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어민 국가에서 공부하는 이점은 ‘영어를 접하고 사용하는 기회가 많다.’는 것이다. 일상생활의 모든 의사소통을 영어로 해야 하는 ‘영어환경’이기 때문에 영어로만 생각하고 말해야 한다. 이때 머릿속에 영어 엔진을 제대로 갖추고 간 사람은 영어환경에서 지내고 나면 엔진이 활성화되고 빨라지면서 실생활에서 제대로 써먹을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영어 엔진을 제대로 갖추지 못한 사람은 실력이 늘지 않는다.
영어 엔진을 갖추지 못하고 외국으로 갔을 때 일어날 수 있는 상황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아무리 영어환경에 노출돼도 머릿속에서 영어를 처리하는 능력이 없어 청취력이 늘지 않는다. 또한 영어 문장을 스스로 만들어낼 능력이 없으므로 말을 하거나 글을 쓸 때 불안하고 초조하다. 이를 극복하고자 예문이라도 암기하려 하지만 문장을 청크 단위로 붙들 힘이 없기 때문에 임시기억 상태로 잠시 있다가 잊어버리기를 반복한다. 마지막으로 일상생활에 많이 쓰는 세 단어 미만의 간단한 표현은 자꾸 듣다 보면 어느 정도 습득하지만, 본격적인 영어실력은 형성되지 않는다.
이러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외국에 배우러 가는 것이 아니냐고 반문하는 분을 위해 미국의 어학연수 코스에 대해 먼저 살펴보고, 어학연수에서 성공하는 법에 대해 알아보겠다.
미국으로 어학연수를 가게 되면 보통 대학 부설의 ESL 코스에 들어가게 된다. 미국인들과 함께 공부하는 것이 아니고 세계 각국에서 모인 영어를 못하는 사람들과 함께 공부한다. 생활회화보다는 문법, 독해 장문 위주로 배우며 문법에서도 기본 구조 등을 다루는 큰 문법(macro-grammar)이 아닌 단수복수형이나 동사변화와 같은 작은 문법(micro-grammar)을 배우게 된다. 큰 문법이 비슷한 유럽이나 남미 출신 학생에겐 꽤 도움이 되지만 우리의 경우 작은 문법만 연습해서는 발전이 별로 없다. 교재 역시 학습내용이나 수업방법이 우리나라 사람에 맞지 않아 어려워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문제들 때문에 떠나기 전 탄탄한 영어 엔진을 갖추고 떠나는 것이 중요하다. 문법은 원어민식 문법감각이 머릿속에 있어야 하며, 영어는 1분에 180단어 이상을 읽고 80% 이상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AFKN,CNN 등 뉴스 방송을 절반 정도 이해할 수 있는 청취력, 간단한 영문편지 정도는 쓸 수 있는 작문력을 갖추고 떠나야 한다.
둘째, 원어민 국가에 갔을 때 원어민과 함께 공부할 수 있는 코스를 찾는 것이 좋다. 미국의 일부 대학 중에는 본 코스 청강을 허용하는 곳이 있다. 그런 학교에 부설돼 있는 어학코스를 선택한 뒤 몇 과목 정도는 본 코스를 그들과 함께 공부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외국에 연수를 간다고 해서 무조건 영어실력이 향상되는 것은 아니다. 기초가 부족하면 어학연수를 가봐야 좋은 결과를 얻지 못한다. 국내에서 기본기를 쌓고 외국에서는 실전에 써먹어야 어학연수에서 성공한다는 것을 명심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