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천스님의 아헹가 정통요가

싱하 아사나

바보처럼1 2007. 4. 23. 11:21

[현천 스님의 아헹가 정통요가] 싱하 아사나

# 싱하 아사나1 싱하(Singha)는 사자를 뜻한다. 사자가 앉아 있는 자세처럼 용맹스럽게 앉아 호흡을 병행하는 아사나이다.

1. 손바닥을 마루에 놓고, 엉덩이를 들어올린다.

2. 오른쪽 무릎을 뒤로 구부려 오른쪽 발바닥을 왼쪽 엉덩이 밑에 두고 그 위에 앉는다.

3. 발가락을 뒤쪽으로 하고 발뒤꿈치에 앉는다. 발은 교차해서, 왼쪽 발목을 오른쪽 발목 밑 에 두어야 한다(사진1).

4. 등을 곧게 펴고 앉아 양쪽 무릎 위에 손바닥을 쭉 편 채로 양쪽 무릎을 누른다.

5. 턱을 넓게 벌리고, 가능한 한 멀리 혀를 턱 쪽으로 쭉 뻗는다(사진2). 이때, 시선은 미간이나 코의 끝을 응시하고 입으로 숨을 쉬면서 이 자세를 30초간 유지한다.

6. 양쪽으로 같은 시간동안 유지한다.

# 싱하 아사나2 싱하 아사나의 변형 자세를 통해 더 큰 효과를 볼 수가 있다.

1. 결가부좌 자세로 앉는다. 넓적다리 가까이 발바닥을 깊숙이 놓고 발바닥은 위로 향하게 한다(사진3).

2. 팔을 앞으로 뻗어 손가락이 앞으로 향하도록 손바닥을 마루에 놓는다. 무릎으로 서서 골반 부분을 마룻바닥 쪽으로 밀고 엉덩이를 수축시킴으로써 등을 쭉 편다. 체중을 손바닥과 무릎에만 싣고 입을 벌려 혀를 가능한 한 턱 쪽으로 내민다(사진4).

3. 시선은 미간이나 코끝을 응시하고,30초 정도 이 자세를 유지한다. 숨은 입으로 쉰다.

4. 다리를 바꿔 양쪽 모두 같은 시간동안 되풀이 한다.

# 효과 이 자세는 간장에 자극을 주어 담즙의 양을 조절한다. 이것은 구취를 치료하고, 혀는 더 깨끗해지고 말이 더 분명하게 발음된다. 그러므로 이것은 말을 더듬는 사람에게 권유된다. 이 아사나는 미저골의 통증을 경감시키고 어긋난 미저골을 바로잡아 준다.

# 요가교실 보통 마음은 순수함과 그렇지 않음의 양면을 갖고 있다고 한다. 욕망에서 완전히 벗어나 있을 때 우리는 순수하고, 욕망과 결부되어 있을 때 그렇지 않다고 한다. 마음을 움직이지 않게 하고 게으름과 방심으로부터 자유롭게 되면, 우리는 사마디(samadhi, 삼매)라고 하는 최고의 마음 상태, 즉 아마나스카(amanaska, 무심)에 도달한다. 이 상태는 마음과 호흡이 일체가 되며 이같이 자타일체의 마음 상태(사마디)가 되는 것이 요가가 지향하는 것이다.

■ 자료제공:아헹가 요가 센터 053)981-3553

http:///www.iyengar.co.kr 아사나:전지은

기사일자 : 2006-12-21

'현천스님의 아헹가 정통요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리브르타 트리코나 아사나  (0) 2007.04.23
싯다.파드마 아사나  (0) 2007.04.23
시르사 아사나  (0) 2007.04.23
아르다 시르사아사나  (0) 2007.04.23
파리가 아사나  (0) 2007.0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