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은 어둡고 서늘하면서 통풍이 잘 되는 곳을 좋아한다. 습하면 곰팡이와 세균이 번식하기 쉽다. 비닐 봉투째로 놓는 경우가 많은데 온도에 쉽게 영향을 받고 주변의 냄새가 배이기 쉽다. 반드시 쌀통이나 밀폐용기에 담아 두어야 한다.
적당한 용기가 없을 때 가장 간편하고 오래, 최적 상태로 쌀을 유지할 수 있는 방법은 페트병을 이용하는 것이다. 페트병을 물기 없이 잘 말려 쌀을 넣고 뚜껑을 꽉 닫아 냉장고 야채실에 넣어 둔다. 저온 보관으로 쌀이 휴면상태에 접어들어 쌀의 질이 나빠지는 속도를 늦출 수 있다.
흔히 남은 쌀과 새 쌀을 섞어 두는데 쌀의 질을 떨어뜨리는 또 하나의 요인이다. 묵은 쌀의 쌀겨가 새 쌀을 상하게 하기 때문이다. 사과를 넣어 두면 쌀알의 탱탱함이 유지되고 마른 고추, 마늘, 숯은 쌀벌레가 싫어한다. 쌀을 덜 때 물 묻는 그릇의 사용을 피한다. 물이 닿으면 쌀이 변질될 가능성이 높다.
쌀을 씻을 때는 손이 빨라야 한다. 느긋하게 씻으면 쌀겨가 녹은 물이 쌀에 그대로 흡수돼 밥을 짓고 난 뒤 쌀겨의 씁쓸함이 남게 될 우려가 있다. 따뜻한 물로 씻을 때 쌀의 전분이 나오므로 반드시 찬물로 씻는다. 씻을 때는 힘을 주지 않고 살살 휘젓듯 해주는 것이 좋다.
쌀은 여름에는 약 30분 정도, 겨울에는 1시간 물에 불려야 수분이 충분히 흡수돼 맛있는 밥을 지을 수 있다. 맞벌이 부부나 자취생들은 매번 밥을 지어 먹을 여유와 시간이 부족하다. 큰 맘 먹고 했던 밥이 하루 이틀이 지나면서 밥솥 안에서 누렇게 떠가는 걸 봐야 했던 게 한 두번이 아니다. 한 번 지어 놓고 금방 지은 밥처럼 매일 먹을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갓 지어 고슬고슬한 밥을 1인분씩 랩이나 밀폐 용기에 포장해 냉동실에 넣는다. 밥의 수분이 날아 가지 않게 얼리는 것이다. 먹기 직전 실온이나 가스레인지에 녹이면 호화(糊化)상태가 유지된 찰진 밥을 빠르고 간편하게 먹을 수 있다.
박상숙기자 alex@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