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학

영어 원어민 뺨치는 순수 토종 유지영씨

바보처럼1 2008. 5. 31. 18:20

영어 원어민 뺨치는 순수 토종 유지영씨

“한국말 정말 잘 하시네요. 어디서 배우셨어요?”

정철어학원 국제사업부에 근무하는 유지영(27·여)씨를 처음 보는 사람들은 이런 질문을 하곤 한다. 유씨의 유창한 영어 실력과 원어민급 발음을 듣고 나면 유씨를 한국인으로 생각하기 어렵다. 해외 교포나 동양계 미국인 정도로 보는 사람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유씨는 영어를 배우기 위해 단 한 번도 외국에 나가본 적이 없는 ‘국내 토종파’. 초등학교 시절부터 대학까지 흔하디 흔한 해외연수 경험도 없다. 오직 한국에서만 실력을 갈고 닦아 ‘영어 달인’의 경지에 오르게 된 것이다.“해외 연수의 필요성을 별로 느끼지 못했어요. 한국에서도 잘 할 수 있다는 것을 스스로 보여 주고 싶었죠.”

유씨에게 비결을 직접 들어 봤다.

▲ 유지영
적극적인 성격이 영어달인 지름길

유씨는 정철어학원 국제사업부 B2B(Business to Business)팀에서 근무하고 있다. 수강생과 외국인·교포 강사의 의견을 조율하는 역할을 한다. 한국인과 외국인의 ‘다리’ 역할을 하고 있는 셈이다.

유씨는 영어의 ‘달인’이 될 수 있었던 비결로 ‘성격’을 꼽는다. 유씨는 매사에 적극적이고 활발한 성격 때문에 부끄럼 없이 마음껏 영어로 말할 수 있었다고 한다. 행여나 문법적으로 틀린 문장을 말해도 이를 자산으로 삼았다.

“많은 사람이 영어 말하기를 하기 전에 ‘틀리면 어떻게 하나.’ 걱정부터 하잖아요. 처음부터 영어를 잘 하는 사람이 어디 있겠어요. 그냥 무작정 말해 보고 틀린 것은 잊지 않고 기억하면 되는 거죠. 한국말 엉성하게 하는 외국인을 욕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듯 아무도 우리를 욕하지 않아요.”

“틀려도 부끄러워 마세요”

유씨는 중학교 1학년 때의 경험을 잊지 못한다.“강원도 원주에서 중·고등학교를 나왔는데 집 옆에 미군 부대가 있었어요. 학교에서 배운 문장을 외웠다가 무작정 미군에게 말을 걸었어요. 미군의 발음을 유심히 듣고 그 발음을 흉내내기 위해 무척 노력했습니다.”유씨는 그때부터 영어에 흥미를 느끼기 시작했다.

유씨는 학창시절 수학여행도 ‘외국인에게 말을 걸기 위해’ 갔을 정도였다. 비록 학원은 다니지 않았지만 이렇게 혼자서 영어를 공부하는 방법을 터득하기 시작했다. 외국인이 유씨의 영어 발음을 알아 듣지 못해도 개의치 않았다. 외국인이 다시 정확한 발음을 해주기 때문에 오히려 배운다고 생각했다.

“고등학교 1학년쯤이었어요. 어느날 갑자기 나도 모르게 영어로 얘기가 막 나오는 거예요. 그저 단어 하나하나 주워 들어 얘기하는 버릇을 키웠을 뿐인데 이게 문장으로 연결이 되기 시작한 거죠.”

이런 시행착오 끝에 유씨는 영어 실력에 가속도가 붙기 시작했다. 여기 저기서 들었던 단어가 조금씩 조합되기 시작해 영어를 자연스럽게 말할 수 있는 경지에 오르게 된 것이다.

“아직 2% 부족… 평생 공부할 것”

“현실에 안주하면 안된다고 생각했어요. 지금도 그렇지만 아직도 갈 길은 멀어요.”

유씨는 언제나 2% 부족하다. 뭔가 성취를 이뤄도 더 큰 목표를 생각하는 경우가 많았다.

대학 3학년 때 교환학생에 선발됐지만 준비가 되지 않았다고 생각해 과감히 포기했다.‘영어실력이 많이 부족하다.’는 겸손함 때문이다. 주변 사람들은 만류했지만 유씨의 뜻을 꺾을 수 없었다.

“지금은 교환학생이 많이 알려졌지만 당시만 해도 상당히 좋은 기회였어요. 그런데 존경하는 교수님께서 ‘무작정 나가지 말고 기초를 더 살펴라.’고 조언해 주셔서 곰곰이 생각해 봤죠. 나가는 게 능사가 아니라고 생각했어요.”

대학 졸업 뒤에는 춘천시청에 별정직 공무원인 ‘통역사’로 채용됐지만 그만 뒀다. 춘천시에서 ‘2010년 세계레저총회’ 유치를 위해 유씨를 고용했지만, 총회 유치에 성공한 뒤 업무량이 많이 줄어든 탓이다.

“유치가 성공한 뒤에는 단순 작업이 많아졌어요. 영어 공문만 간단히 처리하면 됐죠. 제가 굳이 남을 필요를 느끼지 못했습니다. 새로운 비전이 필요했고 여기까지 온 거죠.”유씨의 도전은 지금도 ‘현재 진행형’이다.

유씨는 최근 불어닥친 영어 조기교육 열풍에 쓴소리를 잊지 않았다.

그는 영어 교육에 몸담으며 아쉬운 사례를 꽤 많이 봐왔다.“문화적 마인드도 없이 무작정 어릴 적부터 해외로 나가 영어를 배우는 아이는 사회 적응력이 현저히 떨어지는 경우가 많아요. 그 스트레스를 이겨 내는 게 쉬운 일이 아니라는 걸 느꼈습니다. 한국말을 배워 언어적 감각을 키운 뒤 영어를 배우는 게 훨씬 발전적입니다. 저는 나중에 아이를 키우면 절대로 영어 조기교육을 시키지 않을 겁니다.”

이경원기자 leekw@seoul.co.kr

기사일자 : 2008-05-27    17 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