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호야

생사관

바보처럼1 2013. 1. 25. 17:02


 

 

 

 

 

 

 


 

사랑하는 부부의 명언모음

 

가장 과묵한 남편은 가장 사나운 아내를 만든다
 남편이 너무 조용하면 아내는 사나워진다. 
디즈레일리



가정에서 아내에게 기를 펴지 못하고 지내는 남편은
밖에서도 굽실거리며 쩔쩔매게 된다.
  워싱턴 어빙



그 얼마나 많은 부부가 결혼으로 인해
서로 멀어지게 되었던가.
 알프레드 카퓨



남자가 가지고 있는 최고의 재산
또는 최악의 재산은 바로 그의 아내이다.
 토마스 풀러



남자에게 있어 최고의 재산은 마음씨 고운 아내이다.
 에우리피데스



남자의 집은 아내이다.
탈무드



남편들이 보통 친구들에게 베푸는 것과 꼭 같은 정도의
예의만을 부인에게 베푼다면
결혼 생활의 파탄은 훨씬 줄어들 것이다.
  화브스타인



남편은 격렬한 형의 에로티시즘을 바라고 있지만
아내는 단순히 손을 잡는다거나
입맞춤을 기다린다.
권태기의 여자들이 불안해 하는 것은
바로 이런 사랑이 결여되어 있기 때문이다.
  프란체스코

 
 

<새로운 세상과 만나는-융합(convergence) 현대미술청년작가들 

조병철_Save Earth tree / 폐 전선, 고물, led, 감속모터, 동작센서 / 80˟80˟200cm / 2012

조병철_Rhythm-3 / 나무, 철, 캔, 스텐인레스스틸, 동력장치 / 240˟200˟140cm / 2012

조병철 작가는 현대 사회의 급격한 변화로 인한, 산업과 문화가 나날이 발전되면서, 인간의 이기심은 무분별한 경쟁과 개발로 환경을 훼손하는 행태를 띄고, 아름다운 환경이 희생되는 악순환을 초래한다. 이러한 비극적 현실은 인간이 자연과의 공존(Coexistence)의 중요성을 배제하여 발생된 서글픈 결과이다. 작가는 이러한 심각한 현상을 직시하고, 매개체로써 개발 이후 파괴된 산이나 주변 환경에서 쉽게 버려지는 폐기물( 폐전선, 나무, 녹슨 자원들)을 소재로 하였다. 다양한 폐기물을 결합하여 조각의 형태로 완성하고 복원(Restoration)한 작품에 생명(빛과 움직임)을 부여함으로써 적극 문제를 대변한다.

   

 

박찬걸_ Sliced Images"Michael Jackson"/ Stainless steel/ 112*82*170 / 2012

 

박찬걸_Sliced Images‘James Bond medley‘/ Stainless steel,/ 63*42*175 / 2012

박찬걸 작가는 형태와 볼륨에 대한 접근에서 작가의 상상력을 덧씌워 결합과 배열의 테크닉을 수반하며, 걸작의 원본과는 다른 공간의 미학을 최대한 찾아내어 공간 간의 관계를 새롭게 구성하는 방식 속에서 발생하는 옵티컬적인 조형미를 갖는 작품을 추구한다. 특히 작품들은 일종의 ‘잔상’으로 결(layer)과 층이 만들어 내는 물결과 같은 것으로, 보는 방향에 따라 형의 이미지가 달리 보이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작품들은 금속재료인 스테인리스(stainless) 내부에 의미를 가둬두기 보다, 유머러스하게 조형화시켜, 결의 파노라마를 따라 촉감을 유도, 감상자와 눈을 마주치게 함으로써 즐거운 조각에의 가능성을 열어 가고 있다.

 
 
 
 미디어 체인지
위쪽의 Media Play Button (■) Click Off 후, → 아래의 Media Play Button (▶) Click on!
-플레이 중 창 하단에 뜨는 광고는 우측의 삭제바튼(x)을 클릭하시면 제거됩니다.
-해당 미디어 클립 접속이 많은 시간대에는 화면 끊힘현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London's 2013 New Year Firework Display(런넌 빅밴 앞 템즈강의 2013신년 불꼴놀이)

People from around the world gathered on the banks of the River Thames
to watch the spectacular fireworks display which set off as Big Ben chimed in the New Year.
(중간에 뜨는 우리 말 '강남스타일!' 멘트가 인상적입니다.^^)
 
 미디어 체인지
 
T-ARA(티아라) _ Roly-Poly in Copacabana MV
 
 미디어 체인지
 
Самая Новая Музыка Самые Красивые КЛИПЫ (러시아 뮤비)
러시아 뮤비는 활성화 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돌아온 탈옥수

어느 교도소에 사형수가 있었다.
그 사형수가 탈옥을 했습니다.
그런데 사형수가 교도소로 다시 돌아 왔다.

