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스크 내부에 고장이 난 상태인 ‘디스크 내장증’에서 비수술적인 치료로 요통이 호전되지 않는다면 수술을 고려해야 한다. 통증의 원인이 되는 고장 난 디스크를 수술로 제거하고 나사못 등을 사용해 디스크 상하 두 개의 뼈를 한 개의 통뼈로 만들어주는 ‘디스크 유합술’을 시행하는 것이다.
하지만 유합술로 디스크 관절이 움직이지 못하게 되면 인접한 정상 디스크에 스트레스가 가해져 협착증의 발생빈도가 높아진다. 이런 문제를 막기 위하여 등장한 것이 ‘인조디스크 수술’이다.
이 수술은 복부를 절개한 뒤 척추 뒤쪽으로 수술 기기를 밀어 넣어 고장 난 디스크를 제거하고, 금속과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인조디스크를 집어 넣는 수술이다. 문제가 되는 디스크를 고정시키는 대신 자유로이 움직이게 해 주는 것이다.
2000년대 초반 유럽에서 조금씩 사용되기 시작한 인조디스크 수술은 몇 년 지나지 않아 미국에 성공적으로 상륙하였으며, 우리나라에서도 많이 시행되었다. 미국에 위치한 한 대형 의료기기 업체는 “가까운 미래에 유합술의 50∼60%가 인조디스크 수술로 대체될 것”이라며 인조디스크를 개발한 프랑스의 벤처기업을 천문학적인 금액으로 인수한 바 있다.
하지만 많은 환자들에게 이 치료법을 사용한 결과 예상치 못했던 문제점들이 속속 드러나기 시작했다. 삽입한 인조디스크가 수술 후 몇 달이 지나 제 위치에 있지 않고 앞으로 빠져 나오는 사례들이 발표된 것이다.
문제는 인조디스크 수술을 한 번 시행하면 재수술이나 디스크의 제거가 불가능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척추뼈 앞쪽의 큰 혈관들이 엉겨 붙기 때문이다. 막연하게 생각했던 인조디스크 수술의 무서움이 새삼 현실로 다가온 것이다. 이 사례들이 발표된 후 인조디스크 수술은 급격히 줄어들었다.
아무리 좋은 약도 잘 쓰면 약이지만 남용하면 독이 될 수 있다. 인조디스크도 환자를 잘 선택해 신중하게 사용하면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지만 자칫 남용하면 무서운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
서울아산병원 정형외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