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학

(16) 소리감각 내 것으로 만들기

바보처럼1 2008. 9. 18. 08:56

[정철의 영어 술술 말하기] (16) 소리감각 내 것으로 만들기

강세 유의하며 리듬타야 ‘유연’해진다

이번에는 영어만이 가진 독특한 리듬과 강세에 대해 알아보며 영어의 가장 중요한 소리감각을 익혀 보도록 하겠다.

세상의 모든 언어는 제각각의 독특한 억양과 리듬을 갖고 있다. 그중에서 우리말은 ‘음절박자언어(Syllable Timed Language)’라고 한다. 음절에 의해 박자를 맞추는 언어란 뜻이다.

예를 들면 “안녕”이라는 글자는 한 음절씩 2박자가 되고 “안녕하십니까”는 6박자가 된다. 이 두 문장을 말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2대6으로 4박자만큼 차이가 난다. 이처럼 음절 하나하나의 길이가 같아서 한 문장을 말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음절의 숫자에 비례하는 언어가 바로 ‘음절박자언어’다. 우리말과 일본어, 이탈리아어, 스페인어 등 라틴계 언어가 여기에 속한다.

이에 비해 영어는 ‘강세박자언어(Stress Timed Language)’라고 한다. 강세에 의해 박자를 맞추는 언어란 뜻이다. 영어에서는 한 문장을 말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강세의 숫자에 비례하고 음절 수와 관계없다. 문장내 강세를 받는 음절의 수가 많으면 시간이 길어지고 수가 적으면 짧아진다. 따라서 음절의 숫자가 서로 다른 문장이라도, 강세의 숫자가 같으면 같은 길이로 발음된다.

예를 통해 알아보자.“Boys like girls.”3음절),“The boys like girls.”(4음절),“The boys like the girls.”(5음절) 등은 음절은 다르지만 강세는 똑같이 ‘Boys,like,girls’에만 들어가고 길이도 거의 같다. 위의 3음절 문장의 경우 3음절 모두가 강세를 받으므로 발음이 뚜렷이 들리지만,5음절 같은 문장은 강세가 있는 3개 단어만 강하고 명료하게 들리고 나머지 단어는 짧고 불분명하게 발음된다. 미국 방송이나 영화를 볼 때 낯익은 단어만 들리고 무슨 소리인지 알아듣기 힘든 이유가 영어의 독특한 리듬 때문이다.

강세에는 단어 내에서 한두 음절을 강하게 발음하는 ‘단어 강세’와 문장 내에서 몇 개의 음절을 강하게 발음하는 ‘문장 강세’가 있다. 문장 강세는 기본적으로 단어 강세 위에 오지만 문장의 리듬과 내용의 중요도에 따라 단어 강세가 무시되는 경우도 있다. 영어 문장에서 강세의 특성을 살펴보면 강세가 있는 음절은 강하고 길며 명료하지만, 강세가 없는 음절은 약하고 짧으며 불명료하다. 또 한 문장이나 의미단위 내에서는 일정한 간격으로 강세가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강세를 받는 단어에는 명사, 동사, 형용사, 부사, 의문사, 지시사가 있고, 강세를 받지 않는 단어로는 a나 an,the 같은 관사를 비롯해 1음절 전치사,1음절 접속사, 인칭대명사, 관계사, 조동사 be,do,have동사 등이 있다. 특별한 사유가 없는 이상 이 법칙을 따르지만 100%까지 들어맞는 것은 아니다.“I love you.”는 보통 love에 강세를 받지만 나를 강조하고 싶으면 ‘I’에, 당신을 강조하고 싶으면 ‘you’에 강세를 둔다.

리듬의 구체적인 훈련법은 다음 회에 알아보겠다. 듣는 연습을 할 때도 리듬감각을 느끼면서 해야 빨리 늘고 말하기를 할 때도 리듬에 맞춰 연습해야 영어다운 소리가 난다는 것을 명심하도록 하자.

2008-08-12  17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