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인관계

[여성&남성] 사랑을 식게하는 말들

바보처럼1 2008. 6. 30. 16:46

[여성&남성] 사랑을 식게하는 말들

넌 몰라도 돼… 그만 헤어져…

말 한마디로 천냥 빚을 갚을 수 있다지만 반대로 사랑하는 사람의 기분을 상하게 할 수도 있다. 별 생각 없이 습관처럼 하는 말이 상대에게는 상처가 될 수 있고 심지어 이별을 불러올 수 있다. 애인 혹은 배우자에게 듣기 싫어하는 말에 대해 여성과 남성의 목소리를 들어봤다. 혹시 평소에 비슷한 얘기를 자주한다면 지금부터 고쳐보면 어떨까.

여자친구와 4년째 사귀고 있는 오모(28)씨. 언제부턴가 자신이 실수를 할 때면 여자친구가 “남자들 다 똑같아.”라고 말해 기분이 상한다. 오씨는 “내 입으로도 농담 삼아 ‘남자들 다 늑대야. 믿지마.’라고 말하긴 한다.”면서 “하지만 여자친구 입에서 그런 얘기를 들으면 도매금으로 나쁜 놈 취급 받는 것 같아 듣기 싫다.”고 말했다.

맞벌이를 하고 있는 강모(35)씨는 남편이 입버릇처럼 “피곤하다.”고 말하는 것이 싫다. 강씨는 “똑같이 밖에서 일을 하는데 혼자 매번 피곤하다는 말로 대화를 피한다.”면서 “같은 말이라도 좀 기분 나쁘지 않게 했으면 좋겠다.”고 전했다.

비교하는 말은 금물

많은 연인 혹은 부부들이 이같은 말을 무심결에 내뱉고 있다. 막상 화를 내기엔 소심해 보일 것 같아 애써 표정 관리를 하지만 듣기 싫은 게 사실이다.

사랑하는 사람간에 피해야 하는 말 가운데 대표적인 것은 다른 사람과 비교하는 것이다. 설사 농담이라고 해도 듣는 사람 입장에서는 그냥 웃어 넘기기 쉽지 않다.

최근 여자친구와 헤어진 김모(29)씨는 예전에 사귀던 남자와 비교 당할 때면 참을 수 없었다.“오빠는 이렇게 좀 해주면 안돼?”“예전 남자친구는 안 그랬는데.”라고 말할 때면 평소 사랑스러웠던 여자친구가 그 순간만큼은 그렇게 미울 수가 없었다.

결혼 5년차인 이모(37)씨는 아내가 옆집 남자 얘기를 할 때면 담배를 들고 베란다에 나간다. 이씨는 “주말에 요리를 해줬다든지 결혼기념일에 어디에 갔다 왔다더라 같은 얘기를 들을 때면 스트레스를 받는다.”면서 “그나마 연봉으로 비교당하지 않는 것을 다행으로 여기지만 기분 나쁜 건 사실”이라고 털어놓았다. 비교 당하는 게 싫은 건 여자도 마찬가지다.

대학원생 이모(27)씨는 남자친구가 연예인과 자신을 비교할 때면 짜증이 난다.“그냥 해본 소리야.”라고 말해 화를 낼 수도 없지만 들을 때마다 남자친구 입을 막아버리고 싶다.

또 다른 이모(27)씨도 예전에 사귀던 남자친구로부터 비슷한 얘기를 자주 들었다. 이씨는 “처음에는 ‘내 눈에는 네가 제일 예뻐.’라고 말하던 사람이 시간이 좀 지나자 ‘너는 친구들처럼 요가나 헬스 안 하냐.’라는 말을 했다.”면서 “그러면서도 꼭 얘기 끝에 ‘넌 지금도 예뻐.’라고 말해 화도 낼 수 없었다.”고 분통을 터뜨렸다.

넌 몰라도 된다고?

자신을 무시하는 말에 기분좋은 사람이 있을까. 설사 진심은 아니더라도 뭔가 감추거나 내가 하는 행동을 무시하는 듯한 말투에 사랑은 점점 식어간다.

두 살 많은 남자친구와 4년째 사귀고 있는 이모(25)씨. 남자친구가 자기 식구들과 길게 통화하거나 분명 무슨 일이 있는 것 같아서 무슨 일이냐고 물었는데 “아무 일도 아냐.”“몰라도 돼.”라는 식으로 이야기할 때면 기분이 나쁘다. 이씨는 “여자친구이니 문제가 있으면 같이 털어놓고 공유하고 싶은데 그런 말을 들으면 무시당하는 것 같고 겉도는 기분이 들어 속상하다.”고 했다.

임모(27)씨 역시 남자친구에게 뭔가를 물어봤을 때 “됐어.”“별거 아냐.”라면서 숨기려고 할 때면 서운한 마음을 감출 수가 없다.“저도 숨기고 싶은 일이 가끔 있죠. 걱정하게 만들고 싶지 않으니까요. 그래도 습관처럼 저런 말을 내뱉는 남자친구가 때로는 야속해요.”

2004년 결혼해 지난해 말 아기를 얻은 정모(30)씨는 부인이 ‘남자’를 무시하는 듯한 말을 할 때면 섭섭하다. 얼마 전에는 새로 산 아기 카시트를 뒷자석에 고정시키는 방법을 잘 몰라 이것저것 시도하자 아내가 “그것도 잘 못하냐. 빨리 좀 해봐.”라며 신경질을 냈다. 정씨는 “사실 남자는 언제나 인정받고 싶은데 그런 걸 헤아려줬으면 좋겠다.”고 귀띔했다.

대답이 짧으면 사랑도 줄어든다

오는 10월 결혼하는 박모(30)씨는 예비 남편에게 불만이 딱 한 가지 있다. 지나치게 말이 없는 것. 처음에는 과묵한 모습에 반했지만 사귄 지 2년이 조금 안 된 지금은 답답할 때가 많다.

박씨는 “나도 말이 많은 편이 아닌데도 데이트할 때면 거의 혼자서 말을 한다.”면서 “남자친구가 하는 말은 주로 ‘응.’‘알았어.’‘여기 맛있네.’‘다 먹었어?’ 정도”라고 전했다. 회사원 정모(29)씨가 남자친구에게 기대하는 것은 좀더 적극적인 ‘맞장구’다. 하지만 자신이 무슨 얘기를 하면 집중해서 들어주긴 하지만 다 듣고 나서 “그렇구나.”라는 말, 딱 그 한마디밖에 없다.

지난해 결혼한 차모(29)씨는 차라리 아내가 과묵하다면 덜 서운할 것 같다. 가끔은 수다라고 여겨질 만큼 말이 많지만 대부분 자기 얘기다. 차씨가 뭔가를 얘기하면 “그래?”라고 말한 뒤 “있잖아 근데 말이지.”라며 금세 화제를 자기 얘기로 바꾼다.

그는 “나도 잊고 있던 얘기를 아내가 기억 하고 있을 때면 혼자 떠든 건 아니었구나라는 생각을 한다.”면서 “그럼에도 평소 아내의 짧은 대답은 조금 아쉽다.”고 했다.

헤어지자는 말은 아껴라

헤어지자는 말을 밥 먹듯 하는 것도 많은 연인들의 불만 사항이었다. 김모(29)씨는 “사귀다 보면 싸울 수도 있지만 그때마다 헤어지자고 하면 곤란하다.”면서 “최대한 이해하려고 하지만 ‘헤어지자.’는 말을 들으면 막상 화를 억누르기 힘들다.”고 했다.

나길회 이재훈기자 kkirina@seoul.co.kr

기사일자 : 2006-04-26    26 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