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천스님의 아헹가 정통요가

할라아사나(어깨로 서기)

바보처럼1 2007. 4. 23. 11:07

[현천 스님의 아헹가 정통요가] 할라아사나(어깨로 서기)

할라(Hala)는 쟁기를 뜻하고, 이 자세가 쟁기와 비슷해서 이름이 붙여졌다. 이 자세는 사르반가아사나의 한 부분으로 그것의 연속 동작이다.

1. 마루에 등을 대고 평평하게 눕는다. 손바닥을 아래로 향하게 하고, 다리 옆에 손을 놓는다. 숨을 내쉬며, 두 다리를 마루와 수직이 될 때까지 들어 올린다. 다리를 쭉 뻗은 상태에서 무릎이 굽혀지지 않도록 한다.(사진1).

2. 팔을 쭉 뻗은 상태에서 엉덩이를 마루에서 들어 올리고 양 무릎을 가슴으로 가져간다. 숨을 내쉬며, 두 발을 머리 위로 옮기고 발가락을 바닥에 댄다.

3. 팔꿈치를 굽히며 손을 등 중앙에 대고 눌러, 몸통이 바닥과 수직이 되게 한다. 엉덩이를 단단히 조인다. 눈을 눈구멍 안으로 가라앉게 하며 얼굴의 피부와 근육을 이완한다. 목구멍을 이완시키며 가슴을 들어 올리고, 흉골이 턱에 닿게 한다. 배꼽과 횡경막 사이의 공간이 점점 더 커지게 한다(사진2).

4. 숨을 내쉬며, 다리의 반대 방향으로 팔을 뻗는다. 양 손을 단단하게 깍지 낀 상태에서, 팔꿈치에서 팔에 힘을 주고 어깨로부터 팔을 쭉 뻗는다(사진3). 이 자세를 유지하며 고르게 호흡한다. 다리와 손은 정반대 방향으로 뻗쳐 있고, 이것은 척추를 완전히 뻗게 한다. 또한 손, 손목, 팔꿈치, 어깨의 통증이나 경련을 완화한다.

5. 초보자를 위한 단계: 어깨를 포함해서 등 아래 담요를 깔고 팔을 발과 반대 방향으로 쭉 뻗으며 손바닥은 바닥에 밀착시킨다. 숨을 내쉬며, 엉덩이를 들어 올려 두 발을 의자 위에 놓는다. 이때, 양 손은 깍지 낀 채 양 발과 무릎, 넓적다리를 함께 붙이며 쭉 뻗은 상태에서 고르게 호흡한다(사진4). 두통, 편두통, 천식, 호흡곤란, 고혈압에 자주 시달리거나 육체적 정신적 피로를 느끼기 쉬운 사람, 혹은 과체중인 사람은 의자를 이용한다.

효과:복부 기관은 수축으로 인해 다시 활기를 띠게 되고, 척추의 뻗음으로 등의 통증이 줄어든다. 어깨, 팔꿈치의 경직 및 요통과 등의 관절염으로 고통 받는 사람들은 이 아사나에서 편안함을 발견한다. 위장내의 가스로 인한 복통 역시 해소되어 뱃속이 가벼워짐을 즉시 느낀다. 고혈압인 사람들에게도 유익하다. 눈과 뇌를 쉬게 하고 이완시킴으로써 스트레스와 긴장에 미치는 영향력을 줄인다.

요가교실:개인적인 수행에 적용되는 행동 규율 니야마(Niyama)중 네 번째 덕목인 스바드야야(Svadhyaya)는 성전을 통한 자아 교육을 의미한다. 인생을 건강하고 행복하고 평화롭게 만들기 위해서, 맑은 장소에서 신성한 학문을 정규적으로 연구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세계의 성전을 공부하는 것은 구도자에게 집중력을 주고, 인생의 험난한 문제들을 헤쳐나갈 수 있게 해 준다. 그것은 무지를 끝내고 지식을 가져다 준다. 무지는 시작은 없지만 끝은 있다. 지식은 시작은 있지만 끝은 없다.

자료제공:대구 아헹가 요가 선원

053)753-1737www.iyengar.co.kr 아사나:김교영

기사일자 : 2006-10-26

'현천스님의 아헹가 정통요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라바드라아사나3  (0) 2007.04.23
아르다 찬드라아사나  (0) 2007.04.23
아난타사나  (0) 2007.04.23
파리푸르나 나바아사나  (0) 2007.04.23
파당구쉬타아사나&파다하스타아사나  (0) 2007.0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