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우성
성(性)은 아우성인가
‘O양의 비디오’도, 그 누구의 ‘아우성(아름다운 우리의 성)’도 성과 성교육을 위한 우리 사회의 한 담론입니다. 성은 무엇이고, 섹스란 무엇입니까? 성이란 성욕의 준말이고, 성욕이란 암컷과 수컷이 서로 결합하고자 하는 자연적인 욕망을 말합니다. 그 결과는 새로운 생명을 잉태케 하고, 그 종을 번식토록 합니다. 이러한 생물학적 정의에는 아무런 하자가 없습니다.
그러나 ‘장미여관(마광수)’에서나 ‘아우성’에서의 성행위 혹은 포르노적 섹스라고 하면, 그 자연적 본질성을 떠나게 됨으로써 이래저래 말썽이 생깁니다. 한편에서는 무차별적인 성행위나 난잡한 포르노 등으로 인해 오늘날을 구제 받을 수 없는 말세라고 하는가하면, 다른 한편에서는 그러한 것들이 아주 자연적인 것인데 그러한 섹스를 좀 즐긴다고 해서 어떠냐는 주장입니다.
성행위라는 것이 터놓고 보면 아무 것도 아닌데 뭐가 그렇게 대단한 것이라고 큰 비밀처럼, 그것도 엄숙하게 안방에서만 치러야하는가 하고 혹자는 강변합니다. 어디 이 뿐입니까? 한편에서는 정조(貞操)를 지켜야 한다고 하고, 다른 한편에서는 정조는 무슨 정조냐면서 구닥다리의 관념을 짚어치우라고 욱박지르기도 합니다.
도대체 정조란 무엇인데요? 정조란 이성관계에 있어서 육체적 또는 정신적으로 순결을 보전하는 일을 말합니다. 더욱 직접적으로는 깨끗한 절개를 말합니다. 한 마디로는 ‘순결’을 의미하지요.
한 방송사에서 어느 대학의 여학생들에게 순결에 대한 설문조사를 하였습니다. 그 결과 A군(群)의 여학생들은 남친(남자친구)과의 관계에서 지금까지 사랑을 위해 정조를 지켰기 때문에 떳떳하다고 하였고, B(群)군의 여학생들은 정조보다는 (사랑이 우선이기 때문에 정조 대신으로) 사랑하는 남친을 얻게되어 떳떳하다고 했습니다.
전자의 학생들은 ‘육체적 순결’을 지목하였고, 후자의 학생들은 ‘정신적 순결’을 지목하였습니다. 다시말해 앞의 학생들은 부모까지를 의식하였다면, 뒤의 학생들은 자신만을 의식하였다고도 할 수 있습니다. 세상이 많이 달라졌다고는 하지만, 아직도 이 양자의 경우 앞에 서서 고민하지 않는 젊은이들이 과연 얼마나 될까요? 사랑을 따르자니 순결이 문제가 되고, 순결을 따르자니 사랑이 문제가 되니 말입니다.
어찌 이러한 경우가 한 소설이나 영화에서만 가능하겠습니까! 실지로 우리 사회의 유명한 한 여배우 역시 홍성기씨가 첫째 남편이었고, 둘째는 최무룡씨였으며, 셋째는 나훈아씨였고, 넷째는 이종구씨였습니다. 지금은 혼자라고만 합니다만. 참으로 첫날밤을 함께 자고 났다고 해서 나의 처가 더 이상 순결하지 않다고 하는 남편은 어디에도 없을 것입니다.
그렇다고 정신적 순결만이 제일이어서 육체적 순결은 그냥 아무렇게나 팽개쳐도 된다고 할 수는 없는 법이지요. 참으로 내팽개친 육체 앞에 온전한 정신이 어디 있겠습니까! (a sound mind in a sound body).
세상에 인군(人君)치고 조선 초의 세종처럼 왕자만을 28여명씩이나 둔 경우는 그리 흔치 않습니다. 그 자체로 보면 세종이야말로 성욕으로 가득 찬 한 제왕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한마디로 그를 섹스의 왕이라 할 수도 있으나, 오히려 그를 대왕(大王)이라 하고, 성왕(聖王)이라 부르는 것은 백성을 위한 그의 분명한 보편적 가치에 대한 자기의식 (훈민정음 등) 때문입니다.
그로 인해 우리 민족 전체의 정체성을 정신적으로 되찾게 되었다면, 그는 단순한 성욕과 무관한 성군(聖君)임이 분명합니다. 참으로 순결이란 존재하는 것이 아닙니다. 그렇기 때문에 소유할 수가 없습니다. 소유할 수가 없으니, 잃어버릴 수도 없는 법이지요. 순결은 분명 존재가 아니고, 샘물처럼 언제나 새로 솟아나는 생성입니다.
