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러나 잠은 상황에 따라 더 자기도 덜 자기도 할 수 있었고, 좀 더 잔다고 과식했을 때처럼 탈이 나는 것도 아니고 좀 덜 잤다고 해서 일하는 데 큰 지장이 있었던 것 같지도 않습니다. 이런 경험이 적게 자도 된다는 생각을 하게 하고 더 나아가서는 21세기 같은 무한경쟁시대에서 살아남으려면 덜 자야 한다는 결론에 도달하게 합니다.
적게 자도 되는 잠을 왜 사람은 굳이 자고 있는 것일까요? 사람만 잠을 자는 것이 아니라 지구상의 다양한 동물이 잠을 잡니다. 잠을 자는 이유는 같습니다. 생존가능성을 높여주기 때문입니다.
먼 옛날부터 사람은 해가 뜨면 일어나고 해가 지면 자는 일을 반복해 왔습니다. 빛이 있어야만 사물을 볼 수 있는 사람이 밤에 돌아다니면 절벽에서 추락하거나 맹수에게 잡아먹히기 쉽습니다.
그래서 원시 인류의 잠은 지금과 같은 형태가 아니라 해가 지면 동굴에서 그냥 가만히 있는 형태였을 것으로 짐작됩니다. 항온동물인 사람은 신체의 모든 기관이 가급적이면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하는 방법을 택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소화기관, 호흡기관을 포함해 학습기관인 뇌까지도 활동량을 줄여야만 합니다.
그러나 현생 인류의 뇌는 전체 몸무게의 2% 안팎에 불과하지만 뇌가 사용하는 에너지는 20%나 됩니다. 뇌에서 이토록 높은 비율의 에너지를 사용하는 이유는 다른 동물이 생존 도구로 날카로운 발톱이나 빠른 속도를 선택했을 때 인간은 뇌를 선택했기 때문입니다. 생존도구를 잘 사용할수록 생존가능성이 증가하는 것이 자연의 법칙이기 때문에 인간은 학습기관인 뇌를 잘 사용하도록 진화해왔습니다.
수면 중에도 뇌의 에너지 사용량이 크게 감소하지 않는 것은 역설적이게도 두뇌 학습 용량의 한계 때문입니다. 최고의 학습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입력정보를 실시간으로 기억하고 조직화하여야 합니다. 그러나 뇌에 한꺼번에 입력되는 많은 정보를 실시간으로 기억하고 체계화하기에는 뇌의 용량이 부족했기 때문에 나중에 따로 시간을 내버려야 할 정보와 기억해야 할 정보를 구분하고 기억할 정보 역시 중요도에 따라 체계적으로 분류해야만 할 필요성이 생겼습니다.
밤에는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하면서 동시에 생존도구인 뇌의 활용도를 최대화하기 위해 에너지 보충과 휴식 그리고 정보의 저장 및 정리를 함께하는 방법을 사람은 개발했습니다. 그것이 바로 잠을 자는 것입니다. 따라서 수면 중에는 뇌를 뺀 모든 신체는 에너지 소비를 극소화하는 휴식상태로 전환되고, 뇌는 낮에 경험했던 정보들을 기억하고 재편성하는 작업을 합니다. 잠을 적절하게 자지 못하게 되면 신체적으로는 휴식이 되질 않고 심리적으로는 기억이 가장 먼저 타격을 받게 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