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
茶예술 茶문화축제 | ||||
따스한 차 한 잔이 그리워지는 계절, 맑은 샘물 떠다 설록 한잎 똑 떨어뜨려, 아니면 지난해 말려 뒀던 국화 꽃잎 한 가닥 살짝 띄워 은은한 향기를 맡고 싶다. 다향에 빠져 사색을 즐기는 호젓한 여유가 더욱 그립다.
깊어가는 가을, 제주도다도협회(회장 이군칠)와 국제차문화축제위원회가 22일부터 24일까지 제주 국제컨벤션센터에서 제4회 국제차문화축제를 연다.
중국·일본·타이완 등 3개국 다인들을 초청, 각국의 독특한 차문화 체험을 통해 서로간의 공감대를 넓혀가기 위해 마련한 자리.
특히 이번 축제는 국제관광도시 제주를 세계에 소개, 새로운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여 주목된다.
일본 전통다례는 이바라키현 가시마시 다도연맹이, 타이완 전통다례는 타이완 남투현 죽산다회가, 중국 전통다례는 강서성 남창여자전문대학이 각각 맡아 선보인다.
국내에선 부산전통문화전래원, 오성다례원 아인 박종환선생, 종정다례원 이정애 선생, 통도사 성보박물관 범하스님 등이 각국 다도인 대표들과 함께 전통다례와 전통예절 공연을 펼친다.
축제 관람객들을 대상으로 귀한 손님에게 예를 갖춰 차와 다식을 대접하는 법을 재현(도내 15개, 도외 5개팀등 20개팀 참가)한다.
한국 다도문화 발전에 공헌한 추사선생을 추모하는 헌다례, 우리 전통혼례의 재현(성균관대학교 성래원), 다기, 도자기, 한지공예 전시회 등이 볼거리다.
국내에서 팔리는 먹는 샘물 가운데 차맛이 가장 잘 우러나는 것을 뽑아보는 ‘먹는 샘물 품평회’도 눈길을 끌 만하다.
제주다도협회 이정주 이사장은 “제주차문화축제는 감귤산업의 사양화에 따른 대체산업으로서의 비전을 제시하고 세계 최대 녹차 생산지인 동북아 4개국을 차문화벨트(tea belt line)로 조성하려는 시도라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며 “이번 축제가 한국의 차문화를 알리고 그 저변을 넓히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고 밝혔다.
“마음과 몸이 한가로울 때/독서와 시 읊기에 지쳤을 때/마음이 어수선할 때/가곡을 들을 때/노래가 파하고 가락이 끝났을 때/문을 닫고 바깥일을 피할 때/북 치고 거문고를 타며 그림을 볼 때/깊은 밤 이야기를 나눌 때/밝은 창가 깨끗한 책상을 마주할 때/그윽한 방이나 아름다운 누각에 있을 때/앉아서 손님이 찾아왔을 때”(허차서의 ‘다소(茶疏)’)
지금이 바로 그때라면 푸른 섬 제주에서 다선일미(茶禪一味)의 세계에 한번 빠져보는 것은 어떨까.
깊어가는 가을, 삼다도(三多島)를 넘어 삼다도(渗茶道) 제주에서 차향기에 취해보는 것도 색다른 경험이 될 듯 싶다.
문의 제주도다도협회 064-711-3777
강동삼기자 kangtong@seoul.co.kr 기사일자 : 2005-10-20
|
'여연스님의 차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꽃차로 봄을 마셔요 (0) | 2007.04.23 |
---|---|
역사에 기록된 차인茶人 (0) | 2007.04.23 |
우전차 따러 영암 덕진차밭을 가다 (0) | 2007.04.23 |
에필로그 (0) | 2006.08.02 |
한국의 다도철학 (0) | 2006.08.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