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학

임동균 한화석유화학 과장 영어공부 비결

바보처럼1 2008. 7. 28. 01:18
서울신문 홈 > 기획/연재 > 교육 & NIE
글자크기조정

임동균 한화석유화학 과장 영어공부 비결

“벼락치기 10시간보다 매일 10분 효과적”

“하루 7시간보다 일주일에 한 시간씩이라도 매일 매일 하는 게 중요해요. 빨리 결과가 나오기를 바라는 조급함도 버려야 하고요.”

한화 석유화학 기획실 임동균(34) 과장이 꼽는 영어 잘하는 비결이다. 듣고 보면 너무 단순하지만 따라 하는 사람은 많지 않은 것도 사실이다.

임 과장은 회사 내에서 영어를 가장 잘하는 사원으로 통한다. 해외 IR 업무를 맡고 있다.

그는 카투사로 군복무를 했다는 것을 빼면 ‘영어’와는 별다른 인연이 없다. 대학 때도 남들 하는 리딩 위주의 공부를 했던 게 전부다. 다만 전공(고대 무역학과)과 관련한 영어과목을 찾아다니면서 들었고 어학에는 원래 관심이 많았다.

“카투사에 들어가면 다시 배치시험을 보는데 성적이 나빴어요.‘듣기’가 취약했기 때문이죠. 대구에서 헌병으로 근무했는데 처음에는 말을 못 알아들어 정말 고생했죠. 다행히 제대할 때쯤에는 의사소통에 전혀 문제가 없을 정도로 자신감이 붙은 게 군대에서 얻은 수확이라면 수확이었죠.”

같은 내용 반복해서 읽으면 속도 빨라져

제대 후에는 미국 오리건주 코발리스에 있는 오리건주립대에서 4개월간 어학연수를 한 게 해외경험의 전부다. 미국에 있을 때는 영어공부를 하려고 일부러 미국인 목사가 있는 교회를 다녔다.

본격적으로 영어실력이 늘어난 것은 해외영업을 맡고 출장을 자주 다니며 실전경험을 쌓으면서부터다.IR를 맡으면서 영어를 쓸 기회가 많아졌다. “처음 IR팀에 와서는 미국 등 네이티브 스피커가 오면 바짝 긴장을 했어요. 원어민의 특유한 발음 때문에 ‘리스닝’이 쉽지 않은 데다, 열심히 얘기했는데 두서 없이 말한 것 같기도 하고, 상대방이 못 알아듣는 것 같기도 했죠. 또 투자자들은 정부정책뿐 아니라 우리 그룹과 관련된 얘기, 건설분야 등 관심의 폭이 방대한데 이를 일일이 영어로 설명하기가 쉽지 않더군요.6개월 정도 지나니까 그제서야 어느 정도 갈피가 잡혔죠.”

임 과장은 영어실력을 키우기 위한 첫번째 방법으로 꾸준히 공부할 것을 추천했다.

“영어실력은 점진적으로 계단식으로 느는 것 같아요. 어느 정도 수준이 돼 유지만 해주면 그 다음부터는 잊어버리지 않으니까요. 다만 학습자들이 너무 조급하게 결과를 원하는 게 문제일 뿐이죠.”

구체적으로 말하기와 듣기가 가장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말하기 공부를 위해서는 수필류 같은 쉬운 책부터 소리 내서 읽어보면 좋습니다. 너무 어려우면 내용 자체를 이해하기 어렵죠. 같은 내용을 여러 번 반복해서 읽어 한국말과 비슷한 빠르기의 수준까지 속도를 점차 높여가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이런 식으로 하루 30분씩이라도 꾸준히 해나가면 속도가 점점 빨라지는 것을 스스로 느낄수 있을 겁니다.”

말하기보다 더 강조하는 것은 듣기다.

“일단 못 알아들으면 말할 수가 없죠. 저도 누군가 해준 ‘무조건 들어라. 그러면 거짓말처럼 어느 순간 귀가 뚫린다.’라는 말을 믿고 CNN 뉴스를 한 달간 뜻도 모르면서 넋 놓고 들은 적이 있어요. 하지만 제 경험으로는 안 되더군요. 일정 수준에 오를 때까지는 차라리 지문과 해설이 나와 있는 교재용 영어가 훨씬 도움이 됩니다. 그 다음에 자신감이 붙으면 CNN보다는 속도가 느린 VOA 뉴스나 우리가 이미 내용을 대충이라도 알고 있는 국내 영어방송 뉴스를 듣고, 그 다음에 실력이 더 쌓이면 CNN을 듣는 식이죠.”

말하기·듣기 가장 중요…조급함 버려야

그 역시 요즘도 경제분야의 새로운 정보를 얻기 위해 CNN 경제뉴스나 블룸버그 뉴스 등을 챙겨 듣는다.

임 과장은 “아직도 실력이 많이 모자라서인지 요즘도 그날그날 컨디션에 따라 (영어실력의) 기복이 심하다.”면서 “기회가 되면 해외지사에서 일해 보고 싶다.”고 밝혔다.

글 김성수·사진 류재림기자 sskim@seoul.co.kr

2008-07-22  17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