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호야

앙드레 김의 고독과 아쉬움

바보처럼1 2010. 9. 13. 14:20

 

 
파도 예술

 

 


인생 8고(人生八苦)의 근원


1) 첫째, 생고(生苦)이니, 태어남이 고통(苦痛)

2) 둘째, 노고(老苦)이니, 늙어감이 고통(苦痛)

3) 셋째, 병고(病苦)이니, 몸아픔이 고통(苦痛)

4) 넷째, 사고(死苦)이니, 죽어감이 고통(苦痛)

5) 다섯째, 애별리고(愛別離苦)이니,

사랑하는사람 좋아하는 것들과 해어지는고통(苦痛)

6) 여섯째, 원증회고(怨憎會苦)이니,

미워하는 사람, 싫어하는 것들과 부딪히는 고통

7) 일곱째, 구부득고(求不得苦)이니,

구하고자 함을 적게 얻거나 얻지 못하는 고통(苦痛)

8) 여덟째, 오온성고(五蘊盛苦)이니,

닦지 않고 쾌락만을 좇는 고통(苦痛), 

이것을 인생팔고(人生八苦)'라고 한다.


인생살이 과정에서 그림자 처럼 따라 다니는

팔고는 왜 생겼을까?

바로 욕심이 그 원인이요,

세분하면 욕심,성냄,어리석음 때문이다.

이를 삼독심(三毒心),

세 가지 독소적인 마음이라 한다


그러면 삼독심(三毒心)은 왜 생길까.

그것은 세상 돌아가는 이치를 알지 못하는

무명(無明) 때문이다.


※무명[無明]: 잘못된 의견이나 집착 때문에
진리를 깨닫지 못하는 마음의 상태를 이르며,
모든 번뇌의 근원이 된다.<네이버검색>


 

‘핀업걸 아트(Pin-up Girl Art)' 

  duga2.jpg 

 

핀업걸아트(Pin-Up Girl Art)의 배경

핀업은 회화나 삽화 등에 다양한 분야에 1941년 처음으로 영어로 명시되었다. 핀업의 이미지는 신문이나 잡지 엽서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알려졌다. 이중 일부는 달력을 통해 알려지기도 했으며 이때부터 벽에 걸어 놓는 사진이라는 의미가 붙여지기 시작했다. 

핀업걸은 제2차 세계대전에 동원된 미군 병사들이 여성의 화보를 핀으로 벽에 고정(Pin-Up)시켜놓고 수시로 봤다는 이유로 이러한 모델들을 일컫는 말이 됐다. 눈부신 금발, 터질 듯 풍만한 가슴, 도발적인 면모 뒤에 감춰진 백치미와 보호본능을 유발하는 연약함 당시에는 티비나 위문공연이 없어서 주로 풍만하고 섹시한 핀업걸 브로마이드를 보며 전쟁속의 외로움을 달랬다고 한다.  

또 다른 핀업의 형태는 예술작품 즉 아름답고 매력적인 여성에 관한 이상향 혹은 그에 관한 생각을 표현해 낸 결과물 이기도하다.
핀업의 전성기는 1930년대~50,60년대 당시 가장 대표적인 작가가 질 엘그렌(Gil Elvgren) 이다. Gil Elvgren 1914년에 출생하여 1930년대 중반부터 시작되어 40년이 넘도록 계속된 그의 커리어는 여성스러운 아름다움을 표현하는데에 매우 뛰어난 재능을 지닌 그를 최고의 핀업 아티스트로 만들어주었다. 

