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수출 부진·내수 회복… ‘저성장 고물가’ 우려

바보처럼1 2008. 3. 27. 17:29

[전문가 100인 새해 경제 전망] 수출 부진·내수 회복… ‘저성장 고물가’ 우려

올해 세계경제의 전망이 어둡다. 경기사이클상 하강곡선의 초입에 들어선다는 분석이다. 국내 경기 전망도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없다. 특히 원자재값 인상 등 고물가가 경기를 압박할 것으로 보인다. 저성장-고물가 구조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다. 서울신문은 경제전문가 100명을 대상으로 올해 경제전망과, 새정부 출범에 맞춰 ‘새정부에 바란다’는 내용의 설문조사를 했다. 설문에는 대한상공회의소가 뽑은 100대 기업의 최고경영층 51명과 시중은행과 부설연구소의 금융인 27명, 교수 12명, 국책연구소와 독립연구기관 연구원 8명, 한국노총과 민주노총 대표 2명 등이 참여했다.

무자년(戊子年)새해에는 국내 경기가 고유가와 원화 환율 강세, 국제 금융시장 불안 등 어려운 국내외 경제 여건 속에서도 올해와 비슷한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됐다. 경제성장률은 올해와 비슷한 4% 후반에 머물러 적정 잠재성장률 수준에 대체로 부합할 것으로 예측됐다.

이번 설문조사에서 100명의 경제전문가들 중 절반에 가까운 사람(47명)이 올해와 비교한 새해 경기를 ‘비슷할 것’으로 내다봤다.‘다소 좋아질 것’이라는 전망(29명)과 ‘다소 나빠질 것’(24명)이라는 예상도 팽팽했다.

교수·금융인 ‘부정적´ 기업인·연구원 ‘긍정적´

직업군별로 보면 대학교수와 금융인은 새해 경기를 부정적으로 전망한 반면, 기업인과 경제연구소 연구원들은 낙관적으로 내다봤다. 대학교수들 가운데 58.3%(7명), 금융인의 37%(10명)는 새해 경기가 올해보다 다소 나빠질 것으로 예상했다. 기업인과 경제연구소 연구원은 각각 60.8%(31명)와 75%(6명)가 다소 좋아질 것으로 예상했다.

구체적으로는 새해 경기가 수출이 다소 부진한 가운데 소비 등 내수 회복과 대기업 투자가 틈을 메우는 형국이 될 것으로 전망됐다. 새해 수출경기가 올해와 비슷하거나(41명) 다소 악화될 것(41명)이라는 대답이 대세를 이뤘다. 반면 다소 호전될 것으로 본 사람은 17명에 그쳤다. 특히 대학교수의 91.7%(11명)와 경제연구소 연구원의 87.5%(7명)는 다소 나빠질 것으로 예상했다.

내수 경기의 경우 다소 호전될 것이라는 응답이 49명으로 ‘비슷할 것’(30명),‘다소 나빠질 것’(20명)이라는 전망을 앞질렀다. 특히 금융인(59.3%)과 기업인(49.0%)이 상대적으로 낙관적인 전망을 내놓았다.

대기업 투자는 전반적으로 올해와 비슷하거나(45명) 다소 호전될(38명) 것으로 예측됐다. 그러나 부정적으로 보는 시각도 16명이나 됐다.

“대기업 투자 작년과 비슷하거나 호전”

새해 경제성장률은 올해와 비슷한 4%대 후반이 될 것으로 보는 전망이 지배적이었다.3명 중 2명(65명)이 4.5∼5.0%를 예상했다.4.7%로 전망한 한국은행이나 5.0%로 예측한 한국개발원(KDI), 민간경제연구소와 비슷한 수치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전망치 5.2%보다는 낮았다.

반면 21명은 5.0∼5.5%의 경제성장률을 예상했다.4.5% 이하 성장률로 추락할 것이라는 비관적 전망을 내놓은 사람도 16명이나 됐다. 이에 이명박 대통령 당선자의 7% 성장론이 ‘공염불’에 그칠 수 있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특이할 만한 점은 기업인과 대학교수가 경제연구소 연구원과 금융인에 비해 성장률을 보수적으로 잡았다는 것이다. 기업인 5명 중 1명(19.6%)은 성장률이 4%대 초반으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반면 경제연구소 연구원들 가운데 4%대 초반을 전망한 사람은 한 명도 없었다.

우리 경제의 적정 잠재성장률은 한국은행 추정치와 같은 4.5∼5.0%로 보는 견해가 전체 응답자의 절반 이상(53명)이었다.29명은 5.0∼5.5%로 봤다. 그러나 새해 한국 경제가 경제적 자원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해 달성 가능한 성장을 제대로 이뤄내지 못할 것으로 전망하는 시각도 있었다.

이영표기자 tomcat@seoul.co.kr

기사일자 : 2008-01-01    36 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