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속·전통

풍류(風流), 바람과 물이 전하는 말

바보처럼1 2008. 4. 5. 16:32

풍류(風流), 바람과 물이 전하는 말

설이 다가온다. 우리 민족은 또 다시 대이동을 시작한다. 길 위에서 지루한 시간을 보내야 하는 먼 길이지만 부모님이 계시는 내 고향집에 들어설 때, 그리고 반가운 고향의 친구들을 만날 때 우리는 더없이 행복하다.

우선 들판에 들어서면 들을 지난 바람이 마치 여인네가 귓속말하듯 속삭인다. 어서와. 왜 이제 오는 거야? 내가 얼마나 기다렸는데…. 우리가 어린 시절 뛰어놀던 동네 어귀의 당나무도 그윽한 표정으로 반가워하며 말한다. 잘 왔어. 보고 싶고 그리웠어…. 마치 우리가 찾아주지 않아 외로움의 나날을 보냈다는 듯이. 어디 그뿐인가. 얼어붙은 시내 역시 어서 와 얼음을 지치지 않겠냐고 끌어당긴다. 처마에 매달린 고드름도, 까치밥으로 남겨둔 감나무의 감들도 신난다, 신난다 하고 외친다. 마을 어귀에 장승과 솟대라도 서 있다면 그 반가움은 절정에 이른다. 도시의 삶에 찌들은 우리의 꿈을 정화시켜줄 것이기 때문이다.

그때쯤 하늘의 구름도 미소 짓고, 동네 뒷산도 응석 부리듯 달려나온다. 그렇게 고향을 찾는 우리를 모두 반갑게 맞는다. 어머니가 달려나와 포옹해주듯이. 그때 우리의 마음은 더없이 행복하다. 그리고 축복을 느낀다. 축복! 그렇다, 우리는 귀향에서 더없는 신의 은총을 느끼는 것이다.

축복을 한자로 풀면 신에게 복을 빈다는 말이다. 영어로는 흔히 blessing이라고 한다. 그런데 이 blessing은 생명의 피를 묻히거나 흘려 신성하게 한다는 말이다. 고대에 동물을 희생제물로 바쳐 제단을 신성하게 한 데서 유래한 말임을 알 수 있다.

▲ 새해의 복(福)을 불러들이는 복조리(좌)와 복주머니.

그런데 서양의 어휘 중에 축복과 관계된 또 다른 단어로 celebration이 있다. 이 말은 오늘날에는 주로 찬양, 칭찬, 축제의식 등의 의미로 사용되지만, 그것의 어원인 라틴어 celebratus은 ‘자주 가다, 빈번히 가다, 종종 방문하다, ~에 늘 출입하다’는 뜻을 갖고 있다. 말하자면 celebration에는 우리가 어떤 장소에 자주 가거나 방문할 때, 그 장소는 물론 거기에 속한 사람, 동물, 식물 등과의 관계가 더욱더 깊어진다는 뜻이 들어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 축복은 먼 데서 오는 것이 아니라 가깝고 친밀한 관계, 길들여진 관계에서 온다는 것이다. 어머니가 해주시던 맛난 음식들이 우리를 행복하게 만들었던 건 그 때문이다. 같은 보름달이라도 고향에서 보는 것이 더 정겨운 건 그 때문이다. 어렸을 적에 자주 가던 집과 동네와 숲들이 우리에게 축복을 가져다주는 건 그 때문이다. 어릴 적 동무들이 그리도 반가운 건 그 때문이다.

따라서 바쁜 도시생활 속에서도 우리가 굳이 시골의 고향을 찾는 것은 단순히 부모님을 뵙기 위해, 동네 친척들을 만나기 위함이 아니다. 오히려 어린 시절에 맡던 고향의 산과 들과 하늘과 냇가의 냄새와 향기를 맡기 위함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그들이 외치는 그리움의 소리를 듣기 위함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그때 우리는 비로소 고향의 산과 들과 하늘과 강이 바로 나의 젖줄이었음을, 나를 키운 어머니였음을, 내 마음을 자라게 한 스승이었음을 깨닫는다.

그리고 그곳이야말로 내가 나서 자란 곳임을, 그리고 언젠가 돌아가야 할 곳임을, 아니 영원히 그 숨결에 잠들고 싶은 곳임을 알게 되는 것이다.

 

널뛰기 ㅣ김준근ㅣ 기산풍속도첩

 

코엘료의 소설 <연금술사>에서 양치기 소년 산티아고는 세상을 두루 여행하고 싶어 집을 떠난다. 그의 아버지는 그에게 금화 세 닢을 주며 말한다. “이걸로 양들을 사거라. 그리고 양을 몰고 다니며 세상을 마음껏 돌아다니거라. 우리가 사는 성이 가장 소중하고, 우리 마을 여자들이 가장 아름답다는 걸 알게 될 때까지….” 그 길로 산티아고는 세상의 보물을 찾아 집을 떠난다. 그리고 평생을 떠돌며 외로움과 고독 속에서 그는 깨닫는다. 자기 고향 마을이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보물이라는 것을, 축복이라는 것을, 신의 은총이라는 것을.

