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연 그럴까요? 책상 앞에서 끙끙대는 아이들에게나, 시험점수를 받아들고 맥 빠져 하는 아이들에게 ‘세상 일 가운데 공부가 가장 쉽다는데 그 쉬운 공부를 왜 그리 하기 힘들어하느냐?’고 물어보십시오. 절대 수긍할 수 없다는 반응을 보일 것입니다.
|
말을 하는 어른들조차도 학창시절을 되돌려 보면 공부는 그리 쉽지 않았다는 기억이 날 겁니다.
그런 기억에도 불구하고 공부가 쉽다고 말씀하는 분들의 속내를 가만히 들여다보면 아이들이 공부를 ‘쉽게 쉽게’ 해서 우수한 학업성취를 보였으면 좋겠다는 소망을 그렇게 표현한 것이지 실제로 공부가 가장 쉽다고 생각하는 어른들은 그리 많지 않습니다. 쉽다고 믿고 있는 어른들도 인생을 살아 보니 공부보다는 세상살이가 더 고단하다는 것이지 공부 자체가 쉬운 것은 아니라는 데에는 많이들 공감합니다.
따라서 앞으로는 ‘공부가 가장 쉽다.’는 말보다는 ‘원하는 것을 얻을 수 있는 가장 쉬운 방법 중 하나가 공부’라는 말로 바꾸어 표현하는 것이 좀더 설득력이 있을 겁니다.
세상을 살아가는 데 필요한 것을 얻는 쉬운 방법이 공부이기 때문에 사람들은 공부 잘하기를 그토록 간절히 원하는 것이지요. 인생의 목표를 달성하는 쉬운 방법이 공부인데, 실제 공부는 그리 쉽지 않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목표를 향해서 그냥 무작정 남들보다 열심히 노력하는 것만이 방법일까요?
●“원하는 것을 얻을 수 있는 가장 쉬운 방법이 공부”
학생들이 공부하는 모습을 살펴보면 모든 공부를 다 똑같이 어려워하는 것은 아닙니다. 대부분의 학생들이 쉬워하는 과목이 있고 어려워하는 과목이 있습니다.
어떤 학생이 버거워하는 과목을 어떤 학생은 쉬워하기도 합니다. 공부의 용이함을 결정하는데 어떤 요인이 작용하는지 알아내 쉬운 과목은 더 쉽게 공부할 수 있게, 어려운 과목은 어떻게든 쉽게 공부할 수 있게 할 수 있다면 어려운 공부를 쉽게 만들 수 있을 겁니다. 그렇게 된다면 ‘가장 쉬운 것이 공부’라는 말도 크게 틀린 말은 아닐 겁니다.
학습 심리학자들의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공부의 용이함을 결정짓는 요인은 다양합니다. 그중에서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공부를 쉽게, 또는 어렵게 만드는 요인은 진화심리학 관점에서 공부를 바라볼 때에 설명이 용이합니다.
지구에는 다양한 종류의 생명체가 있습니다. 각 생명체는 자기가 속한 종(種)의 생존에 가장 적합한 생존방법을 진화 발전시켜 왔습니다.
생존에 가장 필요한 것은 음식입니다. 먹을 것 없이는 생존 자체가 불가능하지요. 그런데 자연계에는 식량이 풍부할 때도 있고 부족할 때도 있습니다. 살아남기 위해서는 먹을 것이 풍족할 때 어떻게 먹고 부족할 때에 어떻게 대처할지를 결정해야 합니다. 종에 따라 식량의 가용성에 대처하는 방식에 차이가 있습니다.
대부분의 곤충들은 식량이 풍부할 때 실컷 먹으며 번식한 다음 식량이 떨어질 때에는 사망하는, 짧게 사는 방법을 선택했습니다. 식량이 풍부한 곳을 찾아서 이리저리 이동하는 방법을 택한 종도 있습니다. 얼룩말이나 누(gnu) 같은 동물들은 먹이를 찾아 대초원을 헤맵니다. 체내에 저장하는 방법을 택한 동물들도 있습니다. 곰을 포함한 동면하는 동물들은 먹을 것이 많을 때 최대한 많이 체내에 저장한 다음 자면서 먹을 것이 많아지는 철을 기다립니다.
인간이 택한 방법은 무엇일까요. 인간은 식량공급의 불규칙성에 대처하기 위해 식량이 풍부할 때 저장하고 식량이 부족하면 그 저장고에서 꺼내 먹는 방법을 선택했습니다. 저장고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저장한 곳을 기억해야만 합니다. 실컷 저장해 놓고 저장한 곳을 잊어버리면 살아남을 수 없지요. 그래서 인간은 저장을 담당하는 신체 부위인 뇌를 그 어떤 동물보다 발달시켰고 그 뇌는 생존에 관계된 것을 가장 잘 저장하도록 진화했습니다.
우리 인간은 먹을 것과 먹지 못하는 것을 잘 기억하고, 맛있는 것과 맛없는 것을 잘 기억하고, 음식을 내게 나눠준 사람과 내가 나눠준 사람을 잘 기억하고, 식량이 있는 장소와 없는 장소를 잘 기억하고 학습합니다. 즉 생존과 관련있는 것은 무엇보다도 잘 학습·기억하고 관련없는 것은 학습도, 기억도 잘 못합니다.
에빙하우스 망각곡선을 보면 이 점은 더욱 뚜렷하게 나타납니다. 그림의 검정선이 학습 후 시간경과에 따른 학교 공부의 망각 정도를 나타낸 것입니다. 학생들은 학습한 것의 40% 정도를 배운지 19분이 지나면 잊어버립니다.2일이 지나면 배운 것의 약 20% 정도만을 기억하고 있습니다.
●생존욕구 충족시키는 것은 쉽게 배우고 망각도 안해
그러나 생존에 필요한 정보를 나타낸 기억곡선(빨간선)을 보면 한 번 배운 것은 거의 잊어버리지 않습니다. 생존에 필요한 학습의 예로 ‘음식 혐오 학습’을 들 수 있습니다. 특정 음식을 먹고 탈이 났을 경우 바로 그 음식을 다시 먹는 사람은 거의 없을 뿐만 아니라 웬만해서는 평생 그 음식을 다시 먹으려 들지 않기도 합니다. 단 한 차례의 배탈로 다시는 그 음식을 먹지 않으려 할 수도 있다니요. 대단히 강력한 학습이지요. 이런 종류의 학습을 ‘생태학습’이라 부릅니다. 생태학습에는 식량 얻기, 포식동물로부터의 도피, 안락한 휴식 등과 관련된 것이 많습니다. 즉 생존욕구를 충족시키는 것들을 사람들은 쉽게 배우고 망각도 거의 하지 않습니다.
공부를 가장 쉬운 것으로 만드는 방법 중 하나는 이런 특성을 활용하는 것입니다. 어려운 공부를 생존과 관련이 있는 내용으로 변환시키거나 연합시킬 경우 학습 효과가 크게 나타납니다.‘원하는 것을 얻을 수 있는 쉬운 공부’를 먼저 한 다음 그것을 응용하고 일반화하면 어려웠던 공부가 ‘가장 쉬운 것’이 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