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촌면 임산리는 동부지구, 양강면 남전리는 남부지구, 용산면 청화리는 북부지구로 나뉘어져 있다. 각 지구별 면적은 12만㎡ 규모다.
군은 이들 지구에 감나무를 대대적으로 심어 감생산의 전초기지로 삼을 계획이다. 각 지구마다 가공단지도 만들어 감의 부가가치를 높이기로 했다.
가공단지에서는 감식초는 물론 감셔벗과 아이스홍시 등을 생산한다. 감물을 이용한 염색산업도 육성한다.
하지만 감생산 및 감산업의 핵심지구는 영동읍 매천리와 회동리 일대 6만 2000㎡에 조성되는 중부지구다.
이 곳에는 곶감축제장이 조성되고 감산업 관련 연구시설이 들어선다. 홍보 및 견학시설과 감체험장도 만들어진다.
체험장에서는 감깎기와 염색 등 각종 감 관련 체험을 해볼 수 있다.
군은 지역에 있는 영동대와 함께 감산업을 연구하고 감축제 활성화 및 관광객 유치 등의 방안을 세워 영동지역을 감산업의 클러스터로 키울 계획이다.
군은 또 인근 민주지산, 영국사, 박연의 난계박물관 등을 묶어 1박2일이나 2박3일의 관광코스를 개발한다.
특구지정으로 도로에 돌출형 옥외광고를 할 수 있고 대형 홍보판 등을 설치할 수 있다. 또 감식초 등의 감가공제품을 알리는 홍보내용을 좀더 자유롭게 기재할 수 있어 감산업을 활성화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됐다.
군은 특구사업이 마무리되는 2012년에는 연간 830억원 정도의 농가소득을 올리고 1800여명의 고용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영동은 과거에는 감유통의 중심지로 1970년대부터 대대적으로 감을 재배하기 시작했으나 경북 상주감 등에 밀려 명성이 그 전보다 못한 실정이다.
영동군 관계자는 “2004년 한국영양학회지 등에 따르면 영동감이 상주감보다 당도가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며 “올해 말 열리는 제3회 곶감축제도 명품화해 감고을의 명성을 반드시 되찾겠다.”고 말했다.
영동 이천열기자 sky@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