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런데 이렇게 치밀한 준비를 거쳐 선발된 화원들이 일본에서 실력을 발휘하는 모습을 보면, 글씨나 그림의 위상이 조선에서의 상황과 달랐다. 막부 장군이 사자관과 화원의 솜씨 구경하는 것을 시재(試才)라고 했는데, 말을 타고 달리면서 활을 쏘는 기사(騎射) 시범이 있는 날 함께 열렸다. 그에게는 그림 그리기나 말 달리기나 마찬가지로 재주 구경에 불과했던 것이다. 하루에도 몇 장씩 그리다 보니 시간이 걸리지 않는 수묵화를 많이 그리게 되어, 평소의 솜씨를 제대로 발휘할 수 없는 아쉬움도 있었다. 선비들이 수양삼아 그리던 문인화와 달리, 중인 화가 김명국은 상업적인 그림을 그려 막대한 수입을 올렸다.
|
●유일하게 일본으로부터 초청받았던 화가
에도시대를 무대로 한 소설이나 영화를 보면 조선인삼은 가난한 사람들이 구할 수 없는 선망의 약이었다. 미야케 히데요시 교수는 병든 어머니를 구하기 위해 몸을 팔아 인삼을 사는 딸도 등장한다고 소개했다. 그들에게는 인삼이 만병통치약이었던 것이다. 조선 국왕이 제1회 통신사를 파견할 때에는 일본 장군에게 인삼 200근을 선물했는데, 김명국이 가던 제4회와 제5회에는 50근을 보냈다. 일본에서 인삼값이 치솟자, 역관을 비롯한 중인들은 이익을 늘리기 위해 법을 어기고 인삼을 몰래 가져갔다.1636년 통신사의 정사였던 임광(任)의 ‘병자일본일기(丙子日本日記)’ 11월18일 기록을 보자.
일행을 검색할 때에 김명국의 인삼(人蔘) 상자가 또 발각되었으니 밉살스러웠다. 역관 윤대선은 스스로 발각됨을 면하기 어려울 줄 알고 손수 인삼자루를 들고와 자수하였으니, 딱하고 불쌍한 일이었다.
부사 김세렴이 이튿날 쓴 일기에도 김명국의 죄를 처벌했다는 기사가 실려 있다. 김명국은 그림값만 벌어온 것이 아니라, 인삼으로도 큰 돈을 벌려고 했던 것이다. 연암 박지원은 ‘우상전’에서 “우리나라 역관이 호랑이 가죽이나 족제비 가죽, 또는 인삼같이 금지된 물품을 가지고 남몰래 진주나 보검을 바꾸려 하면 왜놈들이 겉으로는 존경하는 척하지만 다시는 선비로 대우해주지 않았다.”고 했다.
그러나 그가 그린 그림이 일본인들에게 워낙 인기가 있었기에,1643년 제5회 통신사행 때에도 일본에서는 외교문서를 통해 “연담(김명국) 같은 사람이 오기를 바란다.”고 특별히 요청했다. 인삼밀매에 연루되어 처벌받은 전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예외적으로 두 번씩이나 수행화원의 임무를 맡게 된 것이다.
●선종화(禪宗畵)와 도석인물화(道釋人物畵)로 인기
그가 즐겨 그렸던 선종화(禪宗畵)는 선종의 이념이나 그와 관련되는 소재를 다룬 그림이고, 도석인물화(道釋人物畵)는 신선이나 고승(高僧)·나한(羅漢) 등을 그린 그림이다. 유홍준 교수는 김명국이 일본에 갔던 시기는 일본에서 선승화(禪僧)가 유행하던 시기였고, 이러한 유의 그림은 바로 김명국의 특기였으며 그의 필치와 기질은 일본 화단에 잘 맞아떨어졌다고 설명했다.
홍선표 교수는 18세기 초까지 조선 화단에서 은일(隱逸)·감계적(鑑戒的)인 고사인물류(古事人物類)가 인물화의 대종을 이루고 있었던 데 비해, 일본 화단에서는 길상적(吉祥的)·초복적(招福的)인 도석인물이 보편화되어 있었으며, 수행화원들의 작품 중 ‘달마(達磨)’나 ‘포대(布袋)’와 같은 화제의 그림은 대부분 일본인들의 청탁에 응대해 그려진 것이었다고 설명했다. 일본측의 취향에 맞추어 응대하려는 외교적 배려였던 것이다. 김명국이 다른 수행화원보다 인기를 끈 이유는 대담하고 호쾌한 필치가 소묘풍의 얌전한 선종화에 익숙해 있던 일본인들에게 강렬한 인상을 주었기 때문이다.
●평생의 득의작 금가루 벽화
|
|
●이익 챙기다가 자주 문제 일으켜
어쨌든 김명국은 정당하지 못한 방법으로 이익을 챙기다가 자주 문제를 일으켰다. 첫번째 인삼 밀무역은 위에 소개했거니와, 두번째 갔을 때에도 집정(執政) 이하의 공식적인 구청에 응하기를 거절하고 도처에서 돈 많이 주는 상인들의 요구만 좇아 서화를 매매했다가 일본측으로부터 비난을 받았으며, 귀국 후에는 처벌받았다. 하지만 일본 내에서의 김명국의 인기는 시들지 않아,1662년에는 대군(大君)의 소원이라면서 김명국이 부산(왜관)에 내려와 그림을 직접 그려 달라고 동래부사를 통해 요청했다. 조정에서는 김명국이 늙고 병이 들어 내려보낼 수 없으니 대신 그의 그림을 보내주겠다고 했다. 그러나 일본측에서는 그가 일본에 왔을 때에도 매번 다른 사람에게 대필시켰기 때문에 또 대신 그려서 보낼지도 모르니, 눈 앞에서 그리는 것을 직접 보야야 한다고 간청했다.
김명국의 이러한 모습은 나라를 빛내고 재주를 자랑한다는 ‘화국과재(華國才)’의 자세로 성실하게 본분에 임했던 다른 화원들과 대조를 이룬다.
그는 일본인들의 서화 구청에 응대하는 일이 문화교류 차원에서의 책무가 아니라, 실질적으로 돈 버는 일임을 인식했다. 자신의 그림 솜씨를 추상적인 목표 실현에 쓰기보다는, 일본행이라는 특별한 기회를 통하여 최대한의 부를 축적하는 데 이용하였다. 김명국이야말로 일본의 상업화 풍조에 가장 잘 적응했던 중인 화원이었다.
허경진 연세대 국문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