  그림은 질 엘그렌(Gil Elvgren)의 그림이 링크가 안돼
알베르토 바르가스(Alberto Vargas)의 핀업 걸(Pinup girl)로 대체하였습니다.^^

duga1.jpg

 

duga12.jpg

duga3.jpg 

duga4.jpg

duga5.jpg

duga6.jpg

duga7.jpg

duga8.jpg

duga9.jpg

duga10.jpg

duga11.jpg

duga22.jpg

duga13.jpg

duga14.jpg

알베르토 바르가스(Alberto Vargas)의 핀업 걸은 1940년 10월 남성잡지 에스콰이어에 의해 바르가 걸(Varga Girl)이란 이름으로 첫 번째 책이 출판되면서 주목받기 시작했다. 바르가스의 핀업 걸은 단순한 여성의 초상이 아니라 생명력을 불어넣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그는 핀업 걸을 그리는 이유에 대해 단순히 보여 지는 여성의 아름다움 이상의 것을 담아내기 위해서라고 대답했다고 한다.


duga15.jpg

duga16.jpg

duga17.jpg

duga18.jpg

duga19.jpg

duga20.jpg

duga21.jpg

 

 

  

앙드레 김의 고독과 아쉬움

앙드레 김.jpg"고독과 아쉬움이 있지만 후회하지 않는다."
우리에게 너무나 익숙한 이름 앙드레 김, 김복남... 나는 앙드레 김으로 부르는 것 보다는 차라리 '복 많은 남자 김복남'이 더 정겹다. 김봉남이라고 하나, 나는 그냥 김복남으로 생각한다. 그가 세상을 타계했다는 것을 어젯밤 퇴근길 차 안에서 들었다.

세상에 나고 죽는 양이 가장 슬프다고 말한 춘원 이광수의 산거일기가 가끔 생각난다. 나이가 들어갈수록 주변의 죽음이 예사롭지 않다. 보름쯤 전에 백세를 넘기신 지인의 어머님의 별세도 나는 슬펐다. 한 인간이 태어나서 온갖 몸부림으로 세상을 살아가지만 어느 순간 모든 것을 내려 놓아야 한다는 것.... 나는 그것이 참 슬펐다.

앙드레 김을 직접 스치면서 본 적이 있다. 소공동 조선호텔 레스토랑에서 나는 그분을 뜻밖의 스침으로 만날 수 있었다. 그날도 예의 흰옷 차림이었지만 늘 화면 속에서의 만남에 익숙한 탓인지 그 시간이 어색했다. 눈부신 흰옷차림이 아닌, 약간은 세탁소에 보내야 할 상태의 옷이구나 싶던 그 순간, 나는 그분이 차라리 편안해졌다. 내 눈에 비친 그의 모습은 약간은 작아보였다. 화려한 앙드레 김이 아니라 고단한 앙드레 김처럼 보여서 연민의 정도 느껴졌다. 독특한 이마 화장이 나를 민망하게 하기도 했다. 그러나 나는 그 순간의 그와의 조우가 행복했었다.

많은 사람들이 그와의 작별은 아쉬워하리라. 어느 인터뷰에서 그는 말했다고 한다. "고독과 아쉬움이 있지만 후회하지 않는다." 고...... 고독과 아쉬움이 남지 않는 삶이 어디 있으랴.... 후회하지 않고 홀연히 떠날 수 있다면 축복이 아닐까 싶다. 그의 고독과 아쉬움이라는 인간적인 정서가 애처러운 생각이 든다. 피붙이 없이 세상속을 걷는다는 것이 얼마나 고독할까.... 물론, 그에겐 소중한 가족이 있었으며 또한 그 속에서 가득히 행복했을 것이지만 내 마음 속의 그는 정말 외로웠을 것 같다.

사람 속에 부대끼며 감정의 회오리가 일어날 때 마다 나는 남의 말, 남의 지적, 남의 판단, 남에 의해서 결정 지어지는 그 어떤 것들로 부터도 자유로워지자고 다짐을 한다. 모든 것은 바람처럼 지나가는 것이며, 타인이 내 삶을 살아주는 것이 아님을 냉정히 안다. 날마다 먼지처럼 일어나는 오해 속에서 우리는 남에게 비쳐지는 내 모습을 다듬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살아가지만 되돌아보면 그건 너무 허무한 낭비라는 생각을 자주 한다. 그 모든 것들이 정작 내가 떠나는 순간엔 아무것도 아니었음을 알고 있기에....

