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인호의 전원생활

(11)땅 개발, 안 되는 걸 되게 한다?…‘허가방’을 아시나요

바보처럼1 2011. 12. 15. 20:30

[박인호의 전원별곡]제2부 집짓기-(11)땅 개발, 안 되는 걸 되게 한다?…‘허가방’을 아시나요

2011-03-17 09:45

글자확대 글자축소 프린트 메일로보내기 스크랩 트위터 페이스북 미투데이 싸이월드 공감 다음요즘

농지(전답)나 임야에 전원주택을 짓기 위해서는 개발행위 허가(농지전용, 산지전용)를 받아야 한다. 이는 통상 토목측량회사에서 대행하는데, 토지 관련 규제가 복잡하고 까다로워 진입로 경사도 배수 등 여러 가지 조건이 개발행위 허가를 받아내기 쉽지 않은 땅들이 꽤 있다. 이 때 해결사로 나서는 게 이른바 ‘허가방’이다. 이들 업체는 전문적인 부동산 관련 법률과 건축 지식으로 무장한 전직 공무원들이 운영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군청 등 관공서 주변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들은 해당 관청의 인허가 담당자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며 인허가를 받아 낸다. 또 규제를 피한 편법적인 땅 거래를 알선하기도 한다. 투기를 없애기 위한 토지관련 인허가 규제가 되레 새로운 편·탈법 거래의 온상이 되고 있는 것이다.

실례를 보자. K(49)씨는 지난 2010년 전원주택을 짓기 위해 강원도 A군 임야 2000㎡를 매입했다. 집을 짓기 위해 군청에 인허가를 신청했지만 군청측은 땅의 경사도가 심하다며 허가를 내주지 않았다. K씨는 개발 허가를 대신 받아준다는 ‘허가방’인 군청 인근 M토목측량사무소를 찾았다. 이곳에 인허가 대행료로 무려 2000만원을 지급하고 한 달 뒤 개발행위허가를 받았다.

이처럼 ‘허가방’은 농지나 임야의 전용허가를 대행할 때 통상 청구하는 수수료의 몇 배 이상을 받아 챙긴다. 안 되는 걸 되게 만들어 주는 값비싼 대가인 셈이다.

그럼 허가방의 먹거리인 개발행위 허가대상은 어떤 게 있을까. 먼저 전원주택 등 건축물의 건축 또는 공작물의 설치다. 토지의 형질변경(경작을 위한 것은 제외)도 허가를 받아야 한다. 여기에는 절토·성토·정지·포장 등의 방법으로 토지의 형상을 변경하는 행위와 공유 수면의 매립이 해당한다. 흙 모래 자갈 바위 등의 토석을 채취하는 행위도 마찬가지다.

건축물이 있는 대지를 제외한 토지의 분할도 개발행위 허가대상이다. △녹지지역·관리지역·농림지역 및 자연환경보전지역 안에서 관계법령에 따른 허가·인가 등을 받지 아니하고 행하는 토지의 분할 △건축법 제57조 제1항에 따른 분할제한 면적 미만으로의 토지의 분할 △관계 법령에 따른 허가·인가 등을 받지 아니하고 행하는 너비 5m 이하로의 토지 분할 등 이다.

이밖에 녹지지역·관리지역 또는 자연환경보전지역 안에서 건축물의 울타리 안(대지)에 위치하지 아니한 토지에 물건을 1개월 이상 쌓아 놓는 것도 허가대상이다.

(헤럴드경제 객원기자,전원&토지 칼럼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