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 개개인의 조건과 상황에 따라 다른 방학 계획표를 만들겠지만 잊지 말아야 할 세 가지 원칙을 제시해 본다.
(1) 계획은 철저하게 모의고사를 바탕으로 작성하자.
고 3의 경우는 6월26일 평가원 모의고사 성적표가, 고 1·2의 경우 7월 초에 치른 전국 연합학력평가 성적표가 나온다. 이 성적표와 지난 모의고사 성적표를 펼쳐놓고 영역별로 자신이 틀린 문제의 유형을 적어본다. 공통적으로 틀린 문제 유형을 영역별로 정리해서 그 유형만 집중적으로 보충한다는 생각으로 방학 계획을 짜야 한다. 치밀한 과목별·유형별 전략 없이 학원이나 학교에서 주어진 커리큘럼으로 공부하는 습관적인 학습에서 빨리 탈피해야 성적의 향상을 이룰 수 있음을 명심하자.
(2) 예습-수업-복습의 시간 배분을 결정하고 시간표를 작성하자.
시간표를 짤 때 예습과 수업은 1대1, 수업과 복습은 1대0.5의 비율로 시간을 배분하면 된다. 계획은 반드시 시간표로 구체적이어야 한다. 시간표에 수업을 중심으로 어느 시간에 예습과 복습이 이루어질 것인지 분명하게 표시해야만 효과적인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다.17년간 학생들을 지도해본 경험으로 볼 때, 상위권 학생은 복습 중심, 중·하위권 학생은 예습 중심의 학습이 더 효율적이다.
(3) 기상과 취침 시간을 지키자.
두뇌도 몸이다. 우리의 몸이 정해진 시간에 부드럽게 움직일 수 있는 것처럼 두뇌도 정해진 시간에만 활성화된다는 사실을 잊지 말자. 불규칙한 식사가 위에 부담을 주어 소화불량을 일으키는 것처럼 불규칙한 공부 시간도 두뇌에 부담을 주어 학습 능률 저하와 자신감 상실로 이어진다. 저녁 12시 이후 인간의 두뇌는 매우 비효율적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새벽 1시 이전에 잠들어 오전 7시에 일어나는 습관만큼은 꼭 지키도록 하자. 고3의 경우는 이 습관이 바로 9월 평가원 시험까지 이어지기 때문에 더욱더 철저하게 실천해야 한다.
전략 없는 공부로는 성적의 향상을 기대할 수 없다. 성적이 오르지 않으면 학생 자신은 물로 부모님들도 함께 지치게 된다. 개인별로는 더 세밀한 조언이 필요하겠지만 위에 제시한 세 가지 원칙만 지킬 수 있다면 성적은 반드시 오른다고 말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거창한 계획 뒤에는 실패가 웃으며 기다리고 있다는 것과 공부는 머리가 아니라 엉덩이로 한다는 점을 마음에 새기고 방학을 맞기를 당부한다.
대치동 김영준 국어논술전문학원장·EBS 언어논술강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