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천스님의 아헹가 정통요가

아난타사나

바보처럼1 2007. 4. 23. 11:06

[현천 스님의 아헹가 정통요가] 아난타사나

옆으로 누워서 균형을 이루는 자세로 아난타(Ananta)는 비슈누의 이름이기도 하며 또한 비슈누의 탈 것인 뱀 세사(Sesa)의 이름이기도 하다. 이 자세는 남인도의 트리반드럼(Trivandrum)에 있는 신 아난타 파드마나바(Ananta Padmanabha)에게 바쳐진 사원에서 볼 수 있다.

1. 등을 대고 평평하게 눕는다. 숨을 내쉬며, 왼쪽으로 돌아 옆으로 누운 자세가 되게 마루에 몸의 측면을 댄다.

2. 머리를 들고, 몸과 같은 선상에 머리 뒤로 왼팔을 뻗어, 왼쪽 팔꿈치를 구부려 팔뚝을 올려서 왼손이 귀 위에 오도록 하고, 머리를 왼쪽 손바닥 위에 올린다. 가슴은 활짝 펴 준다(사진1).

3. 오른쪽 무릎을 구부리고, 오른쪽 엄지, 둘째, 가운뎃손가락으로 오른쪽 엄지 발가락을 잡는다(사진2).

4. 숨을 내쉬며, 오른쪽 팔과 다리를 수직으로 같이 뻗는다. 이때 오른쪽 다리뿐만 아니라 왼쪽 다리도 쭉 뻗도록 한다. 골반관절에서 넓적다리 안쪽을 따라 발뒤꿈치까지 쭉 뻗는다. 호흡을 고르게 하며 15∼20초 동안 이 자세를 유지한다(사진3).

5. 숨을 내쉬며, 오른쪽 무릎을 구부리고 위의 2번 자세로 돌아간다. 왼쪽 손바닥을 낮추고, 등을 대고 눕는다. 반대방향으로도 이 자세를 같은 시간 동안 취하고 나서 긴장을 푼다.

6. 초보자일 경우, 위의 2번 자세에서 오른손을 바닥에 짚고 오른쪽 다리를 위로 올린다. 이때, 오른쪽 발이 바닥과 수평을 이루게 한다(사진4).

효과: 골반부위가 단련되고, 슬와근이 좋은 상태가 된다. 등의 통증을 덜어 주고, 탈장의 진행을 막아 준다.

요가교실: 개인적인 수행에 적용되는 행동 규율 니야마(Niyama) 가운데 세 번째는 타파스(Tapas) 즉 고행이다. 이는 어떤 여건 속에서도 인생의 목표를 성취하기 위한 타는 듯한 열정적인 노력을 의미하며 정화, 자기 제어, 고행의 의미를 내포한다. 타파스는 신성과의 일체라는 궁극적인 목표를 이루고 이 목표를 향해 가는 데 방해가 되는 모든 욕망을 태워 버리려는 의식적 노력이다. 요기(Yogi)는 타파스를 통해 강인한 육체와 마음 그리고 인성을 향상시킨다.

자료제공:대구 아헹가 요가 선원 053)753-1737

아사나 김교영

기사일자 : 2006-10-19