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

[현진오의 꽃따라 산따라] (32) 경북 영주시·충북 단양군 도솔봉

바보처럼1 2010. 3. 30. 01:56

[현진오의 꽃따라 산따라] (32) 경북 영주시·충북 단양군 도솔봉
덕유산에서 소백산까지 이어지는 200여㎞의 백두대간 능선은 800∼1000m의 고만고만한 산들만을 거느리고 있다. 삼도봉(1172m), 황학산(1111m) 같은 곳에서 대간으로서의 체면을 간신히 유지하고 있을 뿐이며, 이 구간의 유일한 국립공원이자 명산 가운데 하나로 꼽히는 속리산조차 1057m로서 높이에서는 내세울 게 없다. 하지만 백두대간은 소백산 산군으로 들어선 후에는 1300∼1400m대를 유지함으로써 지금까지와는 사뭇 다른 산세를 보인다. 소백산 산군의 남쪽 입구를 지키며 서 있는 도솔봉(1314m)은 그 위풍당당한 산세가 시작되는 산이다.

클릭하시면 원본 보기가 가능합니다.
도솔봉 일대의 백두대간 능선은 높이에 걸맞게 동쪽과 서쪽으로 여러 골짜기와 가지 능선들을 빚어 놓고 있다. 백두대간이 남북으로 뻗어가며 솔봉, 묘적봉, 도솔봉, 삼형제봉을 세워 놓고, 이 산줄기를 경계로 동쪽의 경상북도 영주시 봉현면과 풍기읍, 예천시 상리면, 서쪽의 충청북도 단양군 대강면을 가르고 있다. 너른 산세와 수계를 가진 도솔봉 일대는 묘적봉 아래의 묘적령을 경계로 하여 소백산국립공원의 남쪽 끝을 이루고 있기도 하다.

희귀식물 등대시호 9~10월에 열매

도솔봉 정상 일대에는 바위지대가 잘 발달해 있다. 소백산하면 떠오르는 부드러운 능선길이나 드넓은 초원과는 거리가 먼 지형적 특성을 보이는 셈이다. 고도만이 1300m를 넘는 것이 아니라 바위 성으로 이루어졌다 할 만큼 일대에는 바위가 많기 때문에 식물 생육지로서 특이성이 높다. 이곳에 사는 식물의 종류가 특별한 것은 물론이다. 대표적인 것으로는 등대시호, 왜솜다리, 솔나리 등을 꼽을 수 있는데, 이들 모두는 자생지가 많지 않아 보호해야 할 식물이다.

 

등대시호는 솔나리와 함께 북쪽에 고향을 둔 북방계식물로서 만주와 우수리, 한반도에만 자라므로 세계적으로 볼 때 분포지역이 매우 좁다. 백두산에서는 해발 2000∼2500m 지역에 분포하는데, 수목 한계선 부근의 고산초원에서 무리를 지어 자라는 모습을 종종 볼 수 있다. 꽃은 8∼9월에 노란색으로 피고, 열매는 9∼10월에 익는다. 남한에서 분포지가 매우 한정된 희귀식물로서 지금까지 발견된 곳은 설악산, 석병산, 도솔봉, 속리산, 남덕유산 등 몇곳뿐이다.

도솔봉 일대의 백두대간 능선은 신갈나무가 주종을 이루고 있는 가운데 느릅나무, 당단풍나무, 물푸레나무, 느릅나무, 소나무 등의 큰키나무가 섞여서 숲을 이루고 있다. 숲의 중간층을 이루는 떨기나무로는 개옻나무, 노린재나무, 산앵도나무, 철쭉나무 등이 있다. 숲 바닥에는 가야산은분취, 고려엉겅퀴, 나도옥잠화, 노랑무늬붓꽃, 단풍취, 미역취, 산꿩의다리, 새끼꿩의비름, 수리취, 일월비비추, 죽대, 참배암차즈기, 투구꽃, 큰참나물 등의 풀이 자라고 있다.

숲 속의 작은 바위를 좋아하는 새끼꿩의비름은 번식습성이 독특하다. 이맘때 꽃을 피워 유성(有性)번식을 하기도 하지만, 살눈으로 무성번식하기도 한다. 살눈은 좁쌀보다 조금 큰 크기로 꽃 옆에서 여러 개가 만들어지는데, 이것이 땅에 떨어지면 싹이 터서 새로운 식물체가 만들어진다. 전국에 분포하지만 드문 편이다. 도솔봉 정상에서 사동리 쪽으로 이어지는 등산로 일대는 수령 오래된 신갈나무가 천연림에 가까운 모습으로 숲을 이루고 있어 눈여겨 볼 만하다. 아름드리 신갈나무 숲 속에 개시호, 노루오줌, 단풍취, 속단, 수리취, 오리방풀, 투구꽃 같은 깊은 산에서 볼 수 있는 풀꽃들이 자라고 있다.

가을산행 갈증 달래주는 산앵도 빨간 유혹

고도가 조금 낮은 능선들에서 흔하게 자라고 있는 꼬리진달래도 특기할 만한 식물이다. 충청도와 강원도 일부 지역에서만 자라는 떨기나무로서 6월에 아름다운 꽃이 핀다. 겨울철에도 잎이 조금 남아 있는 반상록성 식물이다. 속리산과 문경의 백두대간 산들에서는 주릉에 많던 이 식물은 도솔봉 일대에서는 주릉에서는 자라지 않고 가지 능선에서만 발견되는데, 이는 백두대간 주릉의 고도가 그만큼 높아졌기 때문이다.

이맘때 도솔봉 자락의 사동리 일대에는 산초나무 열매가 익어가는 가운데, 개쑥부쟁이, 까실쑥부쟁이, 꽃향유, 나도송이풀, 쇠서나물, 향유가 한창 꽃을 피우고 있다. 도솔봉 능선에는 가을산행의 갈증을 달래주는 산앵도나무 열매가 빨갛게 익어가고 있고, 다른 나무들에 비해 서둘러 붉은 단풍옷으로 갈아입는 개옻나무가 지천이다. 도솔봉의 가을꽃과 열매를 만나기 위해서는 죽령이나 사동리에서 꽃산행을 시작한다. 어느 길이나 정상까지 가는 산행시간만 4시간 가까이 걸리는 만만찮은 거리다. 게다가 낮의 길이가 짧은 요즈음이므로 아침 일찍 서둘러 산행에 나서야 한다.

동북아식물연구소장

2008-10-04  22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