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자호란 다시 읽기] (71) 높아지는 명분론,어정쩡한 방어대책 [병자호란 다시 읽기] (71) 높아지는 명분론,어정쩡한 방어대책 홍타이지의 ‘조선 비난’ 국서에 조정신료 決戰論 들끓어 몽골 버일러들을 이끌고 왔던 용골대 일행이 도주하고, 청과 관계를 끊겠다는 인조의 유시문마저 용골대 일행에게 빼앗긴 뒤 조선의 분위기는 뒤숭숭했다. 나덕헌과 이확이 홍.. 역사 2008.05.14
(70) 홍타이지,황제가 되다 [병자호란 다시 읽기] (70) 홍타이지,황제가 되다 평소 여진족을 오랑캐라고 멸시했던 조선이 홍타이지를 황제로 추대하는 데 동참하는 것은 상상하기 어려운 일이었다. 그런데 후금의 힘이 이미 명마저 넘어선 상황에서 조선의 선택은 국가의 존망까지 걸어야 하는 모험일 수밖에 없었다. 당연히 신중.. 역사 2008.05.09
(69) 후금 관계 파탄의 시초(Ⅱ) [병자호란 다시 읽기] (69) 후금 관계 파탄의 시초(Ⅱ) 용골대와 마부대 일행은 다목적 사절이었다. 새해가 밝았음을 축하하는 사절이자, 인열왕후의 죽음에 문상하기 위한 조문사이기도 했다. 하지만 그들이 조선에 온 가장 큰 목적은 홍타이지를 황제로 추대하려 한다는 사실을 알리고, 조선의 동참을.. 역사 2008.05.09
<66>백제 성왕의 후손 의연승정이 세운 오카데라 [홍윤기의 역사기행 일본속의 한류를 찾아서] <66>백제 성왕의 후손 의연승정이 세운 오카데라 곳곳에 백제인 승덕… 국보·문화재 즐비한 명찰 ◇아스카의 명찰인 오카데라의 본전백제인들의 오랜 역사의 터전인 일본 나라의 아스카(飛鳥)라는 아늑한 전원 지대. 이곳의 명찰 오카데라(岡寺)를 둘.. 역사 2008.05.09
(68) 후금관계 파탄의 시초(Ⅰ) [병자호란 다시 읽기] (68) 후금관계 파탄의 시초(Ⅰ) ‘야나가와 이켄’에서 비롯된 일본과의 긴장도 대충 해소되고 있던 1635년 12월, 인열왕후(仁烈王后·1594∼1635) 한씨가 세상을 떠났다. 출산으로 말미암은 후유증 때문이었다.12월4일에 태어난 대군은 곧 사망했고, 한씨 또한 닷새 뒤에 숨을 거두었.. 역사 2008.04.27
<65>백제혼 서린 규슈 후나야마 고분 [홍윤기의 역사기행 일본속의 한류를 찾아서] <65>백제혼 서린 규슈 후나야마 고분 백제 왕권상징 유물 무더기 출토 日 고대문화 한반도 영향력 짐작 ◇1873년 1월 발굴된 일본 규슈 후나야마 고분의 안내판과 전경 일본 열도 남쪽의 커다란 규슈섬은 고고학적으로 한반도 고대문화의 다채로운 발굴.. 역사 2008.04.16
[병자호란 다시 읽기] (67) 유화적인 대일정책Ⅱ [병자호란 다시 읽기] (67) 유화적인 대일정책Ⅱ ‘야나가와 이켄(柳川一件)’에 대한 최종 판결은 1635년(인조 13) 3월15일에 내려졌다. 도쿠가와 쇼군은 소오 요시나리(宗義成)의 손을 들어 주었다. 하지만 요시나리에게 그것은 ‘찜찜한 승리’였다. 주군인 자신을 배신하고 사지(死地)로 몰아 넣으려 .. 역사 2008.04.16
[병자호란 다시 읽기] (66) 유화적인 대일정책Ⅰ [병자호란 다시 읽기] (66) 유화적인 대일정책Ⅰ 병자호란이 일어나기 직전인 1635년 후반 무렵, 조선은 또 다른 난제를 안고 있었다. 다름 아닌 ‘일본 문제’였다. 조선은 갈수록 높아지는 후금의 군사적 위협과 명의 요구를 감당하기에도 버거운 처지였다. 당연히 일본과의 관계 안정이 절실했다. 그.. 역사 2008.04.14
(63)간무일왕의 생모, 백제여성 다카노노 니가사의 능묘 [홍윤기의 역사기행] (63)간무일왕의 생모, 백제여성 다카노노 니가사의 능묘 그 백제의 여인, ‘日 헤이안 문화’를 낳다 ◇간무일왕 큰사당 ‘헤이안신궁’(교토) 신전 어귀.일본 교토에서 가볼 만한 백제왕족의 터전 하면 백제 여성 야마토노 니가사(和新笠, 후일 高野新笠, 다카노노 니가사로 성씨.. 역사 2008.04.14
신라계 고승 쿠카이가 창설한 사찰 '공고부지' [홍윤기의 역사기행]신라계 고승 쿠카이가 창설한 사찰 '공고부지' ◇일본 불교 진언종의 본찰인 고야산의 공고부지 입구와 본당인 부동당. 공고부지에는 국보 부동당과 ‘동자입상’ 등 150점에 달하는 중요문화재가 있다.약 2년간의 짧은 당나라 유학(불교 수업)을 마치고 귀국한 일본 불교 진언종의 .. 역사 2008.0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