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도 행복도 착시

의백(衣白) 주훈의 동양화속으로
운명을 바꾼 4개의 사과 성서에 나오는 [아담의 사과] 아담과 이브가 선악과를 따 먹지 말라는 하나님의 금기를 어기면서 인간은 낙원에서 쫓겨나고 많은 특권을 상실한다 이로 인해 인간은 뺏고 빼앗기는 굴레에 살게됐다 고대 도시국가 트로이의 왕자 [파리스의 사과] 파리스의 사과는 그리스로마신화에 나오는 사과이다. 신들의 파티에 초대받지 못한 불화의 신이 파티장에 황금사과 한 개를 던져놓고 가자, 다른 신들은 황금의 사과를 차지하기 위해 다툼을 벌인다 제우스로부터 선택권을 얻은 파리스는 권력이나 지혜를 주겠다는 신들 대신 미인계를 쓴 아프로디테에게 사과를 넘겨주고 스파르타의 왕비 헬렌을 차지하게 된다. 그렇지만 파리스는 그리스의 젊은 영웅에게 선망의 대상이었던 헬렌을 취함으로써 그리스 연합군의 공격을 받아 '트로이 멸망'이라는 값비싼 대가를 치른다 한 개의 사과때문에 한 나라의 흥망성쇠가 결정된 것이다. 스위스의 [빌헬름 텔의 사과] 세번째 사과는 14세기 스위스 사냥꾼 빌헬름 텔과 관련된 것. 스위스를 지배하고 있던 오스트리아의 총독은 자신의 모자를 길가에 걸어놓고 스위스인들에게 인사를 하게 만들었지만 명수였던 텔은 일부러 인사를 하지 않았다. 총독에게 잡혀간 텔은 명령에 따라 아들 머리 위에 얻어놓은 사과를 화살로 명중시켰지만 유배형에 처해진다. 유배지에서 탈출한 텔은 결국 총독을 화살로 쏘아 죽이고 스위스의 독릭운동에 불을 지핀다. 빌헬름 텔의 사과는 약소국의 독립운동에 불을 붙인 도화선이 된 것이다. <인용/재편집> 그리고 과학자 [뉴턴의 사과]가 그것이다 마지막으로 뉴턴의 사과 중력의 법칙을 발견하기까지 주저앉아 한숨만 내쉬던 뉴턴에게 나무에 매달려있던 사과가 떨어지면서 만유인력의 결정적인 단초를 제공하고 이는 근대과학을 발전시키는 획기적인 사건이 된다. 네 사람의 사과에서 아담과 파로스는 달콤한 유혹에 자기 중심을 잃고 퇴보의 길을 걸었고, 빌헬른 텔과 뉴턴은 준비된 노력으로 새 세상을 창조하는데 기여했다. 우리 앞에도 많은 '기회의 사과'가 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 사과는 판도라의 상자처럼 제대로 체화하지 못하는 사람에게는 도태를 안기고 변화에 발맞춰 자기 스스로를 냉혹하게 구조조정 하는 사람에게는 희망의 바다로 안착시킨다 선택은 판도라의 상자처럼 '자기변화'에 달려있다. |
네덜란드 꽃 페스티발에 전시된 조형물. 재료는 물론 모두 꽃
01. 찬바람이 불면 - 김연숙 02. 비와 외로움 03. 난 바람 넌 눈물 04. 천상재회
05. 가질 수 없는 너 06. 잃어버린 우산 07. 너를 사랑해 08. 옛 시인의 노래 09. 암 연
10. 슬픈 계졀에 만아요 11. 그저 바라 볼수만 있어도 12. 알고 싶어요
13. 그댄 봄비를 무척 좋아하시나요 14. 백지로 보낸 편지 15. 진정 난 몰랐네
16. 사랑을 위하여 - 김태정 17. 광화문 연가 18. 애 수 19. 슬픈인연 20. 장난감 병정
21. 홀로 가는 길 22. 꼬마인형 23. 애증의 강 24. 백만송이 장미 25. 흔
26. 모두가 사랑이에요 27. 사랑했어요 28. 그리움만 쌓이네 29. 문밖의 그대
30. 비나리 31. 사랑하기 때문에
▲ 미디어 체인지 ▼
위쪽의 Media Play Button (■) Click Off 후, → 아래의 Media Play Button (▶) Click on!
-플레이 중 창 하단에 뜨는 광고는 우측의 삭제바튼(x)을 클릭하시면 제거됩니다.
