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천스님의 아헹가 정통요가

파리푸르나 나바아사나

바보처럼1 2007. 4. 23. 11:04

[현천 스님의 아헹가 정통요가] 파리푸르나 나바아사나

파리푸르나(Paripurna)는 전체, 완성이란 뜻이며 나바(Nav)는 배를 의미한다. 이 자세는 노가 있는 배의 모습을 닮아 이름 지어졌다.

1. 다리를 정면으로 곧게 펴서 앉는다. 손바닥을 엉덩이 옆의 마루에 놓고, 손가락은 발을 향하게 한다. 손을 똑바로 펴고, 등은 꼿꼿이 세운다(사진1).

2. 양손을 엉덩이 뒤에 두고 숨을 내쉬며, 다리는 60도로 들어 올리고 몸통은 30도로 낮추며 무릎에 힘을 주며 다리를 쭉 뻗는다(사진2).

3. 마루에서 손을 떼고, 팔을 어깨 높이까지 올리는 동시에 다리 쪽으로 쭉 뻗으며 손바닥을 서로 마주 보게 한다. 이때 발가락은 앞쪽을 향해야 하며 균형은 오직 엉덩이로만 잡고, 척추의 어떤 부분도 마루에 닿아선 안 된다.

4. 가슴을 들어 올리고, 천골을 안쪽으로 단단히 누르면서 들어 올려 등 아랫부분이 처지지 않게 하며 발을 바라본다. 복부를 긴장시키지 않는다. 고르게 호흡하면서 20∼30초 동안 이 자세를 유지한다(사진3).

5. 숨을 내쉬며 손과 발을 마루에 내리고, 등을 대고 누워 긴장을 푼다.

6. 초보자일 경우, 벨트를 사용하여 발바닥과 견갑골에 걸치며 양 손은 엉덩이 뒤에 둔다. 무릎을 모은 상태에서 다리를 쭉 뻗으며 위의 2번 자세를 유지한다(사진4).

효과:이 아사나는 가스로 인한 복부 팽만감이 있는 사람과 위장이 불편한 사람에게 편안함을 준다. 허리의 지방을 줄이고, 신장을 좋은 상태로 유지한다.

요가교실:개인적인 수행에 적용되는 행동 규율 니야마(Niyama)가운데, 두 번째는 산토사(Santosa) 즉 만족감이다. 이는 계발되어야 하며 만족스러움을 모르는 사람은 집중할 수 없다. 요기(Yogi)는 어떤 것도 부족하다는 생각을 하지 않음에 자연히 만족하게 된다. 만족은 요기에게 더할 수 없는 기쁨을 준다. 만족을 아는 사람은 신의 사랑을 알고, 그의 임무를 다했기 때문에 완전하다. 그리고 진실을 알고 기쁨을 아는 자는 축복받은 자이다.

■ 자료제공:대구 아헹가 요가 선원

053)753-1737 www.iyengar.co.kr 아사나:김교영

기사일자 : 2006-10-12

'현천스님의 아헹가 정통요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할라아사나(어깨로 서기)  (0) 2007.04.23
아난타사나  (0) 2007.04.23
파당구쉬타아사나&파다하스타아사나  (0) 2007.04.23
살라바아사나  (0) 2007.04.23
살람바 사르반가아사나  (0) 2007.0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