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천스님의 아헹가 정통요가

크라운차아사나

바보처럼1 2007. 4. 23. 11:12

[현천 스님의 아헹가 정통요가] 크라운차아사나

크라운차(Krouncha)는 왜가리라는 뜻이며, 올려진 다리는 왜가리의 뻗은 목과 머리를 닮고 또 절벽과 비슷하게 생겼기에 이런 이름이 붙었다.

1. 마루에 앉아 다리를 앞으로 쭉 편다.

2. 오른쪽 다리의 무릎을 굽히고, 오른발을 뒤로 옮긴다. 오른발을 엉덩이 관절 옆에 두고 발가락은 뒤로 향하게 하며, 발등을 마루에 닿게 한다. 왼쪽 무릎을 굽히고, 양손으로 왼발을 잡는다(사진1).

3. 숨을 내쉬며, 왼쪽 다리를 수직으로 들어 올린다. 왼쪽 다리를 완전히 뻗고, 등을 똑바로 세운다(사진2).

4. 숨을 내쉬며, 머리와 몸통을 앞으로 움직이며 동시에 왼발을 더 가까이 가져와 턱을 왼쪽 다리의 무릎에 둔다. 고른 호흡을 하면서 20~30초 이 자세를 유지한다. 턱을 올려진 다리의 무릎에 대는 동안 굽힌 무릎이 마루에서 들리지 않게 하고, 가슴은 활짝 펴지게 한다(사진3).

5. 숨을 들이마시며, 왼쪽다리를 내리고 손을 푼 다음 위의 1번 자세로 돌아간다.

6. 다리의 위치를 바꿔서 자세를 취한다.

7. 초보자를 위한 단계: 위의 2번 단계에서 왼쪽 엉덩이 아래 담요를 놓는다. 왼쪽 발에는 벨트를 걸고, 양손으로 벨트를 잡는다. 숨을 내쉬며, 왼쪽 다리를 수직으로 들어 올리며 등을 똑바로 세운다. 왼쪽 다리를 완전히 뻗도록 하며 20∼30초 정도 고르게 호흡한다(사진4).

# 효과 다리를 완전히 신장시키며 다리 근육을 단련시킨다. 발목과 발을 좋은 상태로 유지한다. 복부 기관에 활력을 준다.

# 요가교실 요가의 8단계 가운데 네 번째는 프라나야마(Pranayama), 호흡법을 의미한다. 프라나(Prana)는 숨, 호흡, 생명, 활기, 바람, 에너지와 힘을 의미한다. 이것은 육체와 상반되는 개념으로의 ‘영혼’을 의미한다. 아야마(ayama)는 길이, 확장, 뻗음 또는 제한을 의미한다.

따라서 프라나야마는 호흡의 길이와 그것의 조절을 의미한다. 이러한 조절은 호흡의 모든 기능에 의한 것으로 프라카(Puraka)라고 하는 들숨, 레차카(Rechaka)라 부르는 날숨, 쿰바카(Kumbhaka)라 부르는 지식, 숨멈춤을 모두 포함하는 일반적인 의미로 쓰인다.

*요가 보조 기구(큰 베개, 벨트, 목침 등)는 대구 아헹가 요가 선원에서 구입하실 수 있습니다.

자료제공:대구 아헹가 요가 선원 053)981-3553

www.iyengar.co.kr 아사나: 김교영

기사일자 : 2006-11-16

'현천스님의 아헹가 정통요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리가 아사나  (0) 2007.04.23
차투랑가 단다아사나  (0) 2007.04.23
비라바드라아사나3  (0) 2007.04.23
아르다 찬드라아사나  (0) 2007.04.23
할라아사나(어깨로 서기)  (0) 2007.0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