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

[현진오의 꽃따라 산따라] (31) 인천광역시 옹진군 대청도

바보처럼1 2010. 3. 30. 01:51

[현진오의 꽃따라 산따라] (31) 인천광역시 옹진군 대청도

내숭쟁이 ‘대청부채’ 오후3시 속살 공개

생물이 일정한 시간을 주기로 같은 행동을 하거나 생리생태적 습성을 보이는 것을 생물시계라 한다. 아침에 일어나서 저녁에 잠자리에 드는 사람들의 생체리듬이나 새벽마다 수탉이 우는 행동 등이 모두 생물시계의 예라 할 수 있다. 봄이 왔음을 알리며 피는 보춘화, 해마다 장마가 시작될 때 꽃이 피기 시작하는 자귀나무, 추석을 전후해서 땅위로 솟아나는 송이버섯 등도 생물학적 시계를 가진 생물들이라 할 수 있다.

▲ 모래언덕과 가을꽃들이 유혹하는 대청도.

꽃이 피고 지는 습성을 관찰해 보면 2가지 부류가 발견된다. 첫 번째는 한번 꽃이 피면 시들 때까지 오므라들지 않는 식물들로서 대부분이 여기에 속한다. 다른 부류는 아침에 꽃을 피웠다가 저녁에 오므리기를 반복하는 종류다. 수련의 수면(睡眠)운동이 잘 알려져 있는데, 이른 봄에 꽃이 피는 봄꽃들 중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꿩의바람꽃, 얼레지, 복수초 등이 이런 습성을 보이는데, 겨울처럼 차가운 이른 봄의 밤기온을 견디기 위해서인 듯하다. 고정된 틀에서 벗어나려고 노력하는 것이 생물의 특성이기에 저녁이나 밤에 꽃을 피우고 아침이면 꽃잎을 닫는 특별한 식물들도 있다. 달맞이꽃이나 분꽃, 몇몇 원추리 종류들은 보통 꽃들과는 달리 밤에 꽃을 피우는 별난 습성을 가지고 있다.

클릭하시면 원본 보기가 가능합니다.

독특한 생물시계… 밤10시 꽃잎 닫아

우리나라 토종식물 가운데 생물시계를 갖고 있는 것이 많지만, 그 가운데 가장 드라마틱한 습성을 보여주는 것은 대청부채다. 꽃이 피는 시간이 아침이 아니라 오후, 그것도 오후 3시를 전후해 피는 것부터 독특하다. 오전 내내 꽃잎을 굳게 닫고 있다가 오후 3시가 되어서야 꽃을 활짝 피운다. 꽃잎을 오므리는 시간도 정해져 있어 더욱 신비감을 자아내게 하는데, 밤 10시를 전후해서 꽃잎을 닫는다. 그것도 그냥 닫히는 것이 아니라 빨랫감을 비틀어 짠 듯이 비틀린 채로 오므라든다.

 

대청부채는 얼이범부채라고도 부르는 여러해살이풀로 붓꽃과(科) 붓꽃속(屬)에 속한다. 우리나라 붓꽃속 식물들이 대부분 봄에 꽃을 피우고 늦은 것이라 해도 여름이면 지는 게 보통인데, 이 식물은 8월 하순부터 9월 중순에 피므로 가을에 꽃 피는 유일한 붓꽃종류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대청도에서 처음 발견되었으며, 이웃한 백령도에도 자생하고 있다. 세계적으로 만주, 아무르, 몽골 등지에도 분포하는 북방계식물이며, 북한의 평안북도에도 자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출생 미스터리´ 금방망이도 활짝

이맘때 대청부채가 예쁜 꽃망울을 터뜨리는 대청도는 인천광역시 옹진군에 속하는 서해 5도 가운데 한 섬이다. 위도상으로 서울보다 북쪽인 파주와 비슷하지만 난류의 영향으로 기온이 따뜻해 난대식물인 동백나무가 이곳까지 올라와 자라고 있다. 대청리의 동백나무자생지는 이 식물 분포의 북방한계선이라는 이유로 천연기념물 66호로 지정되어 있다. 그밖에도 보리밥나무, 보춘화, 실거리나무, 장딸기, 큰천남성, 후박나무 같은 난대성 식물들이 생육하고 있다.

이맘때 대청도에서 피는 풀꽃 가운데 금방망이도 특별하다. 한반도 고산지역에 드물게 자라는 이 식물이 대청도, 백령도 및 중부지방의 서해안 섬에도 분포하는 것은 다른 식물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일로서 학술적으로 매우 흥미로운 현상이다. 한라산이나 덕유산 등 높은 산에서는 드물게 발견되지만 대청도를 비롯한 서해안 섬에서는 비교적 흔한 점도 수수께끼 같다.7월부터 꽃을 피우기 시작하는 한라산의 금방망이는 막물 꽃이라 해도 9월 초순까지가 볼 수 있는 게 한계지만 대청도에서는 9월 중순에 꽃이 한창이다. 대청도의 희귀식물로서 빼놓을 수 없는 것이 정향풀이다. 전라남도 해안가 등 몇몇 곳에서 자생지가 알려져 있기는 하지만 좀처럼 보기 어렵다. 아름다운 남자색 꽃이 5월에 핀다.

대청도에서 처음 발견되어 우리말이름에 ‘대청’이 붙은 식물 가운데 대청가시풀이 있다. 미국 원산으로 우리나라에 귀화한 외래식물인데, 서해를 오가는 배들을 통해 들어온 것으로 여겨진다. 옥죽동 해안의 모래언덕에 많은 개체가 자라고 있다. 열매에 굳세고 날카로운 가시가 많아서 옷이나 신에 붙으면 떼기가 무척 어렵다.

사막같은 모래언덕… 가을여행 떠나볼까

인천항 연안여객터미널에서 대청도까지는 쾌속선이 하루에 3번 다니며,4시간쯤 걸린다. 홍어, 팔랭이 등 자연산 횟감이 넘쳐나는 섬, 사막을 방불케 하는 너른 모래언덕이 펼쳐지는 섬, 담백한 맛과 향이 일품인 까나리액젓을 맛볼 수 있는 섬, 백령도와 그 너머 북녘땅이 손에 잡힐 듯이 가까이 보이는 섬, 백령도는 가을여행을 떠나봄직한 섬이다.

대청도에서는 바닷바람을 맞아 더욱 싱싱한 가을꽃들도 만날 수 있다. 대청부채를 비롯하여 까실쑥부쟁이, 나비나물, 대나물, 물옥잠, 사철쑥, 이고들빼기 같은 가을꽃들이 한창이고, 분꽃나무, 윤노리나무, 덩굴별꽃, 보리수나무들의 열매도 볼 수 있다.

다음날 점심때 배를 타고 나와야 하는 일정이라면 대청도에 도착하자마자 바로 대청부채부터 챙겨보는 것을 잊지 않기 바란다. 다음날은 떠날 때까지 꽃잎을 꼭꼭 다물고 있을 터이니.

동북아식물연구소장

2008-09-27  22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