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명품마을

(3)충북 영동 감산업

바보처럼1 2007. 5. 3. 15:39

[재경부 선정 8개 지역특구 탐방] ③ 충북 영동 감산업

충북 영동군은 전국 제일의 감고장 명성을 되찾기 위한 청사진을 제시했다. 재경부가 영동군을 ‘감고을 감산업 특구’로 지정한 것이 계기.

영동군은 25일 165억원의 예산을 들여 2011년까지 특구로 지정된 4개 지구의 42만 2000㎡를 감생산·가공단지와 감연구 및 체험단지로 적극 육성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상촌면 임산리는 동부지구, 양강면 남전리는 남부지구, 용산면 청화리는 북부지구로 나뉘어져 있다. 각 지구별 면적은 12만㎡ 규모다.

군은 이들 지구에 감나무를 대대적으로 심어 감생산의 전초기지로 삼을 계획이다. 각 지구마다 가공단지도 만들어 감의 부가가치를 높이기로 했다.

가공단지에서는 감식초는 물론 감셔벗과 아이스홍시 등을 생산한다. 감물을 이용한 염색산업도 육성한다.

하지만 감생산 및 감산업의 핵심지구는 영동읍 매천리와 회동리 일대 6만 2000㎡에 조성되는 중부지구다.

이 곳에는 곶감축제장이 조성되고 감산업 관련 연구시설이 들어선다. 홍보 및 견학시설과 감체험장도 만들어진다.

체험장에서는 감깎기와 염색 등 각종 감 관련 체험을 해볼 수 있다.

군은 지역에 있는 영동대와 함께 감산업을 연구하고 감축제 활성화 및 관광객 유치 등의 방안을 세워 영동지역을 감산업의 클러스터로 키울 계획이다.

군은 또 인근 민주지산, 영국사, 박연의 난계박물관 등을 묶어 1박2일이나 2박3일의 관광코스를 개발한다.

특구지정으로 도로에 돌출형 옥외광고를 할 수 있고 대형 홍보판 등을 설치할 수 있다. 또 감식초 등의 감가공제품을 알리는 홍보내용을 좀더 자유롭게 기재할 수 있어 감산업을 활성화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됐다.

군은 특구사업이 마무리되는 2012년에는 연간 830억원 정도의 농가소득을 올리고 1800여명의 고용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영동군은 전체 가구의 76%인 6211농가가 368㏊에서 떫은감 4550t과 곶감 1490t을 생산하고 있다. 떫은감 생산량은 전국의 10%, 충북의 70%를 차지한다. 곶감 생산량은 전국의 5%, 충북의 78%에 이른다.

영동은 과거에는 감유통의 중심지로 1970년대부터 대대적으로 감을 재배하기 시작했으나 경북 상주감 등에 밀려 명성이 그 전보다 못한 실정이다.

영동군 관계자는 “2004년 한국영양학회지 등에 따르면 영동감이 상주감보다 당도가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며 “올해 말 열리는 제3회 곶감축제도 명품화해 감고을의 명성을 반드시 되찾겠다.”고 말했다.

영동 이천열기자 sky@seoul.co.kr

기사일자 : 2007-04-26    10 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