석을 서로 공유하는 것)에 관한 실무자급 마라톤 회의가 한창 진행 중이다. 숨막히는 경쟁 속에 ‘수싸움’을 하느라 머릿속은 분주하다. 이런 분위기 속에서도 유독 빛을 발하는 직원이 있다. 뛰어난 영어 솜씨로 협상을 성공적으로 이끈 아시아나항공 국제업무팀의 문여정(30·여) 대리다.

●토익실력과 영어실력은 달라

문 대리의 영어 실력은 거의 원어민급이다. 영어가 모국어인 사람들과 협상할 때도 전혀 위축되지 않는다. 오히려 뛰어난 어학실력을 바탕으로 협상을 리드하기 때문에 다른 항공사 실무자들도 그의 능력에 혀를 내두른다.

처음 보는 사람들은 그를 해외 교포라고 착각할 정도다.

그러나 사실 그는 입사 전까지 해외에 나가 본 적이 없는 국내 토종파다. 남들 다 간다는 해외 연수 경험도 없다. 대학 시절 사람들과 회화 모임을 한 게 전부다.“학교 앞에 어학 카페가 있었어요. 거기서 한국 사람끼리 일상적인 이야기도 했고 때론 영어 기사를 읽으며 영어로 토론도 했어요. 방학 때에는 거의 살다시피 했죠.”

이 경험이 영어를 잘하게 되는 결정적 계기였다고 설명한다. 영어 말하기의 두려움이 없어졌기 때문이다. 이런 자신감이 바로 문 대리가 생각하는 ‘영어 말하기 비법’의 핵심이다.

“모두 영어 말하기를 배우려고 외국인부터 찾죠. 학원을 가더라도 미국인 교사가 있는지부터 확인하고요. 그런데 사실 그건 별로 중요하지 않아요. 말할 기회가 얼마나 있고, 또 그것을 통해 얼마나 두려움을 줄일 수 있는가가 중요하죠.”

그는 요즘 젊은이들이 거의 다 받고 있는 영어 사교육 경험도 없다. 조기교육도 받지 않아 초등학교 6학년 때 알파벳을 처음 봤을 정도다. 초·중·고등학교 때도 영어 학원은 문턱조차 가지 않았다. 대학 시절 조바심에 잠시 회화학원에 다닌 것이 전부다. 그러나 이마저도 별로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판단해 두 달 만에 그만뒀다. 토익 학원도 다니지 않았다.“영어를 공부하는 것과 토익을 공부하는 것은 분명 다르더라고요. 토익학원에서는 ‘얼마나 문제를 맞힐 수 있는가.’를 가르치지만 그건 영어실력이 아니라 토익 찍는 방법을 알려 주는 거죠.”

문 대리는 토익을 준비한다는 마음보다는 영어를 공부한다는 마음으로 영어에 전념했다. 그저 영어가 좋았을 뿐이라며 겸손한 웃음을 지었다.

●영어와 ‘친구’ 되는 법

“비법이랄 게 뭐 있나요. 그냥 재미있게 공부하는 게 전부죠.”

문 대리는 ‘좋아하는 것’부터 영어에 다가가라고 조언한다. 좋아하는 책을 영어판으로 보고, 좋아하는 영화가 있으면 대본을 구해 읽는 식이다. 이것이 어려운 영어에 정을 붙이는 가장 손쉬운 방법이라는 설명이다.“좋아하는 책을 영어판으로 읽으면 모르는 단어가 나와도 사전이 필요 없어요. 내용을 아니까 대충 감이 오잖아요. 이렇게 술술 읽으면 자신감도 생기고요.”

이렇게 의도적으로 영어를 쉽게 만들면, 영어와 친해져 자연스럽게 자주 만날 수 있다는 게 문 대리의 지론이다. 영어를 공부해야 하는 수험생과 취업준비생, 직장인이 좋아하는 친구를 부담없이 만나듯 영어도 마찬가지란 소리다. 결국 ‘꾸준한 공부’로 직결되는 셈이다.

“흐르는 물이 바위를 뚫잖아요. 저는 집에 가면 습관적으로 영어 방송을 틀어요. 공부하기 싫더라도 이렇게 하면 무의식 중에 단어 하나라도 귀에 들어오니까 언젠가는 도움이 되더군요. 꾸준히 하는 것만큼 좋은 게 어디 있겠어요.”

글 이경원기자 leekw@seoul.co.kr

기사일자 : 2008-05-13    17 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