많은 사람들이 자기가 태어난 곳에 가서 죽기를 원한다. 원주민들도 마찬가지다. 심지어 여우도 죽을 때는 제가 태어난 곳을 향해 머리를 둔다고 하지 않던가. 나바호족 여인 매 윌슨 초는 강제 이주를 당해 정든 고향을 떠나면서 다음과 같은 애절한 시를 남겼다.

 

내가 사는 곳은

나의 희망과 염원이 있는 곳이다

내가 사는 곳은

내가 태어난 곳이다

내가 사는 곳은

사후 나의 모든 것이 남아 있는 곳이다

내가 사는 곳은

내가 땅을 알 듯, 땅이 나를 아는 곳이다

하지만 새로운 땅은

내가 그를 알지 못하듯, 그 또한 나를 알지 못할 것이다

 

고향을 떠나는 순간 이방인으로, 나그네로 살 수밖에 없음을 그녀는 본능적으로 알고 있는 것이다. 그 이유는 축복의 근원에서 멀어지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처럼 우리에게 축복이 무엇인지 가르쳐주는 것은 우리의 고향과 가족만이 아니다. 우리가 쓰는 고향의 구수한 말과 사투리 또한 우리를 더없이 행복하게 한다.

아코마족 시인인 시몬 오르티즈는 인디언들이 그들의 언어를 잃어버리면서 정체성을 잃어가는 것을 안타깝게 바라보며 이렇게 말한다.

“나는 마을에서 자라면서 비가 축복이고, 선물이고, 상징이라는 것을 배웠다. 우리에게 생명을 주는 것이 땅이라는 것을 배웠다. 그리고 나의 부족의 삶에 대해 이야기와 노래를 통해서 배웠다. 또 계절의 변화와 식물이 나고, 성장하고, 결실을 맺는 과정을 옥수수밭에서 배웠다. 자라면서 나는 땅의 존재를 느끼기 시작했고, 우리가 어떻게 서로를 돌보아야 하는지 알게 되었다. 이 모든 것은 우리의 삶이 계속되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것들이었다. 저녁식사 후 아버지는 북을 치며 노래를 하셨고, 우리 아이들은 비와 사냥과 땅과 사람에 대한 주제에 맞춰 춤을 추었다. 우리의 언어에는 이 모든 것이 담겨 있다. 그런데 어떻게 그 언어를 버리고 우리의 영혼을 노래할 수 있단 말인가.”

그는 자신의 모국어―아코마족의 언어―에 그의 삶과 영혼이 담겨 있음을, 그것을 잃어버리고서는 삶은 더없이 공허한 것임을 깨닫고 있는 것이다.

우리는 안다. 어머니 품에서 배운 우리의 말 속에는 어머니의 사랑과 우리의 꿈과 희망, 그리고 고향의 흙내음과 새소리, 바람소리가 담겨 있음을. 밤하늘의 별빛과 조상들의 뭇 이야기들이 우리 몸의 세포처럼 숨 쉬고 있음을.

정신분석학자 칼 융은 말한다.

“관계를 맺지 않는 사람들에게는 전체성이 결핍되어 있다. 왜냐하면 사람은 오직 영혼을 통해서만 전체성을 획득할 수 있는데, 그 영혼은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없이는 존재할 수 없기 때문이다. 전체성이란 나와 네가 결합된 것이다.”

나의 전체성에는 나의 고향 마을과 가족과 친척들, 그리고 그곳의 하늘과 땅과 식물과 동물, 산과 강, 해와 달과 별 그 모든 것이 들어 있다. 그 전체성을 회복하게 해주는 것, 그것이 신의 은총이요, 축복인 것이다.

명절은 바로 그 축복의 시간으로 되돌아가는 의례이다. 설에 고향에 가면 그 축복을 느껴보라. 부드러운 숨결로, 다정한 눈길로, 따스한 손길로, 무엇보다 갈급한 영혼으로 냄새를 맡아보라. 그리고 그 축복을 노래하라.

서정록_ 검은호수라는 인디언 이름을 가진 고대사 연구자입니다. 무위당 장일순 선생, 김지하 시인 등을 따라 한살림운동에 참여하기도 했고, 현재는 동북아를 중심으로 한 고대의 샤마니즘, 인디언의 문화와 정신세계 등에 심취해 있습니다. 듣기에 관한 세상의 모든 지혜를 담은 책 <잃어버린 지혜, 듣기>를 펴냈습니다.

2008년 1월

기사일자 : 2008-0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