떠나기 싫은 여행
대다수 사람들은 여행을 좋아합니다. 허나 떠나기 싫은 여행이 있습니다. 그 여행길은 누구라도 피할 수가 없습니다. 자신의 죽음을 아는 유일한 존재가 사람입니다. 죽음 앞에서 두려움을 느끼지 않는 사람은 없을 겁니다.
1969년 사망학 개척자인 스위스 출신 정신과 의사 '엘리자베스 퀴블러로스(1926-2004)'는 '사망과 임종에 대하여(On Death and Dying)'에서 죽음의 과정의 정신 상태(말기 환자)를 분석한 5단계 모형을 영어 첫 글자를 따서 '다브다(DABDA)' 모델을 제시합니다.
1.부인(Denial)
첫 번째 단계에서 많은 사람들은 자신이 죽게 된다는 사실을 받아들이려 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말기 환자는 "아니야, 나는 아니야"라고 불치병에 걸린 사실을 부인함과 동시에 고립되는 듯한 감정을 느낀답니다.
2.분노(Anger)
두 번째 단계에서 분노나 원망으로 바뀐답니다. "왜 하필 나야? 왜 이렇게 재수가 없지"라고 투덜대며 정서 불안을 나타낸다고 합니다. 가족과 의사는 인내심을 갖고 무조건적인 사랑으로 환자를 보살펴야 한다고 합니다
3.거래(Bargaining)
죽음을 지연시키는 방법을 찾으려고 온갖 궁리를 한다고 합니다. 천주교 신자라면 하느님과 담판을 시도한답니다. 하느님에게 자신의 생명을 연장시켜 달라고 애원하고 자신의 부탁을 들어준다면 "천주님의 영광을 빛낼 일에 여생을 바치겠다."고 하거나 "새 사람으로 태어나겠다."고 약속한답니다. 거래는 모든 사람에게 나타나는 단계는 아니지만 죽음을 앞둔 환자의 절박한 심정을 잘 보여 준답니다.
4.우울(Depression)
병세가 갈수록 악화되고 있음을 깨닫게 되면서 절망 상태에 빠진 환자는 우울증에 시달린답니다. 우울증의 빌미는 다양합니다. 죽은 뒤 남겨질 배우자나 자식에 대한 걱정, 죽기 전에 하고 싶은 일을 마무리하지 못하는 상실감 등을 들 수 있습니다.
5.수용(Acceptance)
마지막 단계는 죽음에 임박하여 이 세상과 결별하려는 순간입니다. 마침내 죽음이 피할 수 없는 자연현상임을 인정하고 마음으로 받아들이게 된답니다. 이승의 모든 굴레를 벗어던지고 긴 여행을 떠나기 전 마지막 휴식을 즐기는 것처럼 평온한 마음으로 죽음을 기꺼이 수용한다고 합니다. 하지만 모든 사람이 죽음을 자연스럽게 맞이하는 것은 아니랍니다.
최후의 순간까지 죽음의 그림자로부터 빠져나오려고 몸부림치는 사람은 존엄한 임종을 맞이할 수 없기 때문에 가족의 이해와 도움이 절실히 요구된다고 합니다. 사람마다 살아가는 과정이 제각각인 것처럼 죽어가는 과정도 천차만별이기 때문에 5단계 '다브다 (DABDA)' 과정을 똑같이 밟게 된다고 볼 수는 없을 섯입니다.
열외가 없는 떠나기 싫은 여행, 삶의 마지막 순간에 존엄성을 잃지 않고 세상을 하직하는 방법을 살아 생전에 한 번쯤 모색해 보는 것도 소중한 지혜가 아닐까 싶습니다 <옮겨온 글>
|
3인전
INVISIBLE SPACE /조경현
The Sea /조경현

