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당히 살찌면 우울증 위험 낮다"
헬스코리라뉴스 2008년 06월 09일 (월) 11:50:06 임호섭 의약산업전문기자
경도비만여성, 유연한 성격과 긍정적 사고하는 경우 많아
통상 비만은 고혈압, 당뇨병 등 육체적 질환은 물론, 심리적 악영향을 미쳐 정신건강에도 좋지 않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적당한 비만은 오히려 정신건강에 좋다는 흥미로운 연구결과가 나와 주목된다.
한림대성심병원 가정의학과 조정진 교수팀은 전국 329개 회사의 20~60세 직장인 8121명(남 5231명, 여 289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함께 신체측정결과로 비만과 우울증과의 관계를 분석했다.
그 결과, 비만(BMI 25이상) 여성은 정상체중군과 비교해서 우울증 위험이 0.7배 적었고 경도비만 전단계인 표준 및 과체중군(BMI 18.5~24.9)에서는 체질량지수가 1씩 증가 할수록 우울증 위험이 0.93배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남성에서 체질량지수와 체중은 우울증과 관계가 없었다
반면 남녀 모두 저체중 군(BMI 18.5 미만)에서는 정상체중과 비교해서 우울증 위험이 여자는 1.42배, 남자는1.3배 증가했고, 고도비만군(BMI 30 이상)에서는 여자 1.47배, 남자는 1.79배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조정진 교수는 “고도비만이 아닌 경우 반드시 비만이 우울증 위험을 높인다고만은 볼 수 없다”며, “이러한 연구 결과는 한국인의 경우 마른 체형보다는 다소 풍만해 보이는 체형의 소유자들이 상대적으로 자신의 체형에 대한 자기 만족도가 높을 수 있고, 성격도 유연하고 긍정적인 사고를 가진 경우가 많기 때문으로 생각된다.”고 분석했다.
조 교수는 “비만도를 체중과 관련된 기계적인 평가만으로 판단할 것이 아니라, 성인병의 유무 등 개인의 전체적인 건강상태를 종합해서 진단해야 하며, 개인의 특성에 맞는 개별화 및 체계화된 비만관리를 해야만 전체적인 질병관리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