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대방의 주장이 실현되었을 때 벌어질 사태의 부정적인 측면을 육체와 관련된 예로 바꾸어 다시 질문하라. 추상적인 언어를 구체적인 이미지로 바꾸는 능력은 정책에 대한 이해의 깊이를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어떤 이론도 우리의 몸 앞에서는 힘을 쓸 수 없다는 사실을 이해하자.
의료보험 당연 지정제 폐지를 상대방이 주장하면 “서민들이 피해를 봅니다.”라고 말하는 것이 아니다.“가난한 집 아이들에게는 값싼 마취제를 써야 한다는 말씀이지요?” 또 수도 민영화를 주장하면 “수돗물 가격이 오른다.”라고 말하지 말고 “당신들은 생수로 목욕하고 서민은 냄새 나는 물로 찌개 끓여먹으라는 말씀인가요?”라고 말하면 상대방의 주장은 급격하게 설득력이 약화된다.
상대방의 논리 속에 숨어 있는 핵심 가치, 즉 제1전제를 파악해 논박하자. 상대방이 잽을 날리고 있을 때 발목을 후려 차는 이 기술에 의해 상대방은 쓰러지게 된다.
예를 들어 값싸고 질 좋은 쇠고기 수입, 각종 공공 영역의 민영화, 공교육 속으로 사교육 불러들이기, 공무원 대량해고,‘비즈니스 프렌들리’ 등의 정책들을 살펴보자. 내세우는 논리는 ‘경쟁과 효율성’이다. 그리고 정책을 통해 경쟁으로 내몰리는 대상은 서민들뿐임을 알 수 있다. 서민들을 더 경쟁시켜 그것을 통해 비즈니스(재벌)들에게 ‘효율’을 주겠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런 생각 속에 숨어 있는 전제는 무엇인가?‘서민들을 경쟁시켜 재벌들이 편한 나라를 만드는 것이 좋은 정책이다.’라는 것이고 그 심연에는 노비를 잘 부려 주인에게 호감을 얻겠다는 ‘마름의 영혼’이 깔려 있다. 따라서 “당신들이 생각하는 대한민국의 주인은 서민이냐, 재벌이냐?”,“당신들은 국민을 섬기겠다고 약속했다, 그 ‘국민’은 서민이냐 재벌이냐?”,“당신들은 재벌주의자냐 민주주의자냐?”라고 물어보자. 이 질문에 답할 수 없을 때, 상대방은 논쟁에서 쓰러지게 된다.
이처럼 논쟁을 하다 보면 상대방은 물론이고 자신이 생각하는 삶의 핵심가치도 상대방에 의해 드러나게 된다.
결국 논쟁은 우리가 원하는 가치와 세계상은 무엇인지 서로가 반성하게 만드는 중요한 ‘발전의 도구’이다. 논쟁을 통해 합의점을 찾아내고 합의된 공동의 목표를 성실하게 이행하는 것, 그것이 인류가 발견해낸 가장 위대한 발전의 원리인 ‘민주주의’이다.‘논쟁’ 자체를 거부하는 사람들은 ‘민주주의’를 거부하는 자들이며 이들은 역사를 발전시킬 수 없다.
대치동 김영준 국어논술전문학원장·EBS 언어논술강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