어쩌면 우리는 매 순간 뜨거운 감사함으로 우리가 살아있음에 감격해야 하는 것인지도 모른다. 홀로 떠나야 하는 극적인 그 순간을 생각하며 우리는 날마다 정말 기꺼이 행복해야 하는 것은 아닌가 싶은 것이다. 그래서 후회하지 않을 수 있게 되어야 하는 것은 아닌가 싶은 것이다.

그가 후회없이 떠나갈 수 있음은 삶에 대한 기꺼운 행복과 사랑을 원 없이 나누었기 때문이 아닌가 싶다. 자신이 지은 가장 아름다운 하얀 옷을 날개옷처럼 입고, 그는 훨 훨 떠나갈 수 있게 되기를 기도해 본다. 행복한 웃음을 머금고 우리들에게 손 흔들며 실과 바늘과 헝겊들은 내려 놓고 떠나가기를...

그분의 명복을 빌고 또 빌어본다. 평생 그분의 작품 가까이도 못 가본 나같은 사람도 왠지 가까운 소중한 이웃과의 작별을 하는 것 같아 마음이 아프다. 그리고 쓸쓸하다는 생각도 한다. <이나경 님의블로그 / 축약 / 재편집>

  

  Indian Reservation  

 

They took the whole Cherokee nation
Put us on this reservation
Took away our ways of life
The tomahawk and the bow and knife
Took away our native tongue


And taught their English to our young
And all the beads we made by hand
Are nowadays made in Japan
Cherokee people, Cherokee tribe
So proud to live, so proud to die

They took the whole Indian nation
Locked us on this reservation
Though I wear a shirt and tie
I'm still part redman deep inside
Cherokee people, Cherokee tribe
So proud to live, so proud to die

But maybe someday when they learn
Cherokee nation will return

 

우리의 나라를 송두리째 가져가 버렸어
그리고 우리를 이 인디언 보호구역에 쳐박았지
그들은 우리 인디언의 전통을 빼앗아갔어
도끼와 활과 단검을 말이야
우리 말을 없애 버리고


우리 아이들에게 그들의 영어를 가르쳤지
우리가 만들었던 공예품들은
지금은 일본제가 되어 버렸어
체로키 민중! 체로키 부족!
사는 것도, 죽는 것도 자랑스러워!

우리의 나라를 송두리째 가져가 버렸어
그리고 우리를 이 인디언 보호구역에 가두었지
비록 내가 셔츠와 넥타이를 맬 지라도
내 맘 깊숙이 난 홍인=인디언이야
체로키 민중! 체로키 부족
사는 것도, 죽는 것도 자랑스러워!

하지만 언젠가 우리 아이들이 제대로 배우게 된다면
체로키 인디언 나라는 다시 돌아올거야


Don Fardon

 ▲ 미디어 체인지 ▼
위쪽의 Media Play Button (■) Click Off 후,
→ 아래의 Media Play Button (▶) Click on!
각 미디어 플레이 중 창 하단에 뜨는 광고는
우측의 삭제바튼(x)을 클릭하시면 제거됩니다.

 America's Got Magic Talent (미국 스타킹)

Illusionist Murray SawChuck performs the most amazing magic for the judges and audience of 'America's Got Talent

▲ 미디어 체인지 ▼

Chinese Acrobatics Duo(중국 페어 공중 곡예)

Chenying Lu and Junlin Zhang, both 23 years old, form the spectacular Chinese 'Duo Yingling' that repeatedly takes
its audience to a sublime realm of far-eastern magic.

