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려진 대로 국제중 전형은 총 3단계다. 학교생활기록부, 자기소개서 등 서류로 5배수(800명)를 거른 뒤 개별면접과 집단토론 등으로 3배수(480명)를 선발한다.
마지막으로 무작위 공개추첨을 통해 최종 160명을 가린다.
●“경시대회 성적 등이 당락 결정할 것”
따라서 1단계를 통과하려면 초등학교 때 학교시험이 중요하다. 학교시험이 학생부 교과 평가에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학교 성적이 나쁘면 일단 서류에서 통과하기가 어렵다.
하지만 초등학교의 학생부는 객관적인 평가가 어려운 게 사실이다. 때문에 영재교육원 등 특기 재능 보유나 자기소개서, 졸업 후 진로 및 계획 등의 비중이 클 거란 얘기가 나오고 있다.
서울시교육청은 서류전형 과정에 영어 성적이나 사설 경시대회 수상 경력 등을 배제하고 학생부 중심의 선발을 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현실은 좀 다르다.
학생부가 변별력이 없다면 국제중 입장에서는 ‘자기소개서’에 담긴 공인영어인증 성적이나 사설 경시대회 수상 실적을 참고할 수밖에 없다.
학부모들은 특히 최종단계는 무작위추첨인 만큼 성적과 관계없이 순전히 ‘운’으로 당락이 결정될 수 있다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
●“국제중 입학이 외고진학에 오히려 불리”
전문가들은 영어로 수업을 듣기 어려운 학생들은 아까운 시간을 낭비하지 않기 위해서라도 국제중 지원 자체를 재고해야 한다고 충고한다.
또 외국어고 입학을 위해 국제중을 선택하는 것도 근거 없다는 지적이다. ‘국제중→외국어고→명문대’의 라인을 생각하지만 현실은 다르기 때문이다. 초·중등 영재교육 입시기관인 하늘교육 관계자는 “당장 국제중 학생은 학교 내신의 불이익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외국어고 입시에 유리한 고지에 있다고 말할 수 없다.”고 말했다.
●“경쟁률 최소 5대 1 이상 될 것”
학원가는 서울에 신설되는 국제중의 경쟁률이 최소 5:1이 넘을 것이라고 예측한다. 경기 가평 청심중학교는 2007학년도 입시의 경우 서울지역 소재 지원자가 1600여명이나 됐다. 합격생도 절반 정도가 서울지역 출신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 인원이 대부분 서울지역으로 흡수된다고 가정하고 이번에 신설되는 영훈·대원국제중 두곳의 최종 선발인원이 320명(각각 160명)임을 감안할 때 최소 5대 1의 경쟁률 이상이 나올 것이라는 게 중론이다.
특히 유행처럼 퍼지는 ‘국제중 신드롬’으로 인해 인지도가 높아지면서 경쟁률은 더 높아질 수 있다. 아울러 모집인원이 320여명에 달해 ‘수요가 늘었다.’는 인식이 퍼지면 경쟁률이 수십대 일 이상이 될 수도 있다.
하늘교육 관계자는 “서울지역 학부모와 학생 입장에서 근접성 면에서 청심국제중보다 더 좋은 조건이 생겨난 셈”이라면서 “여러 시너지 효과가 겹치면서 높은 경쟁률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처럼 ‘치열한 경쟁’이 더욱 가속화될 수밖에 없어 국제중 진학에 실패할 경우, 어린 초등학생들이 적잖은 마음의 상처를 입게 된다는 점을 학부모들은 감안해야 한다.
이경원기자 leekw@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