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온이 내려가는 시기의 배스는 약간이라도 수온이 높거나, 수온이 올라가기 쉬운 여건의 장소를 좋아한다. 햇볕이 지속적으로 오래 내리쬐는 지역은 베이트 피시도 많아서 당연히 좋은 포인트가 된다. 장애물에 보다 바짝 붙어 있는 경향도 강하다. 또한 통상적으로 배스의 먹이활동 시간이 아침과 저녁인 반면, 겨울철에는 한낮이 된다.
스푼을 쓸때 기본적인 액션은 ‘리프트 앤 프리폴’이다. 낚싯대를 수직으로 세우고 그대로 프리 폴링(자유낙하) 시키는 것이다. 이 기법은 스위밍 액션과 폴링할 때의 변칙적인 움직임으로 리액션 바이트를 유도하는 것이 관건이다.
한마디로 위로 들어올리는 액션을 크게 해주는 것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짧은 입질에 대한 대책이다. 루어의 액션 중에 사소한 것이라도 뭔가 느낌이 있으면 바로 챔질을 하는 것이 좋다.
기온이 차가운 겨울에도 심심찮게 배스를 만날 수 있는 곳이 있다. 섬진강 상류인 전북 임실군 덕치면이 바로 그 곳. 낚시금지 구역인 옥정호의 물줄기가 이어져 내려와 배스 개체수가 상당한 곳이다. 군데군데 수중보가 설치돼 유속을 느리게 하는 곳이 일급 포인트다. 싱커는 조금 무겁게 사용하는 것이 좋다. 하드베이트나 웜을 사용해도 유속의 영향을 전혀 받지 않는다.
섬진강 상류 지역인 덕치면 등에서도 배스가 관찰되듯, 배스는 장마나 홍수때 댐이 범람하면서, 또는 하천의 물줄기가 합쳐지거나 이어져 전국 각지에 퍼져 있는 상태다.
식용 목적으로 들여와 그 용도와는 다르게 이제는 10만여명이 배스 낚시를 즐기고 있고, 가치 있는 여가선용 레포츠의 새로운 문화를 창조하고 있다. 낚시 대상어로서 훌륭하게 제 몫을 하고 있는 배스를 이제는 소중한 자원으로 받아들이고 인식하는 전기가 필요하지 않을까.
한국스포츠피싱협회 홍보이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