이 소문을 기자들이 듣고는 교도소에 몰려와서는
왜 탈옥을 했다가 교도소로 다시 돌아왔느냐
그 배경에 대해 물었다.

사형수가 대답을 했습니다.
우리 집에 들어가려고 살살 현관문을 여는데
마누라가 삿대질을 하며,
내가 텔레비전 뉴스에서 보니까
당신이 탈옥한 시간은 10시간 전인데
'지금 어딜 갔다 오는거야!' 하면서
잔소리를 듣게 되어
차라리 감옥이 더 낫겠다고 생각해
다시 돌아왔다고...

 

 

할머니의 항변

심하게 아픈 할머니가 있었다
장마철에 이르자 할머니는
도저히 아픔을 참지 못해 병원을 찾았다

"의사 양반 왼쪽 다리가 쑤시는데
요즘같은 날씨엔 도저히 못참겠수
혹시 몹쓸병은 아닌지..."

할머니의 걱정에도 아랑곳 하지 않고
의사는 건성 건성 대답했다

"할머니 걱정 하지 않으셔도 돼요 
나이가 들면 다 그런 증상이 오는 거에요" 

그러자 할머니는
버럭 화를 내며 말했다.

"이보슈, 의사 양반!
아프지 않은 오른쪽 다리도 나이는 동갑이여!"
 

 
 

 

 

스트레칭과 휴식을 동시에 ‘스카이 요가’
새해를 맞아 건강한 심신 만들기 프로젝트에 돌입해보는 것은 어떨까. 요가전문학원 핫요가쿨라의 강사들이
서울 성북구 동소문동 성신센터에서 스카이요가 시범을 보이고 있다. 동아닷컴 장승윤기자 2013-01-04 

 

 

인생에서 한 번 오고 영원히 다시 오지 않는 것은
지나간 시간과 말과 기회이다.

호호야 선문(選文) / 공자-  

 

  To afford a cup of coffee at ease!
Scrapped in places, Edited or Written Partially
by 0000, Sincerely, Private, 1.5, 2013 

   

  
<Hohoya Plus>

고대사 메모" 에 나오는 생사관

죽음이란 인간의 시간이 끝났다는 의미이고, 혼(魂)과 넋이 분리되는 사건이다. 우리 조상들은 죽음을 맞으면 다시 새로운 시간을 부여 받기 위해서는 칠성판 위에 올려 놓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혼비백산(魂飛魄散)
- 혼은 비상하고, 백은 흩어 진다- 한다. 천지간에 모든 것에는 기(氣)가 있으며, 기가 소멸하면 죽음이 온다. 기는 정령(精靈)이며, 서양에서는 요정이라고 말한다.

예기(禮記)에 보면,
'천자(天子, 황제)가 죽는 것을 붕(崩)이라 하고, 제후(諸侯)는 훙(薨), 대부(大夫)는 졸(卒), 사(士)는 불록(不祿: 죽으면 녹을 받지 못한데서 나온 말), 서인은 사(死)라고 한다.

죽어서 침상에 있는 것을 시(尸)라 하고, 관(棺) 속에 있는 것을 구(柩)라고 한다. 새가 죽는 것을 강(降)이라 하고, 네발 짐승이 죽는 것을 지(漬)라고 하며, 구난( 寇難 : 외국의 침략이나 난리)에 죽는 것을 병(兵)이라 한다.

서경(書經) 홍범편에 오복(五福)은,
수(壽), 부(富), 강(康), 덕(德), 명(命)으로 命은 '자기 집에서 일생을 편안히 마치기를 바란다' 는 고종명(考終命)이다.

우리 민족의 최대 민속놀이인 윷놀이를 보자.
학자들에 따라 돼지(豚), 개(犬) 등 가축의 명칭으로 설명하기도 하나, 윷놀이라는 명칭에서도 알 수 있듯 이것은 사람이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의 과정을 나타내는 것이다. '태어나다'를 '태'라고 하는데 그 고형(古形)은 '타'이고, '도'의 원형이다. 태어나서 머지않아 '게(기어 다니다)'하고, 이어서 '걸(걷다)'하게 된다. 걷게 되면 '윷(나아 가다)'하게 되는 데, 결국 '모(墓)'에 들어 가게 되는 것이 인생이라는 것이다.

