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달리는 현재 울산광역시 남구 달동
‘울산 달리’가 우리 민속사, 민속 연구의 대표 지역으로 거듭난다. 국립민속박물관과 일본 국립민족학박물관(이하 일본 민박), 울산시는 12일 울산시청에서 ‘울산 달리 100년’ 학술 교류 협정을 맺었다. 주제는 ‘울산 달리의 민속’이다. 달리는 현재 울산광역시 남구 달동이다. 1936년 당시 127호의 농가가 옹기종기 모여 있었던 작은 마을이었던 달리는 오늘날 산업도시 울산의 최대 중심 번화가 지역으로 변모했다. 민속박물관과 일본 민박은 2012년까지 공동 연구와 세미나 등으로 울산 달동의 민속지를 작성하기로 했다. 다큐멘터리 영상물을 제작하고 특별전시회를 갖는 계획도 세워 놓았다.
|
달리를 조명하게 된 구체적 계기는 1936년 당시 일본 도쿄제대 의학부 위생조사팀이 울산 달리에서 ‘농촌 위생조사’를 진행하면서 수집한 124점의 민속 유물과 수 백장의 사진, 동영상 자료였다. 이 유물, 자료는 현재 일본 민박에 ‘울산 컬렉션’이라는 이름으로 보관되고 있다.
특히 울산 달리가 민속 연구의 보고로 부각된 가장 큰 이유는 70여년 전의 한국 농촌 상황을 알 수 있는 보고서뿐이 아니라 사진, 동영상 자료 등이 완벽하게 남은 국내에서 유일한 동네라는 사실 때문이다. 70여년 전 묻어 놓은 타임캡슐인 셈이다. 민속박물관은 이를 토대로 연구 결과를 보태면 1936년 한국 농촌의 생활상을 100%에 가깝게 복원할 수 있을 것으로 확신하고 있다.
●70여년전 한국 농촌상황 알 수 있는 보고서
민속박물관은 2007년 7월 일본 민박과 문화교류 협정을 체결했다. 그 결과 한국 유물에 대한 공동 연구, 일본 민박에 한국어 안내 전자 가이드 설치, 문화 체험 교육 프로그램 공동 운영 등 이미 활발한 교류가 진행돼 왔다.
민속박물관은 지난해 1936년 이뤄진 달리 조사 보고서인 ‘조선의 농촌 위생-경상남도 울산읍 달리의 사회위생학적 조사’를 번역 출간했고, 일본 박물관이 갖고 있던 ‘울산 달리 컬렉션’의 사진, 관련 자료 등을 담아 ‘향수-1936년 울산 달리’ 도록(圖錄)을 내놓기도 했다.
민속박물관 천진기 민속연구과장은 “울산 달리는 한국 민속의 근대와 현대, 그리고 미래를 드러내는 공간의 상징”이라면서 “향후 10년 주기로 계속 변화를 관찰, 연구하면 우리의 또다른 미래를 유추해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울산 강원식·서울 박록삼기자 youngtan@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