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시는 것

제맛 살려주는 코르크

바보처럼1 2007. 11. 1. 23:02

[김석의 Let’s Wine] 제맛 살려주는 코르크

어떤 와인마개를 선택해야 할까?

와인을 처음 마실 때 와인 마개를 오픈하는 것은 누구에게나 서투른 일이다. 그래서 재미있는 에피소드도 많다. 미처 와인 스크루를 준비하지 못한 채 와인을 맛보려다 결국은 코르크 마개를 병 속으로 밀어넣어 와인을 따랐다거나 나이가 지긋하신 어른들께 선물로 드렸더니 뚜껑이 병 입구를 꽉 막아버린 불량 제품을 선물해 줬다며 꾸중만 들었다는 이도 있다. 뿐만 아니라 와인 스크루를 사용했지만 코르크 마개가 반 토막 나버려 난감했다는 경험담도 들린다.

그러나 이렇게 단단히 와인병 입구를 봉하고 있는 ‘코르크’ 마개가 있기에 우리가 와인의 본래 맛을 그대로 느낄 수 있는 것이다. 즉, 코르크 마개는 전 세계인이 와인의 기쁨을 나눌 수 있도록 하는 ‘숨은 공로자’라고 할 수 있다. 코르크 떡갈나무 껍질로 만들어진 코르크는 부드럽고 탄력성과 팽창력이 뛰어나 발효식품의 천적이라고 할 수 있는 산소를 효과적으로 차단한다.

와인병 입구에서 제역할을 하는 코르크가 만들어지기까지는 오랜 시간이 걸린다. 매년 1.5㎜정도씩 자라나는 코르크 떡갈나무의 껍질이 수십년이 지나 약 1m의 나무 두께 지름이 되기까지 겉껍질을 몇 차례 벗겨내고서야 원료로 활용된다. 공장으로 옮겨져 삶고 말리는 작업을 여러 번 반복하고, 둥근 날의 톱에 의해 우리가 보는 코르크의 형태로 탄생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코르크는 와인의 잠재력을 끌어낼 수 있는 와인만의 공간을 만들어줘 와인의 보관과 숙성에는 가장 이상적이라고 여겨져 왔다.

병 주둥이에 나뭇조각을 끼우고 올리브 기름을 두른 헝겊과 실로 봉하던 시절에 비하면, 코르크는 와인에 있어 꼭 필요한 존재이지만, 간혹 제역할을 잃기도 한다.

‘코르키(corky)’라고 표현되는 경우인데, 이는 와인에 코르크 향이 배어들어 와인 특유의 향과 맛을 잃는 것을 뜻한다. 코르크화된 와인은 젖은 신문 냄새, 불쾌한 곰팡이 냄새가 나며, 이런 경우 코르크가 지나치게 물렁하고 3분의2 이상이 젖어 있거나 일부가 부서졌을 수도 있다.

이 문제에 대한 대안으로 일명 ‘활명수 캡’이라고도 불리는 ‘스크루 캡’의 사용이 거론되었으며 이는 전 세계 와인업계에서 수년 동안 논쟁거리가 되고 있다.

스크루 캡은 1970년 호주에서 사용되기 시작해 편리하게 개봉할 수 있다는 장점이 크게 부각되었다. 국내에서도 야외에서 편리하게 마실 수 있는 와인으로 인기몰이를 한 피크닉 와인이 스크루 캡을 채택한 바 있으며, 높은 고도에서도 내용물이 마르지 않기 때문에 기내용 와인 리스트에도 많이 올랐다.

그러나 친환경 소재이며 전통있는 코르크 대신 인위적인 스크루 캡을 자연 발효주 와인에 적용한다는 사실에 전문가들의 상당수가 거부감을 보이는 것도 사실이다.

유명 프랑스 와인업체들 중에서 스크루 캡 와인을 선보인 곳이 있지만, 아직까지 처음 선보인 호주를 비롯해 주로 뉴질랜드, 미국 등 신세계 국가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 중에서도 비교적 빨리 소비되는 데일리 와인에만 제한적으로 선택되고 있다.

프랑스 보르도 그랑크뤼 1등급 중 하나인 ‘샤토 마고’의 사장 폴 퐁탈리에는 2002년 빈티지 ‘파비용 루즈’의 세컨드 와인 제품을 스크루 캡으로 선보이면서도 일등품 와인에 스크루 캡을 사용하는 것은 반대한다고 밝힌 반면, 세계적인 와인 평론가 로버트 파커는 “스크루 캡은 세계 대부분 와인의 표준이 될 것”이라고 한 와인매거진을 통해 이에 대한 의견을 표명한 적이 있다.

한국주류수입협회 부회장

(금양인터내셔널 전무)

기사일자 : 2007-10-20    19 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