상여의 곡소리인 '어이 어이'는,
임금님 수레인 어이(御車+多)로, 임금님이 나아가시는 길 즉, 어로(御路)이다. 이는 망자를 받드는 형식이며, 죽음의 공포를 벗어나려는 산 자의 자위의식이기도 하다.
우리가 흥을 돋울 때 부르는 '을시구 절시구'의 노랫말에서 乙十口 節十口'의 '十口'는 태어남이요, 후렴의 '乙尸口 節尸口'의 '尸口'는 죽음이니, 생사를 가름한다.

천부경에서,
'일시무시일 일종무종일(一始無始一 一終無終一)'은 '하나에서 시작하여 끝남이 없는 영원히 이어진다' 이니, 천국과 윤회사상으로 영과 육이 회귀되는 종교의 사후관과 맥락이 이어짐이다.

'알파와 오메가'는,
기원전 17세기 경 지중해 연안국 페니키아가 창안한 문자이며 알파벳의 시원(始原)으로 '처음과 끝'을 나타낸다. 알파는 소 뿔을 상형한 글로 처음에는 ‘V’자 형태였으나, 후에 아랄의 해가 떠 오르는 태양을 상형한 글 모양으로 탄생이요, 오메가는 묘를 상형한 글 모양으로 죽음을 나타낸다.

또 '요람에서 무덤까지 (From the womb to the tomb)'의 womb은 자궁(子宮)이니 태어남이요, 무덤 tomb은 죽음을 말한다.

레미제라블을 쓴 빅토르위고는,
그의 저서에서 '오늘 내가 사는 목적은 싸우는 데 있다. 내일 내가 사는 목적은 이기는 데 있고, 일생동안 내가 사는 목적은 잘 죽는 데 있다'라고 했다. 이 또한 고종명(考終命)이다.

영국의 소설가이자, 독설가였던 버나드 쇼는,
자기의 묘비명에 '우물쭈물 하다가 내 이럴줄 알았다'고 새겼다고 한다. 일생의 삶이 그리도 허탈함이었을까.?

소크라테스는,
'아테나의 청년들을 부패시키고, 새로운 신을 섬긴다'는 죄명으로 독배를 마셨다. 그의 모습을 지켜보던 제자들이 얼굴을 감싸고 통곡하자, 소크라테스는
'웬 곡소리들인가, 이런 창피한 꼴을 보게 될까 봐 아낙네들을 먼저 보냈거늘, 사람은 마땅히 평화롭게 죽어야 한다고 들었네, 조용하고 꿋꿋하게 행동하게' 라며 태연히 독약을 마셨다. 죽음에 대한 표현은 종교 마다 다른 용어를 쓴다.

불교에서는
열반(涅槃)이나 입적(入寂)이라고 쓴다. 두 말은 일체의 번뇌에서 벗어나 완벽한 깨달음의 경지에 들어간다는 의미로, 석가모니와 고승의 죽음을 가르키는 말이다.
또한 불교에는 신라 때 자장(慈藏)스님이 시체 옆에서 몇 달간 머물면서 육신이 썩어 백골로 변하는 과정을 지켜보며 수행,도를 터득했다는 백골관(白骨觀) 수행법이 있다.

천주교는,
서거(逝去)를 선종(善終)이란 말로 썼다. '착하게 살다가 복되게 끝마친다'는 뜻으로 선생복종(善生福終)의 준말이다. 삶과 죽음의 의미를 묵상하는 시간을 갖기 위해 매년 11월을 위령성월(慰靈聖月)로 하고 있다.

개신교에서는,
'세상과 이별한다'는 뜻의 별세(別世)를 쓰기도 하나, '하나님의 부름을 받는다'는 소천(召天)을 쓰기도 한다. '하나님은 죽은 자의 하나님이 아니요, 산 자의 하나님이시라' 누가복음(20:38)의 기록도 보인다.

민족종교인 천도교에서는,
모든 생명은 바로 한울님 곧 우주라는 커다란 생명에서 온 것이며, 동시에 죽게 되면 이 우주의 커다란 생명인 본래의 자리로 돌아간다며 환원(還元)이라는 용어를 쓴다. <지인이 보내주신 메일/한울의 '고대사 메모' 중/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