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강상식]숙취
해소 |
|
|
| <FORM name=tmpcontent>
|
| 연말 연시가 되면 피할 수 없는
술자리가 이어지고 많은 사람들이 숙취에 대한 고통을 하소연한다.
숙취를 예방하는 음식은 어떤 것이 있을까? 나라마다 다르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대부분의 사람들은 숙취 해소 음식으로 콩나물국,선짓국,북엇국,복엇국,재첩국을 즐겨 먹는다.
콩나물에 다량 함유된
아스파라긴산은 간에서 알코올을 분해하는 효소의 생성을 돕고,선지에는 철분 및 비타민 B가 많이 들어 있어 영양보충으로는 안성맞춤이다.
북어는 다른 생선보다 지방 함량이 적고 개운하며 간을 보호해 주는 아미노산이 많고 재첩에는 비타민,타우린 및 핵산류가 들어있어 술
마신 뒤 숙취의 원인인 아세트알데히드를 분해하여 준다.
이들 해장국 재료에는 양질의 단백질이 많아 숙취에서 깨어나는 데 큰 도움이
되고,간기능을 원활히 움직여 주고 뇌기능을 개선하여 머리를 맑게 하는 콜린,아세틸 콜린이라는 성분이 있다. 또 몸 속에서 해독 작용을 하는
클루타치온,시스테인 및 메티오닌이 듬뿍 들어있고,비타민 B1과 B2는 지방의 대사에 큰 구실을 하기 때문에,술을 많이 마시는 사람들에게 일어나기
쉬운 지방간의 예방과 치료에 우수한 영양원이다.
알코올의 해독 성분이 있는 복어에 무,쑥갓,미나리,파 등을 넣어 끓인 복엇국은
숙취해소 식품으로 권할 만하다. 파는 비타민 C가 많고,알리신이 있어 소화액 분비를 촉진하며,머리가 아픈 데 효능이 있어 해장국에 넉넉히 넣어
끓여 먹으면 좋다. 마,칡즙이나 무즙,녹차,오미자차,율무차 등은 이뇨작용을 촉진해 알코올을 빨리 배설할 뿐 아니라,소화기능의 회복도 돕는다.
숙취를 막는 가장 좋은 방법은 술을 적당히 마시는 것이다. 숙취가 걱정 없는 술의 양은 어느 정도일까?
체중
60kg의 성인인 경우 간에 무리를 주지 않는 알코올의 양은 하루 80g정도이다. 예를 들어 알코올 도수가 4.0%인 생맥주 500cc 한잔의
알코올 양은 500×0.04 =20g 이다. 술의 하루 허용량은 맥주는 2천cc정도가 되고 소주로 치면 2홉들이 한 병으로 알코올 양은
82.8g(360cc×0.23)이고,양주는 4~5잔이다. 또 술을 마시는 횟수는 1주일에 2회 정도가 좋고,한번 마시고 나면 3일 정도는 쉬어야
간에 무리가 가지 않는다.
류병호·경성대 식품공학과 교수
| </FORM>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