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학

[정철의 영어 술~술 말하기] (7) 청크와 문법감각 익히기

바보처럼1 2008. 6. 30. 15:40

[정철의 영어 술~술 말하기] (7) 청크와 문법감각 익히기

반복해서 읽다보면 어순감각 익숙해져

원어민식 독해·청취 방식에 대해 알아봤던 지난 회에 이어 이번에는 간단하게 어순감각을 숙달하는 방법을 짚어보고, 의미 단위 덩어리인 ‘청크(chunk)’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어순감각이 익숙해지는 가장 좋은 방법은 반복해서 읽는 것이다. 그렇다고 무작정 반복하는 것이 아니라 영어 문장에서 다음에 무슨 말이 나올까 생각해 본 뒤 한 줄씩 열어보는 것이 좋다. 이 때 명심할 것은 한번 읽은 것은 절대 되돌아보지 말아야 한다. 또한 한 줄에 오래 머물지 말고 박자를 맞추듯이 한 번에 한 줄씩 일정한 리듬으로 읽어 내려가야 하며 어순감각이 자연스럽게 느껴질 때까지 반복해서 읽어야 한다.

지금부터는 영어 문장을 봤을 때 이해하는 속도를 더욱 빠르게 해줄 청크에 대해 알아보겠다. 청크는 영어의 의미덩어리를 뜻하는 말이다. 예를 들면 I like English.(나는 영어를 좋아한다.)란 문장이 있다. 이 문장을 세 개의 청크로 I(나는),like(좋아하다),English(영어)와 같이 볼 수도 있지만 의미덩어리를 크게 보는 사람은 이를 한 청크로 이해한다. 쉽게 말하면 밥을 먹을 때 젓가락으로 밥알을 하나씩 집어먹는 것보다 숟가락으로 퍼먹으면 같은 시간에 더 많은 양을 먹을 수 있는 것과 같다. 동시통역사의 경우 열 단어가 넘는 긴 문장도 그냥 한 덩어리 청크로 묶어서 이해하고 말한다.

그렇다면 청크를 어디서 끊고 어떻게 묶으며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영어고수는 긴 문장도 결이 보여서 읽거나 들을 때 자동적으로 청크 단위로 묶어서 이해한다. 이들의 머릿속에는 원어민식 영어 엔진이 들어 있기 때문이다. 영어엔진은 문법감각, 소리감각, 어휘감각으로 구성돼 있다. 이 중에서 특히 중요한 것은 문법감각이다. 여기서 말하는 문법은 ‘따지기식 입시문법’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영어를 잘하는 사람은 원어민식 문법감각을 터득해 머릿속에 ‘자동화된 문법감각’을 갖고 있다.

그렇다면 자동화된 문법감각은 무엇일까. 영어문장을 가만히 들여다보면 그 뼈대가 간단한 기본문으로 구성돼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기본문은 “I am angry(나는 화났습니다.)”와 같이 기본의 뜻만 나타내는 문장을 말한다. 이러한 기본문에 사람의 입맛과 기분에 따라 여러가지 보충양념을 넣어서 다양하고 풍부한 뜻을 나타나게 된다. 또한 좀 더 복합적인 뜻을 나타내기 위해 기본문을 서로 결합한 긴 문장을 만든다. 한 마디로 영어의 문장은 ‘기본문+보충양념+결합’의 모습으로 나타난다. 영어에 능통한 사람이나 원어민의 머릿속에는 이 이치가 자동화된 상태로 들어있다.

다음에는 기본문 등 문법감각에 대해 좀 더 세부적으로 알아보겠다. 다음 회까지 앞서 얘기했던 원어민식 어순감각을 숙달할 수 있도록 꾸준히 연습해보자. 변화가 두렵다는 이유로, 새로운 방법을 익히기가 귀찮다는 이유만으로 과거의 구태의연한 방법에 안주해서는 발전이 없다는 것을 명심하기 바란다.

기사일자 : 2008-06-10    17 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