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한글박물관을 보다가 '옛 한글편지전'을 보게 되었습니다.
죽은 남편의 관에서 그의 아내가 자신의 머리카락과 삼을 엮어 만든 미투리 한켤레와 애절한 마음을 담은 한글편지가 발견되어 화제가 되었던 글을 보게 되었습니다.)
이응태의 아내가 죽은 남편에게 쓴 편지
당신 늘 나에게 말하기를 둘이 머리가 세도록 살다가 함께 죽자고 하시더니, 그런데 어찌 하여 나를 두고 당신 먼저 가셨나요? 나와 자식은 누가 시킨 말을 들으며, 어떻게 살라고 다 던져버리고 당신 먼저 가셨나요? 당신은 날 향해 마음을 어떻게 가졌으며 나는 당신 향해 마음을 어떻게 가졌던가요?
“여보, 남도 우리같이 서로 어여삐 여겨 사랑할까요? 남도 우리 같을까요?”라고 당신에게 말하였더니, 어찌 그런 일을 생각지 않고 나를 버리고 먼저 가시나요? 당신을 여의고는 아무래도 난 살 힘이 없으니 빨리 당신에게 가려 하니 나를 데려 가세요. 당신을 향한 마음은 이승에서 잊을 수가 없으며, 아무래도 서러운 뜻이 끝이 없으니 이내 마음은 어디에다 두고, 자식 데리고 당신을 그리워하며 어찌 살 수 있을까 생각합니다.
꿈속에서 이 편지 보신 말 자세히 듣고 싶어 이렇게 편지를 써서 넣습니다. 자세히 보시고 내게 일러 주세요.
그 밴 자식 나거든 누구를 아버지라 부르게 하시나요? 아무래도 내 마음 같을까요? 이런 천지가 온통 아득한 일이 하늘 아래 또 있을까요? 당신은 한갓 그 곳에 가 있을 뿐이니 아무래도 내 마음같이 서러울까요?
한도 없고 끝이 없어 다 못 쓰고 대강만 적습니다. 이 편지를 자세히 보시고 제 꿈에 와서 보이고 자세히 말해 주세요. 저는 꿈에서 당신 볼 것을 믿고 있어요. 한꺼번에 와서 보여 주세요. 사연이 너무 한이 없어 이만 적습니다. 병술 유월 초하룻날 집에서 아내가 ...
------------------------------------------------------------------------------------
이 편지는 1998년 4월 24일 안동시 정상동의 택지 조성을 위해 이장(移葬) 작업을 하던 중 고성이씨(固城李氏) 족보에도 미상이었던 이응태(李應台)의 묘에서 발견되었다. 관 속의 시신(屍身)은 건장한 체격의 젊은이로서 턱에는 짧은 수염이 나 있고 입을 굳게 다문 채 누워 있었다. 미이라 상태로 발견된 시신도 화제였지만 더욱 세인의 주목을 끈 것은 시신의 가슴 부분을 덮고 있던 한글 편지였다. 그 편지는 아내가 죽은 남편에게 쓴 애절한 사랑의 편지였다. 병석에 누워 있던 남편이 31살의 젊은 나이로 죽자 아내는 하늘이 무너지는 듯한 슬픔 속에 눈물을 머금고 한 자 한 자 써 내려갔다. 남편을 먼저 보내는 아내의 안타깝고 애틋한 사랑 표현이 고스란히 그려져 있는 이 편지는 400여 년이 지난 지금에서 와서도 현대인의 눈시울을 뜨겁게 한다.
[출처: 디지털한글박물관http://hangeulmuseum.org/]
내셔널 지오그래픽에 실린 미투리 한 켤레…'421년 전 사부곡' 세계가 감동
23개 언어로 28개국에서 동시 발행되는 내셔널 지오그래픽(National Geographic)이 안동대 박물관에 전시된 미투리 한 켤레를 주목했다. 20일 안동대에 따르면 16세기에 만들어진 미투리 한 켤레의 사진과 사연이 '사랑의 미투리'라는 제목으로 내셔널 지오그래픽 11월호에 실렸다. 기사는 이렇게 정리돼 있다. 16세기에 만들어진 미투리 한 켤레가 애절한 편지와 함께 발굴돼 한국인의 심금을 울렸다. 1586년 6월 1일 지금의 안동시 정상동 지역에서 살던 임신한 과부가 사별한 남편에게 편지를 썼다. '당신 언제나 나에게 둘이 머리 희어지도록 살다가 함께 죽자고 하시더니 어찌 나를 두고 당신 먼저 가십니까?' 그녀는 병든 남편의 쾌유를 빌기 위해 자신의 머리카락과 삼 줄기를 한데 삼은 미투리를 편지와 함께 남편의 무덤에 묻었다. 이처럼 오랜 세월 묻혀 있던 유물들이 안동시 정상동 택지개발 작업 중에 발굴됐다. 편지에는 시공을 초월하는 그녀의 사랑이 담겨 있다. '꿈에 몰래 와서 모습을 보여 주세요. 하고 싶은 말 끝이 없어 이만 적소이다'. 이 편지를 소재로 한국에서는 소설 두 권과 다큐멘터리 한 편이 제작되고 무덤 자리엔 여인의 동상이 세워졌다. 수많은 한국인과 일본인 관광객이 편지의 사본을 구입했다. 이들의 사랑을 주제로 오페라를 연출 중인 박창근 교수는 "편지의 내용이 시대를 초월해 지금도 사람들의 눈시울을 적시고 있다"고 말했다. 이 미투리는 1998년 안동시 정상동 고성이씨 무덤에서 '원이 엄마'의 한글 편지와 함께 출토된 것으로 마()와 머리카락을 섞어 짠 짚신형 신발로 길이 23㎝, 볼 너비 9㎝가량이다. 출토 당시 미투리는 한지에 싸여 있었다. 내셔널 지오그래픽은 118년 전통의 세계적인 다큐멘터리 잡지로 영어와 한국어.프랑스어.독일어.히브리어.중국어 등으로 발행되고 있다. |
'감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심심할때 볼거리 (0) | 2010.04.03 |
---|---|
[6,25. 60주년을 맞으며] (0) | 2010.03.31 |
“셋째 딸은 아직도 셋방살이 하는데…” (0) | 2008.09.09 |
야채 팔던 가난한 소년 '미군장교 됐다' (0) | 2008.07.24 |
어려워도 기부”… 더 빛나는 ‘반딧불이 사랑’ (0) | 2008.0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