-해당 미디어 클립 접속이 많은 시간대에는 화면 끊힘현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Yu Ho Jin (마술경연 아시아 참피언)
FISM Asia Grand Prix Champion - Yu Ho Jin - appears live at IMX 2012 ... www.imxlasvegas.com
▲ 미디어 체인지 ▼
Music Video 찌찌뽕 (19禁)
제이통 - 찌찌뽕 from hyeongyeol on Vimeo (국내에서는 차단된 뮤직비디오^^)
한국의 맨하탄
부산 송도의 낮과 밤
누드화 시어머니가 될 부인이 그런데 집 벽에 며느리 될 여자가 "아니, 저 나체 그림은? 그러자 며느리 감의 대답. "아뇨. 저는 포즈를 취한 적이 없어요. 아내는 거실에서 의자를 반쯤 뒤로 젖히고 갑자기 썰렁한 한기에 "여보! 이불 좀 덮어 주실래요?" 했다. 그러자 남편은 이불은 가지러 가지 않고 "아니, 이불 덮어 달라니까?" 이 때 남편 하는 말, "아, 왜 그려~ 입을 덮어 줬잖아!" |
베스트가 되려면 베스트(B.E.S.T.)가 되라.
'B' : 균형 (Balance)
'E' : 열정 (Enthusiasm)
'S' : 집중력 (Single-mindedness)
'T' : 끈기 (Tenacity)
-호호야 선문(選文) / 발췌-

Scrapped in places, Edited or Written Partially
by 0000, Sincerely, Private, 11.24, 2012
[김대식의 '브레인 스토리'] 세월도 행복도 '뇌의 착시 현상' 김대식 KAIST 교수·뇌과학 누구나 행복하게 오래 살길 원한다. 미국 독립선언문을 작성한 토머스 제퍼슨은 계몽주의자 존 로크가 요구했던 '삶, 자유, 자산'이라는 기본 권리에 '행복'을 추가했고, 그때부터 '행복의 추구'는 인간의 본질적 권리로 인정되기 시작했다. 우리나라에서도 '행복한 복지국가' '모두가 다 같이 행복한 사회'라는 어젠다를 자주 들을 수 있다. 하지만 정말 우리가 모두 행복하게 오래 살 수 있는 걸까? 여기서 '행복'과 '오래'란 개념에 뇌과학적 접근을 해볼 필요가 있다. 철학자 아우구스티누스가 '시간이란 무엇이냐'는 질문에 "알다가도 대답하려면 모르겠다"고 말했듯이, 시간은 상대성이론과 양자역학을 이해하는 현대인에게도 미스터리다. 하지만 모든 세대와 문명은 나이가 먹을수록 시간이 빨리 흐른다고 느끼는 공통점이 있다. 그럼 왜 어린이와 어른은 시간의 흐름을 다르게 느끼는 것일까? 그 이유는 어른과 아이의 뇌가 세상을 샘플링하는 속도가 다르기 때문이라는 이론이 있다. 뇌 안의 모든 정보는 시냅스 사이 신경전달물질들의 방출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 이론은 어린 시냅스일수록 신경전달물질들이 더 많기 때문에 같은 시간에 어른보다 더 많은 정보를 보낸다고 주장한다. 즉 정보전달의 속도가 더 빠르다는 것이다. 그러면 시간은 느려진다. 마치 1초당 25~30장의 영상을 보여주는 보통 TV보다 수백~수천장의 영상을 보여주는 슬로 모션이 더 느리게 보이는 것과 같다. 세상을 더 빠르게 샘플링하는 어린 뇌가 결국 시간을 더 느리게 인식한다는 것이다. 뇌의 정보 샘플링 속도는 카페인 같은 화학적 물질이나 주의력을 통해서도 바뀔 수 있다. 결국 시간의 속도라는 개념 자체가 뇌가 만들어내는 착시 현상일 가능성이 있는 것이다. 양쪽 하얀 동그라미의 크기는 똑같지만, 더 작은 동그라미에 둘러싸인 왼쪽 동그라미가 더 크게 느껴진다. 비슷한 이유로 현대 뇌과학에선 행복 역시 뇌의 착시 현상일 수 있다고 주장한다. 수많은 신경경제학 실험들이 보여주듯, 뇌는 절대값보다 상대적 비교를 통해 크기나 치수를 정의하는 경향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평균적으로 사람은 나는 100만원 벌고 주변 사람들이 50만원 벌 때가 나는 150만원 벌고 주변 사람들이 200만원 벌 때보다 행복지수가 더 높다. 우리가 모두 다 같이 행복하고 오래 살 수 있을까? 우리가 서로를 비교 대상으로 삼는다면 한 사회의 모든 구성원이 다 같이 행복하기는 불가능하다. 하지만 우리 자신의 과거 모습이나 우리의 도움이 필요한 다른 사람들을 비교 대상으로 삼는다면 충분히 가능한 일이다. 그리고 시간의 속도가 결국 뇌의 수많은 착시 중 하나라면, 우리는 집중과 몰입을 통해 적어도 오랫동안 기억하고 싶은 소중한 순간만큼은 시간이 느리게 흐르도록 착시를 만들 수 있을 것이다. <김대식 KAIST 교수·뇌과학>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