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렇다면 외부를 보지 못하는 선실과 기내에서는 왜 멀미가 생길까? 우리 몸이 일정한 진동만 느껴도 감각계에 혼란이 생길 만큼 민감하기 때문이다.
멀미는 밤낮이나 식사와 무관하게 몸이 1분당 6∼40회 정도의 진동을 느낄 때 가장 심하게 나타난다. 따라서 심하게 흔들리는 배안이나 기내에서 승객은 외부를 보지 못하지만 귓속 감각계의 정보를 통해 몸이 흔들리고 있다는 것을 느끼고 멀미를 하게 된다. 차 안에서 책을 읽을 때도 시각은 한곳에 고정돼 있지만 다른 감각기관이 움직임과 진동을 느껴 멀미가 생기기도 한다.
멀미는 여성이 남성보다 2배 더 많이 느끼고 생리 기간 중 증상은 더 심해진다고 알려져 있다. 또 2∼12세 ‘유소아기’에 멀미를 가장 많이 경험한다. 일부 외국학자들은 멀미에 가족력이 있다는 주장도 제기한다.
멀미는 주변 환경만 바꾸면 증상을 쉽게 완화시킬 수 있다. 우선 각종 교통수단을 탑승할 때는 흔들림이 적은 좌석에 앉도록 한다. 배는 중앙좌석을, 비행기는 주 날개의 앞쪽 좌석, 버스나 자동차는 앞좌석에 앉는 것이 좋다. 외부 경치를 볼 때도 가까운 풍경보다 변화가 적은 산이나 지평선을 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많은 음식을 먹거나 과음을 해서는 안 된다. 일부러 굶어도 멀미를 더 많이 느낄 수 있기 때문에 여행 직전에 가볍게 음식을 섭취하는 것이 좋다.
연세대 신촌세브란스병원 이비인후과 이원상 교수는 “이동 중에는 책이나 신문,TV를 보지 말고 수면을 취해야 멀미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면서 “패치 형태의 멀미 예방제도 좋지만 ‘항히스타민’과 ‘히오신’ 성분의 멀미 예방약은 졸음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가급적 운전자는 멀리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정현용기자 junghy77@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