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부모의 수학 고민 문답풀이

바보처럼1 2007. 9. 17. 22:19

부모의 수학 고민 문답풀이

Q:문제집 풀어도 성적이 안올라요 A:문항 수 줄이고 심화과정 위주로

부모들이 초등학생 자녀에게 수학을 가르치면서 고민하는 내용을 문답으로 풀어본다.

▶수학을 열심히 시켜 매일 문제집 몇 장씩 풀게 하지만 성적에 변화가 없어요.

-열심히 공부하는 데도 성적이 오르지 않는 것은 수학적 호기심을 자극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비슷한 유형으로 숫자만 바꿔 이어지는 문제는 아이에게 싫증만 안겨 준다. 이 때는 문제 수를 줄이고 심화과정의 문제를 풀게 해야 한다. 문제풀이 습관도 점검할 필요가 있다. 건성으로 풀지는 않는지, 조금만 모르면 해설을 보고 풀지는 않는지, 틀린 문제는 다시 점검하는지 살펴야 한다. 중요한 것은 양보다 질이다.

▶수학에 재능은 있는 것 같은데, 시험을 보면 꼭 한두 개씩은 틀려요.

-오답노트를 만들자. 시험 문제뿐만 아니라 평소 공부하던 문제집에도 오답노트를 만들다 보면 문제가 어려워서 틀리는지 혹은 낯선 문제에서 틀리는지 오답의 유형을 알 수 있다. 답안을 내기 전에 꼼꼼히 확인하는 태도를 가져야 한다. 덜렁대다 실수하는 아이들이 의외로 많다.

▶조금만 긴 문제를 보면 머리가 아프다고 하고 풀려고 하지 않아요.

-우선 문장 이해력이 부족해서인지, 수학적 개념을 몰라서인지 원인을 파악해야 한다. 문장형 문제를 수식형 문제로 바꿔 보거나 반대로 풀어 보면 도움이 된다. 문제를 눈으로만 읽지 말고 중요한 부분에는 밑줄을 그으면서 읽게 하면 훨씬 도움이 된다. 핵심 내용을 요약해 보거나 문제 옆에 자기 손으로 정리해 보는 것도 필요하다.

▶선행학습을 시켜야 하나요.

-선행학습이 필요한 아이는 해당 학년의 교육과정을 이미 충분히 이해하고 있는 상위권 학생이다. 이 경우에도 교과서를 읽으면서 전체 맥락을 이해하는 정도가 좋고, 한 학기 정도 미리 공부하는 수준이 적당하다. 중위권이라면 해당 학년의 심화 문제부터 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학이 뒤처지지만 학원에는 가고 싶지 않다고 해요.

-수학을 별로 좋아하지 않는 아이를 섣불리 학원에 보내면 오히려 수학을 싫어하게 된다. 이 때는 또래 아이와 비교하거나 수학 공부 좀 하라고 다그치기보다 부모와 함께 수학을 재미있게 경험하는 게 중요하다. 아이가 흥미를 느끼는 교구나 퍼즐, 수학·과학 체험전 등을 이용해 함께 놀면서 자신감을 얻게 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선생님이 아이가 너무 틀에 박힌 사고를 한다고 해요.

-공부법을 바꾸는 것이 최선이다. 기계적인 문제풀이를 버리고 수학적 창의성을 높여야 한다. 초등학교 고학년은 세 살 버릇이 굳어진 시기이지만 이 버릇을 고칠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하다. 아이가 중학교에 가면 공부 방법을 바로잡을 시간적 여유도 없고 기회도 사라진다.

정리 김재천기자 patrick@seoul.co.kr

기사일자 : 2007-09-18    16 면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 '어머니'와 '마더'의 차이  (0) 2007.09.17
자녀 수학지도시 주의점  (0) 2007.09.17
골치아픈 수학 즐기도록 만들어라  (0) 2007.09.17
초등학생에게 책 읽어주는 요령  (0) 2007.09.11
(처벌의 대안)  (0) 2007.08.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