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수 최희준과 가야금 음악가 황병기가 서울법대 출신이라는 것은 꽤 알려진 사실이다. 젊은 또래로는 판소리와 타악을 잘하는 한승석이 서울법대 출신이다.
그런데 『한국의 농요』를 5집까지 내고 수많은 민요 논문을 발표하여 박사학위까지 받은 여류 국악학자 이소라가 또한 서울법대 출신이라는 것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다. 이소라는 부산 출신으로 부산여중을 다닐 때 운영위원장을 할 정도로 활달하고 공부도 잘했다. 경기여고에 진학한 후에도 문과나 이과에 늘 좋은 성적을 따는 모범생이었는데 정작 대학의 진로를 정할 때에는 약간의 갈등을 겪었다.
어려서부터 기독교 집안에 자라면서 무엇인가 봉사하는 삶을 살아야겠다는 생각을 했기 때문에 처음에는 의과대학이나 농과대학을 갔으면 하는 생각을 했었다. 그런데 언니가 법대를 가는 것이 좋겠다고 권하는 바람에 법대로 진학하게 되었다. 서울법대에는 여학생이 많지 않아서 이소라는 늘 혼자 다니며 열심히 공부하게 되었는데 본인은 법학 못지않게 철학과 음악에 관심이 많아 문리과대학의 철학 강의를 거의 다 들을 정도로 열심히 했다.
음악도 어느 정도의 기능을 가져야겠다고 생각하여 꾸준히 피아노 레슨을 받으며 생활했다. 그러면서 농업이나 농촌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지고 공부했으니까 이소라의 대학생활은 다양한 학문의 바다를 두루두루 섭렵하는 그런 과정이었다고 할 수 있다. 주위의 동창생들은 고시다 무슨 시험이다 하고 시험공부에 매달리는 경우가 많았지만 이소라는 그런 시험에는 관심이 없었다. 그냥 더 공부해야겠다는 생각과 무엇인가 한 분야의 최고가 되어 인류와 사회에 기여해야겠다는 생각이 오히려 많았다. 그러면서 자연스레 음악에 더 많은 관심을 갖게 되었는데 그것은 법대를 졸업한 후 서울음대 작곡과에 편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면서 국악을 접하게 되었다. 국악은 그녀에게 새로운 도전의 대상이 되었다. 국악과 강의를 듣고 해금이나 장구를 배우고 가곡과 춤도 배웠다. 악기도 가야금, 거문고, 단소, 젓대, 피리 등 거의 다 배웠다. 배워도 그냥 배우는 것이 아니라 같은 악기를 여러 선생님들에게 철저히 배웠다. 해금 같으면 강사준, 김천흥, 김흥교, 김영재, 최태현 등을 사사하여 해금음악의 이것저것을 다 배우는 식으로 배웠다. 가곡은 전효준, 홍원기, 이석재에게 배우고 춤은 이동안, 박병천, 김유경에게 배우는 식이었다. 국악실기를 열심히 배우면서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악과를 졸업했다(’83년).
그렇게 음악을 하기로 하고 음악 중에서 국악을 하면서 대학원을 졸업한 이소라는 1983년 문화재청에 상근 전문위원으로 취직하면서 본격적인 현장의 국악을 조사하고 연구하게 되었다. 처음 받은 과제가 제주와 고성 그리고 예천 통명농요를 조사하는 것이었는데 통명농요를 조사한 다음 군 직원으로부터 공처라는 곳에 통명농요와 다른 농요가 있다는 말을 듣고 비교해 볼 욕심으로 그 쪽도 조사하게 되었다. 같은 예천 지방인데 통명에도 농요가 있고 공처에도 농요가 있었다. 그런데 그 노래들의 음악적 특징이 다르다는 것을 발견하면서 본격적으로 농요를 연구해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됐다. 그 농요들은 한마디로 너무 좋고 너무 달랐다. 그래서 새로운 결심을 하게 됐다. 전국의 농요를 최대한 조사하고 가능한 한 농요가 잘 보존되도록 해야겠다는 생각도 했다. 그래서 농요보존회를 만들고 대학로에서 농요발표공연도 했다. 3년 동안 전국 각 시군에서 3개면 정도는 조사하는 전국민요조사를 추진하여 ‘89년 8월에 한 차례의 조사를 끝냈다. 전국 방방곡곡을 찾아다니며 농부들을 만나고 농촌 실정을 알아보면서 농요를 채집하는 일은 광부가 금광에서 금맥을 찾아 캐내는 것 같은 재미와 스릴이 있었다. 멋진 농요를 발견할 때면 세상에 부러울 것이 없을 것 같은 충만한 기쁨을 맛볼 수 있었다. 보람과 재미를 함께 맛보는 민요 조사는 이소라에게 새로운 열정을 갖게 했고 민요 연구는 끝없이 계속하게 되었다. 한국 농촌의 민요를 한 차례 조사한 이소라는 일본으로 건너가 일본의 모심기소리를 조사하여 비교해 보았는데 역시 새로운 것을 많이 발견하게 되었다. 중국의 모심기소리도 조사해 보았다. 4개월 동안 쉬지 않고 많은 곳을 답사하며 조사했다. 앞으로는 동남아의 더 많은 나라 모심기소리도 조사했으면 한다. 하면 할수록 재미있고 의욕이 샘솟아서 끝없이 그 일을 하고 싶은 것이다.
이소라는 그 동안 채집한 농요를 분류하고 정리하여 다섯 권의 『한국의 농요』를 출판했다. 채집한 민요를 듣고 곡조는 5선보로 채보하고 가사는 정확하게 채록하여 실었다. 이 책들은 민요의 음악적 연구나 문학적 연구에 귀하게 쓰일 자료가 될 것이다. 30여 권을 낸 각 시군 단위의 지역 민요는 그 지역의 문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그리고 많은 민요 관련의 논문을 발표했다. 그러니 자연 그의 박사학위 논문도 민요를 내용으로 한 것이 되었고 그래서 민요박사라는 말을 듣게 된 것이다. 이소라의 생활은 온통 민요로 꽉 차 있다. 사람을 만나도 민요와 관련된 사람들을 만나고 공부를 해도 민요와 관련한 공부를 하고 글을 써도 민요에 대한 글을 쓴다. 본인이 생각한 보람 있는 일을 열심히 하느라 어느새 환갑을 훌쩍 넘겼지만 결혼할 생각을 하지 못했다. 직장도 정년퇴직했고 민요 연구도 어느 경지에 다다른 터이지만 아직 정리할 것이 많고 연구할 것이 태산 같다. 자식 많은 부모가 자식들에게 발목 잡히듯 이소라는 민요에 발목이 잡히어 옴짝달싹 못하는 형국이 되었다.
내가 찾아간 그날도 이소라는 피아노가 있는 큼지막한 연구실에 앉아서 민요 관련의 글을 쓰고 있었다. 무엇엔가 홀려 사는 삶! 남들이 다 하는 세상적인 것들과 상관없이 자기가 생각한 무엇을 추구하며 사는 삶. 그렇게 열심히 노력하며 작업한 것들이 이 사회와 역사에 남을 것들이라면 그 또한 보람되고 값진 것 아닐까? 그런 삶을 살고 있는 사람이 서울법대를 나온 이소라여서 간단히 적어보았다.
|
월간 <삶과꿈> 2006.10 구독문의:02-319-37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