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사의 모양이 변하면서 결합하는 준동사 결합은 크게 세가지가 있다. 첫 번째 ‘to+동사원형’이다.‘He painted the house.’라는 문장이 다른 문장과 결합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주어 ‘He’를 버리고 동사 ‘painted’의 과거형 꼬리 ‘-ed’를 떼어버린 뒤, 앞에 to를 붙여 ‘to paint the house’라는 모양을 만든다.
다른 문장과 결합하면 ‘It is hard/ paint the house(그것은 힘들다./그 집을 칠하는 것은)’,‘He had a plan/ paint the house(그는 계획이 있었다./그 집을 칠한다는)’ 등이 된다. 우리는 이제까지 입시문법에서 ‘무슨 용법’ 등으로 복잡하게 배웠지만 어순감각으로 듣고 말하는 연습만 하면 금방 익숙해진다.
두 번째 ‘-ing’ 형태를 살펴보자. 이것은 원래 ‘He is painting the house.’에서 ‘He is’를 떼어버린 형태이고 기본적으로 ‘-하는(것)’의 뜻을 가진다. 역시 어순감각으로 다른 문장과 결합해 보면 ‘I saw him./painting the house(나는 그를 보았다/그 집을 칠하고 있는 걸)’,‘Painting the house/was fun(그 집을 칠하는 것은/재미있었다.)’ 등이 된다.
세 번째 ‘-ed, 과거분사’의 형태는 수동태 기본문인 ‘The house was painted.’에서 주어와 be동사를 떼어버리고 ‘painted’만 남은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래서 ‘칠해진, 칠해지는’ 식의 수동의 뜻을 가진다. 예를 들면 ‘I saw the house/painted(나는 그 집을 보았다./칠해지는 것을)’,‘Painted blue/the house looked nice(칠해져서(무슨 색?)/파란색으로/그 집은 멋있게 보였다)’가 된다.
아무리 복잡해 보이는 영어문장도 위와 같이 ‘기본문에 보충양념을 넣고 결합해’ 만들어지며, 이들을 연결하는 원리가 바로 어순감각이다.
지금부터는 ‘기본문+보충양념+결합’의 이치가 실제 문장에 적용되는지 클린턴 연설문으로 점검해보겠다.
‘So(연결어)/we lived/with my gra-ndparents(전명구보충)/while(연결어)/she went//back(보충)/ Louisiana(전명구보충)/ study(‘to-’결합)//nursing.’
방금 본 예시는 겉보기에는 길고 복잡해 보이지만 보충양념과 연결어를 빼고 나면 기본문밖에 남지 않는다. 이것이 바로 영어의 본 모습으로, 이치를 제대로 터득하고 익히기만 하면 쉽게 된다. 영어를 잘하려면 기본문을 머릿속에 자동화시키는 것이 중요한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