성이 난잡하다, 난잡하지 않다는 것은, 아니 순결하다, 순결하지 않다는 것은 반성적 인간 삶의 자기가치에 대한 철학적 책임의식에서 결정되는 것입니다. 이러한 철학적 자기책임의식은 그것이 어떠한 순결이든지 간에 무모한 성에서 ‘스스로’를 해방케 하고, 마침내 ‘인간성 해방’까지를 가능케 하는 것입니다. <백승군교수/철학자/넷향기/재편집> |
잃어버린 얼굴(Losing Face) / 작가: 김동원
김동원_LOVE_캔버스에 유채_130×162cm_2008_부분
김동원_어울리지 못하는 사람들-4_캔버스에 유채_130×130cm_2009



▲ 미디어 체인지▼
서양 미술사의 500년 여인상
Women In Art 500 Years of female portraits in western art.
▲ 미디어 체인지▼
유명 스타들의 과거에서 오늘까지(Men in Film)
▲ 미디어 체인지▼
낙엽이 지기전에 돌아서려니 벌써 눈이 내리네
하지만 어쩌다 그리울때면 지나간 날들을 사랑이라 여기고
흐르는 시간속에 나를 달래며 잊을수는 없을까
아는지 모르는지 웃음만 보이던 그대가 커피한잔의 추억은아닌거야
이렇게 흘러가는 세월속에서 슬픈사랑의 비밀을 간직한채
또 다시 내일을 기다려 내일을 기다려
이렇게 흘러가는 세월속에서 슬픈사랑의 비밀을 간직한채
또다시 내일을 기다려 내일을 기다려
국어시간 선생님 "예를 들면, '우리 담임선생님은 그러자 한 학생이 손을 번쩍 들고 말했다. . . . . . . 심오한 깨달음 어떤 철학자가 서재에서 종이 위에 '여보, 좀 쉬었다 해요!' '그럼 사랑에는 무엇이 필요한가?'라고 쓴 다음 골똘히 생각에 잠겨 있는데, 다시 부인이 들어와 속삭였다. '여보, 난 지금 사랑이 필요해요!' . . . . . . '사랑에 필요한 것은 몸보신이다.' |
* * *
자연과 여심 / Judge Jimmy
<Source: Cafe Surfing>
* * *
잔병치레를 없애주는 손 마사지
손을 수시로 눌러주거나 문질러주면 혈액순환을 도와 몸이 건강해진다 엄지와 검지를 이용해 너무 세지 않은 강도로 문지르듯 마사지해주는 것이 좋다
1. 손톱 양옆 누르기 엄지와 검지로 손톱 양옆을 꼭 누른다 열 손가락을 모두 같은 방법으로 하고 특별히 더 아픈 부위를 시원한 느낌이 들 때까지 누른다. 목의 긴장을 풀어 뒷목이 편안해진다
2. 손가락 뒤로 젖히기 손가락으로 반대편 손가락을 하나씩 뒤 쪽으로 젖힌다 손가락에는 몸 전체의 모세혈관이 많이 분포돼 있어 혈액순환에 도움이 된다
3. 손가락 사이 누르기 손가락 사이 갈라진 부위를 반대편의 엄지와 검지로 꼬집듯이 눌러준다 임파선과 연결돼 있어 감기에 걸렸을 때 자주 하면 감기 예방과 치료에 도움이 된다.
4. 손가락 전체 젖히기 손가락을 가지런히 붙여 반대편 손바닥을 대고 손등 쪽으로 서서히 밀어준다. 컴퓨터 앞에 오래 앉아 있을 때 해주면 눈과 목의 피로가 풀린다.
5. 엄지 주무르기 엄지를 반대편 손가락 전체로 움켜잡고 꾹꾹 주무른다 두통이 있을 때 하면 머리가 밝아진다. |
6. 손목 바깥쪽 누르기 손목 가장자리의 움푹 들어간 곳을 수시로 눌러준다. 양쪽 모두 같은 방법으로 하고 특히 더 아픈 곳은 시간 날 때마다 꾹꾹 눌러준다. 생리통이나 허리통증 해소에 좋다.
7. 손바닥 중앙 문지르기 손목 중앙 바로 위부터 손바닥 중앙까지 엄지로 밀듯이 문지른다. 소화가 잘 안 될 때 반복하면 도움이 된다.
8. 새끼손가락 옆쪽 위아래로 문지르기 새끼 손가락의 가장자리를 엄지와 검지를 이용해 위에서 아래로, 아래에서 위로 꾹꾹 눌러준다. 다리의 혈액순환에 도움이 된다.
9. 검지로 손등 마사지하기 손등의 손가락 뼈 사이 사이를 검지로 누르면서 밀어 마사지한다 스트레스를 받거나 가슴이 답답할 때 해주면 도움이 된다.
10. 손가락 아래쪽 누르기 손바닥과 손가락 경계선을 반대편 엄지로 꼼꼼히 눌러서 마사지한다. 눈이 피곤하거나 귀에서 소리가 날 때 눌러주면 효과가 있다. |
살아서 웃는 돼지가 있다면
가치로 환산할 수 없을 것이다.
의상보다도 훨씬 돋보이고 인상적이다.
웃음은 최고의 화장이요,
-발췌/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