광대/오형환
아이돌/김하얀나래
화가 스티븐 키드가 그린 한국 정취 5점
1945년 해방과 함께 상륙한 미군 화가 스티븐 키드(Steven Kidd) 상사가 그린
그림. 한국에 대한 인상은 "새로운 세상을 열기 위한 준비가 한창이었다."라고 적었다.
- 소녀 (Young Girl) -
동생아기를 업고있는 소녀. 껌을 주고 포즈를 부탁했읍니다.
- 차를 얻어타기위한 엄지 손가락질 (Thumbing A Ride) -
비오는 날 다가오는 찦을 향하여 엄지손가락을 치켜세워 들고 태워주기를 바라고 있다.
오래된 층계를 오르면 다시 길이 이어진다. 아이들은 이방인들을 신기해하며 따라 다니고,
젊은이들은 미국인들의 큰 코와 많은 수염에 흥미진진해 했다.
- 과일행상인 (A Fruit Peddler) -
인천의 한 포장된 길가에서 밤에 촛불빛 아래서 사과와 감을 잘 배열해 놓고 손님을 기다리고 있는 모습
- 우마차와 찦차 (Oxcart and Jeep) -
서울 북쪽. 찦차에 타고 있는 병사와 우마차 위의 소년들이 서로 손을 흔들고 있다.
당시 한국 농촌 아줌마들은 젓가슴을 내 놓고 다녔다.
-뒷길 (On A Back Street) -
인천에서, 과일 파는 행상들과 촌 할아버지, 뛰어 노는 아이들로 뒤범벅이 된 뒷길에서
이가 아픈 소년이 장님 어머니를 인도하고 있다.
어이해 깊은 이 밤은 더디게 새나요 둥근 달도 고운 별도 구름 속에 숨었네
* 밤기차 기적소리에 마음은 설레고 부드러운 그 목소리 오신 듯이 새로워라
이 한밤 지새고 나면 밝은 해 빛나듯 산 너머 오시려나 내 님은 오시려나 *
▲ 미디어 체인지 ▼
위쪽의 Media Play Button (■) Click Off 후,
→ 아래의 Media Play Button (▶) Click on!
각 미디어 플레이 중 창 하단에 뜨는 광고는
우측의 삭제바튼(x)을 클릭하시면 제거됩니다.
Best Visual Illusion of the Year 2010 (2010년 착시 영상 작품 콘테스트 1위)
Winner of the Best Visual Illusion of the Year Contest 2010. Wooden balls roll up the slopes
just as if they are pulled by a magnet. (자석에 끌리듯 경사지를 오르는 듯한 나무 볼)
▲ 미디어 체인지 ▼
우주(신)의 걸작품-인체의 신비
머리와 종결 부분은 종교와 연관지었지만 실상 내용은 건강학이고 내용도 볼만해 좀 길지만 옯겨왔습니다^^
(신체 부위별 기능과 장수를 위한 관리-18분)
▲ 미디어 체인지 ▼
여자와 산 - 업데이트버젼 10대-금강산-함부로 올라가면 총맞아 죽는다 20대-설악산-사시사철 올라가도 색다른 맛이 잇다 30대-지리산-골짜기도 깊고 물도 아주 많다 40대-북한산-이놈저놈 다 올라간다 50대-남산-가까이 있어도 잘 안올라간다 60대-동산-산 같지도 않아서 안올라간다 70대-에베레스트-올라가면 살아서 내려올 수 없다 구급 암구호 옛날 한 나그네가 과거 시험을 보러 산길을 걷다 나그네가 하루 밤만 묶게 해달라고 하자 그래도 밤도 깊어 계속 애걸복걸하자 할머니를 경계로 한방에서 셋이 누워서 자고 있는데 "얘야, 만약 저 나그네가 네 손을 만지면 마요네즈를, 걱정을 하며 뒷간에서 막 일을 보고 있는 할머니에게 |
사랑은 내가 모든 것 이라고 말한다.
그 둘 사이에서 내 삶이 흐른다.
-미상/인용-

Scrapped in places, Edited or Written Partially
by 0000, Sincerely, Private, 8.14, 2010

< Hohoya Plus >
짬도 되고 구미도 당길 때...

양용은 별명 야생마
감사합니다!
*^^*
'호호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앙드레 김의 고독과 아쉬움 (0) | 2010.09.13 |
---|---|
인셉션이 필요한 시대 (0) | 2010.08.30 |
못생긴 여자만 좋아하는 남자 (0) | 2010.08.10 |
찰보리 봉하빵 (0) | 2010.08.10 |
그때 그사람 (0) | 2010.08.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