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를 통해 영어를 입력했으면 웬만한 수준의 말은 저절로 입에서 튀어나올 정도로 입 근육에 ‘운동기억(kinetic memory)’을 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큰 소리로 하는 ‘구두훈련(oral drill)’과 ‘박자 맞춰서 큰 소리로 읽는 훈련’을 해야 한다. 우리나라와 같이 영어를 사용할 기회가 적은 환경에서 가장 중요한 훈련이다.
먼저 구두훈련에 대해 알아 보자. 영어의 문법에는 이해하고 생각해야 할 것이 있는 반면, 입으로 습관화·자동화 시켜야 할 것이 있다. 앞에서 배운 어순감각과 큰 문법은 머리로 익혀야 하는 것이고 그 밖에 작은 문법은 입으로 익혀야 한다. 입으로 익혀야 하는 문법을 예로 들면 3인칭·단수·현재형 일때 ‘s’붙이기,be동사 변화, 단·복수에 따른 동사 변화, 동사의 불규칙 과거형, 의문문에서 주어와 동사 순서 바꾸기 등이다. 이런 작은 문법은 생각할 시간적 여유가 없기 때문에 습관적으로 입에서 튀어나올 정도로 입의 근육을 훈련시켜야 한다.
‘단어 바꿔 말하기 연습(substitution drill)’은 많은 도움이 된다. 정해진 문형을 가지고, 교사가 바꿔 넣을 단어를 불러 주면 학생이 그 단어를 갈아 끼워서 응하는 연습이다.‘I am happy.´를 ‘You are happy.´,‘She is happy.´ 등으로 바꾸는 식이다. 의문문 연습은 교사가 먼저 기본문을 제시하고 주어만 바꿔서 얘기하면 학생은 ‘Do you like apples?´,‘Does she like apples?’ 등으로 대답하면 된다.‘Her hat is as big as mine.´과 같은 비교 문형의 연습도 교사가 ‘good´,‘pretty’ 같이 형용사를 바꿔서 제시하고 학생은 그에 맞춰 대답하면 된다.
이런 연습들은 속도를 빠르게 해서 주어의 변화에 따른 동사 변화가 자동적으로 되도록 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처음에는 쉬운 문형으로 시작하고 점차 어렵고 복잡한 문형까지 연습해 보자. 바꿔 넣는 숫자도 한 개에서 두 개 이상으로 늘리고, 단순히 정해진 자리에 단어를 갈아 끼우는 연습에서 단어의 종류에 따라 알맞은 자리를 찾아서 넣는 연습(moving-slot) 등을 다양하게 활용해야 한다.
‘단어 바꿔 말하기 연습’ 말고도 긍정문을 의문문으로 바꾸거나 평서문을 부정문으로 바꾸는 ‘변형 훈련’,‘질문·대답 훈련’ 등 여러 가지를 적절히 사용하면 도움이 된다. 구두 훈련은 혼자서 연습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지만 큰소리로 읽는 연습으로 해결할 수 있다.10m 전방의 상대에게 말하고 있다는 기분으로 박자를 맞춰 큰 소리로 읽으면 된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영어회화를 할 때 목소리가 자꾸 작아진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라도 평소 이 정도 소리로 연습해야 실제 대화에서 상대방이 알아 들을 수 있도록 자신있게 말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