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불안감과 조급함은 무리한 계획을 만들게 하고, 이를 제대로 실천하지 못한 데서 오는 초조함은 집중을 방해해 학습 능률을 떨어뜨린다.
본격적인 수능 승부는 이제부터다. 마라톤으로 치면 35㎞ 정도의 지점에 와 있다. 최종 순위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 순위는 앞으로 얼마든지 바뀔 수 있다. 이제 서서히 마지막 스퍼트를 준비해야 한다. 이를 위해 페이스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마음의 각오를 새롭게 다져야 한다.
이제 대부분의 수험생은 실전 문제풀이 중심으로 공부한다. 이때 문제풀이에 임하는 자세가 중요하다. 우선 어려운 문제를 만났을 때 흔들리지 않는 태도를 길러야 한다.
어떤 학생은 가슴만 답답해하다가 문제를 끝까지 꼼꼼하게 보지도 않은 채 대충 읽고 다음 문제로 넘어가 버린다. 그러나 잘 모르는 문제라도 위축되거나 두려워해서는 안 된다. 잘 모를수록 문제를 되풀이해 읽으며 악착같이 물고 늘어지는 근성이 있어야 한다.
문제풀이 과정에서 조금 생각하다가 잘 모른다 싶으면 바로 정답과 해설을 보는데 이는 바람직하지 않다. 가급적이면 일정 분량의 문제를 일정 시간 안에 풀고, 틀린 문제를 중심으로 심도있게 고심한 다음 정답을 맞춰보는 것이 좋다. 이때 정답과 해설을 확인한 뒤 오답노트를 정리해 두면 최종 마무리 단계에서 효과를 볼 수 있다. 또 틀린 문제 가운데 기본 개념이나 원리와 관계되는 내용은 교과서 등을 통해 다시 정리하는 것이 좋다.
마무리 정리에서는 시간 배분도 중요하다. 가령 문제풀이 시간이 5분밖에 남지 않았는데 몇 문제를 풀지 못했을 경우에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어떤 학생은 시간을 의식하지 않고 담담하게 문제를 푸는가 하면, 다른 학생은 안절부절 못하며 연신 시계를 들여다본다. 전자의 경우 집중력을 잃지 않았기 때문에 시간이 부족하더라도 실점을 최소화할 수 있지만, 후자의 경우는 문제를 대충 보고 판단해 다음 문제로 넘어가 버리거나 지문 읽기가 제대로 되지 않아 엉뚱한 답을 고를 여지가 크다.
두 학생에게 5분은 전혀 다른 의미가 된다. 이 차이는 평소 문제풀이 과정에서 경험을 통해 스스로 경향을 파악한 뒤 조금씩 고쳐나가면 충분히 극복할 수 있다.
메가스터디 입시평가연구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