  ▲ 미디어 체인지 ▼

   나 살던 고향은(원시 제목 : 유곡나루) / 곽재구 詩, 정태춘 곡.노래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육만 엔이란다. 후꾸오까에서 비행기 타고 전세 버스 부산 거쳐, 순천 거쳐 섬진강 물 맑은 유곡 나루 아이스박스 들고, 허리 차는 고무 장화 신고 은어 잡이 나온 일본 관광객들 삼박사일 풀 코스에 육만 엔이란다. 초가 지붕 위로 피어오르는 아침 햇살 신선하게 터지는 박꽃 넝쿨 바라보며 리빠나 모노 데스네, 리빠나 모노 데스네... (아, 훌륭하군요, 정말 대단합니다) 까스불에 은어 소금구이 혓바닥 사리살살 굴리면서 신간센 왕복 기차값이면 조선 관광 다 끝난단다. 음~~~ 육만 엔이란다... 초가 지붕 위로 피어 오르는 아침 햇살 신선하게 터지는 박꽃 넝쿨 바라보며 리빠나 모노 데스네, 리빠나 모노 데스네... (아, 훌륭하군요, 정말 대단합니다) 낚싯대 접고 고무 장화 벗고 순천의 특급 호텔 싸우나에 몸 풀면 긴 밤 내내 미끈한 풋가시내들 써비스 한 번 볼 만한데... 환갑내기 일본 관광객들 칙사 대접받고, 그저 아이스박스 가득가득 등살 푸른 섬진강 그 맑은 몸값이, 육만 엔이란다. 나의 살던 고향은 꽃피는 산골 좆되 버렸네. ** 곽재구의 시에 정태춘이 곡을 붙여 노래를 부르면서 곽 시인의 허락을 얻어 마지막에 나의 살던 고향은 꽃피는 산골 나니나니나

곽재구의 시집 <섬진강 사랑>은 그의 역마살 팔자 중에서도 유별나다. 그의 산문집 <내가 사랑한 세상 내가 사랑한 사람들>에서도 잘 나오지만 그 맑은 물살에 풋가시내 하얀종아리 같은 은어떼는 단순히 입 맛 돋구는 생선을 표현한 것이 아니다. 해방 후 위, 아래 몸팔아 달러 벌고, 엔화 벌어 고단한 삶을 연명해 온 피 눈물 나는 詩이기도 한 것이다.

 

 

지옥이 더좋아

어느 여학교 동창회 파티에서 어쩌다 지옥과 천당 이야기가 나왔다.

그때 한 여자가 옆의 친구에게 소곤 거렸다.

"난,지옥이 더좋아"

"어머, 지옥이 더 좋다니 끔찍한 소릴 하는구나"

"정말이야 얘! 멋진 사내들은 죄다 지옥에 가 있대!

 


시체들의 사연

시체실에 3명의 시체가 왔다.
그런데 시체가 모두 웃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검시관이 경찰에게 물었다.

"아니 시체들이 왜 웃는 거요?"

"이 첫번째 시체는 일억원짜리 복권에
 당첨되어 심장마비로 죽은 사람입니다."

"그리고 이 두번째 사람도 심장마비인데
 자기 자식이 일등했다고 충격 받아서 죽은 사람입니다"
 라고 말했다.

검시관은 나머지 한사람에 대해서도 물었다.

"그럼 이 세번째 사람은?"

그러자 경찰이 말했다.

"이 세번째 사람은 벼락을 맞았습니다."

"벼락을 맞았는데 왜 웃고 있어?"
.
.
.
.
.
.
.
.
.
.
 "번쩍거리길래 자기 사진 찍는 줄 알고 웃었답니다" 

 

"길이만 324m"…세계에서 가장 긴 의자 '탄생' 

[스포츠서울닷컴/오세희 인턴기자] 영국의 디자인 사이트 '디진'은 지난 16일(한국시간) "리틀 햄프턴 지역에서 세계에서 가장 긴 의자가 만들어졌다"며 "이 의자는 총 길이가 무려 324m가 된다"고 보도했다. 세계에서 가장 긴 의자는 한 카페 주인에 의해 고안됐다. 그녀의 이름은 소피 머레이로 리틀 햄프턴 동쪽 해변길을 산책하는 관광객을 위해 처음 아이디어를 제공했다. 그리고 이 아이디어가 시에 받아들여지면서 가장 긴 의자가 탄생될 수 있었다. 의자는 재활용 소재들로 만들어졌다. 영국 철강 건설 협회에서 제공한 스테인리스 스틸이 70%를 차지했다. 그 외에는 가장 강한 나무 중 하나로 알려진 열대 활엽수들들이 사용됐다. 이후 다양한 색의 페인트를 칠해 디자인에도 신경을 썼다. 대부분은 지역 주민들의 손길이 보태졌다.

