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전문가 100인들이 2개 복수응답을 통해 선택한 최대 걸림돌은 국제유가와 원자재가격 상승. 전체 200% 응답 중 68%를 차지했다.‘미국경기 둔화와 중국 긴축 등 세계경기 둔화’ 역시 66%에 달했다. 두 문항은 전체 응답의 3분의2가 넘을 정도로 심각하게 받아들여졌다. 이어 ▲반기업정서·기업규제 등에 따른 투자부진 15% ▲환율하락 14% 순이었다.
다만 ‘불안한 노사관계’를 선택한 응답은 전체 9개 응답 중 가장 적은 5%에 불과, 전문가들은 노사문제가 더 이상 한국 경제의 큰 변수는 아니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취약한 내수기반’(6%),‘총선·정쟁 등 정치적 불안정’(7%) 역시 응답률이 낮았다.
직업별로 미묘한 차이도 발견됐다. 기업인들은 전체 200%에서 66.7%가 유가·원자재가격 상승을 올해 경제에서 가장 크게 우려했다. 가격에 크게 좌우받는 기업인들의 이해관계가 반영된 셈이다. 세계경기 둔화도 51%로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반면 교수들은 세계경기 둔화를 83.3%나 선택했지만 물가는 50%만 대답, 경기 문제에 더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두걸기자 douzirl@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