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해속도가 느린 수강생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이 읽다가 자꾸 앞으로 되돌아가거나 문법을 따지고 분석하는 등 나쁜 습관을 가지고 있었다. 이런 독해습관을 많이 가진 학습자일수록 속도가 느리고 내용 이해도 낮다.
그렇다면 잘못된 영어습관을 어떻게 고쳐야 할까? 클린턴의 연설문을 예로 들어 설명해보도록 하겠다.
“I never met my father.He was killed in a car wreck on a rainy road three months before I was born driving from Chicago to Arkansas to see my mother.”
위의 문장을 원어민이 읽거나 듣는다면 어떤 식으로 이해를 하는지 그들의 머릿속 상황을 함께 살펴보기로 하자.
I never met my father.-) (아버지를 만나보지도 못했네. 그런데 왜?) -) He was killed -) (죽었구나. 근데 왜?) -) in a car wreck -) (자동차 사고가 났었구나. 근데 어떻게?) -) on a rainy road -) (빗길에 미끄러졌구나. 언제?) -) three months before I was born -) (태어나기 석달 전에. 어디에 가다가?) -) driving from Chicago to Arkansas -) (차를 몰고 아칸소에 가다가. 거긴 왜?) -) to see my mother.(클린턴의 어머니를 만나러 가다가)로 정리된다.
이런 식으로, 한 대목을 듣거나 읽는 순간 그 뜻을 이해하고, 그와 동시에 다음에 나올 내용을 기대하거나 예측하면서 그 다음으로 넘어가는 식으로 자연스럽고 빠르게 독해·청취가 진행된다. 이것이 바로 우리가 앞으로 숙달시켜야 할 ‘원어민식 독해·청취방식’인데, 이 사고법은 앞에서 한 번 연습해본 적 있는 ‘기자회견식 어순감각’을 생각해 보면 쉽게 그 원리가 이해될 것이다.
우리나라 학습자는 위의 연설문을 처음 접했을 때 아마 한번에 끝까지 읽지 못하고 자꾸 앞 문장으로 되돌아 가거나 암호 해독하듯이 문장을 뒤집고 오랜 시간을 끌었을 것이다. 그러나 왜, 어떻게, 어디서, 언제 등 궁금한 것을 물어보고 답하는 식으로 끊임없이 이어지는 것이 원어민이 영어를 이해하고 말하는 방식이다. 이 사고방식을 이해하지 못하면 독해도 잘 안 되고 청취 실력도 한계에 부딪히고 만다.
영어를 제대로 하려면 이 사고법을 머리에 입력시켜야 한다. 이것을 처음부터 의식적으로 했건, 아니면 오랜 고생 끝에 자기도 모르게 터득했건 간에 영어를 유창하게 구사하는 사람은 이 어순감각이 머릿속에서 작동되고 있기 때문에 영어를 잘 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