처음 아이디어를 제공한 머레이도 평범한 주민 중 하나였음은 물론이고 긴 의자에 색을 입힌 것도 리틀 햄프턴 지역의 학생들이었다. 페인트를 이용해 색색의 각기 다른 색을 칠한 것이 특징이다. 리틀 햄프턴의 동쪽 해변을 따라 위치한 이 의자엔 총 300명이 앉을 수 있다. 현재는 의자의 총 길이를 612m까지 확장하는 공사를 시행 중이다. 공사 후에는 의자 전체에 약 800명이 한꺼번에 앉을 수 있는 길이가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해변을 찾은 한 관광객은 의자의 길이에 놀라움을 감추지 못했다. 그는 "해변 근처에서 의자를 발견하고 앉아서 경치를 구경할 수 있다는 것이 좋았다"며 "그런데 이 의자가 해안가를 따라 길게 이어져 있는 것을 보고 눈을 의심했다"고 말했다. <글=오세희 인턴기자, 사진=디진> 2010.8.19

   

 
 
별에 이를 수 없는 것은 불행이 아니다.
불행한 것은 이를 수 없는 별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것이다.
- 인생수업 中 -

 
A cup of coffee at ease!
Scrapped in places, Edited or Written Partially
by 0000, Sincerely, Private, 9.4, 2010
 
 

< Hohoya Plus >
짬이 되고 흥미가 있을 때...

  

갑상샘암 이야기

제 직업이 의사라서 그런지 종종 병원과 관련된 부탁을 받곤 합니다. 이 부탁이라는게 하는 사람 입장에서나 들어주는 입장에서 명쾌하게 맞아 떨어지지 않을 때가 있는데 그럴 경우에는 서운함과 오해가 생기기도 합니다. 갑상샘암 이야기를 하고자 합니다. 오늘 모 일간지에서 객관적인 기사를 쓴 것은 비록 늦었지만 다행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이 기사의 결론은 이렇습니다.

갑상샘암은 모르는 게 약이다.

저도 수술 대기 시간이 너무 길어 불안에 떠는 환자 가족의 부탁을 받고는 아는대로 말씀드렸습니다. 사실 갑상샘암은 가족 중에 갑상샘암으로 돌아가신 경우가 없다면 조기 검진할 필요가 없으며, 설령 일찍 발견된다고 하더라도 암세포의 증식이나 전이가 다른 암에 비해 상대적으로 얌전하기 때문에 수술을 당장 안해도 됩니다. 미국, 영국, 일본 등의 자료를 보면 확실합니다. 그러나 한국 상황은 좀 다릅니다. 암이 생겼는데 당장 수술해야 된다고 생각하는 이들이 많아보입니다. 의사들도 입장이 다릅니다. 외과의사들은 수술을, 내분비 내과 의사들은 관찰하면서 지켜봐도 된다고 합니다. 이런 상황이니 당연히 환자들은 헷갈립니다.

다른 예를 하나 들겠습니다. 자궁에 문제가 있어 수술을 고민하는 이의 부탁을 받고 알아본 적이 있었습니다. 산부인과 의사들 내에서도 암 전공의사는 수술(자궁적출술)을, 내분비 전공 의사들은 최대한 보존적인 치료 방법을 주장합니다. 저는 이렇게 권했습니다. 논란이 있을 때에는 한 발짝 쉬어가도 된다고요. 수술은 언제든지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한번 떼낸 장기는 다시는 되살릴 수 없습니다. 성형수술을 주업으로 삼는 제게도 이 법칙은 철칙입니다. 제거하기는 쉽지만 다시 넣어주기는 어렵다는 원칙.

갑상샘을 제거하면 평생 갑상샘 호르몬을 복용해야 합니다. 이 비용 또한 만만치 않고 그 불편함은 이루 말할수 없습니다. 개별 의사들의 주장이 평행선을 달릴 때 의학협회나 아니면 정부가 기준을 정해야 합니다. 수술하는 병원은 돈을 법니다. 굳이 자본주의 운운하지 않아도 다 압니다. / 김동진 드림

*^^*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